KR200233809Y1 - Wet towel machine having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Wet towel machine having water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809Y1
KR200233809Y1 KR2020010007397U KR20010007397U KR200233809Y1 KR 200233809 Y1 KR200233809 Y1 KR 200233809Y1 KR 2020010007397 U KR2020010007397 U KR 2020010007397U KR 20010007397 U KR20010007397 U KR 20010007397U KR 200233809 Y1 KR200233809 Y1 KR 2002338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wel
unit
wet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39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낙원
Original Assignee
정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낙원 filed Critical 정낙원
Priority to KR20200100073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80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8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809Y1/en

Links

Landscapes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종합적인 물수건 제작기에 관한 것으로서, 물공급부,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필터부,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냉각 또는 가열시키기 위한 냉각 및 가열부, 수건원단을 공급하는 수건 공급부, 공급되는 상기 수건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수건 재단부,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을 인출하여 재단된 상기 수건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 물을 흡수한 상기 수건을 외부로 공급하는 물수건 공급부, 상기 냉각 및 가열부를 통과한 물이 배출되는 식수공급 밸브,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하나의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조작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rehensive wet towel maker with various functions added, the water supply unit, the filter unit for purifying the water supplied, the water tank for storing the purified water, for cooling or heat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Cooling and heating unit, towel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towel fabric, towel cutting unit for cutting the supplied towel to a constant length, water spray unit for ejecting water in the water tank and spraying the water to the cut towel, absorbing water A wet towel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towel to the outside, a drinking water supply valve for discharg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and heat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are installed in one case, and an operation unit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as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installed.

Description

정수기와 결합된 물수건 제작기{Wet towel machine having water purifier}Wet towel machine having water purifier

본 고안은 물수건 제작기 또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물수건 제작기 및 정수기가 결합된 형태로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와 결합된 물수건 제작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towel maker or a wate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t towel maker and a water dispenser combined with a water purifier having a variety of functions as a combined form of a water dispenser.

음식점에서 식용수와 함께 물수건을 제공하는 것은 일반화되어 있다. 물수건은 세탁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면으로 된 것과 티슈로 된 것이 있다. 티슈는 종이로 되어 있는 것과 부직포로 된 것이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들을 구별하지 않고 모두 물수건이라 칭하기로 한다.Providing towels with drinking water is common in restaurants. Wipes are made of cotton and tissue which can be washed. Tissues are made of paper and non-woven fabrics, and hereinafter, all of them will be referred to as wet wipes.

물수건제작기는 자동적으로 원단을 절단하여 물을 적신후 공급하는 기계로서, 음식점, 항공기 기내 또는 숙박업소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음식점에서는 정수기를 식용수를 통해 공급하고 있다. 정수기는 수도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형식과 생수통을 거꾸로 얹어 사용하는 형식으로 크게 구분된다.Wet towel machine is a machine that automatically cuts the fabric to wet and supply water, and is widely used in restaurants, aircraft cabins, or lodgings. In addition, restaurants supply drinking water through drinking water. Water purifiers are divided into two types: the type used to connect to the water supply and the type used with the bottled water upside down.

이렇듯, 물수건과 정수된 식용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물수건 제작기와 정수기를 별도로 구입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이는 사용자 입장에서 볼 때, 구입시 소요되는 비용의 증가는 물론, 공간활용에 있어서도 비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As such, in order to supply a wet towel and purified drinking water, a towel towel maker and a water purifier must be purchased and installed separately. This can be said to be inefficient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as well as an increase in the cost of purchas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정수기가 결합된 물수건 제작기를 제공함으로써 편리한 사용성 및 경제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정수기능 및 물수건 제작기능 이외에 생수 공급기능을 부가적으로 가지는 종합 물수건 제작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convenient wet towel manufacturing machine combined with a water purifier to provide convenient usability and economic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wet towel maker having additional water supply function in addition to the water purification function and wet towel manufacturing func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물수건 제작기의 일측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one side of the wet towel manufactur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물수건 제작부를 설명하기 위한 물수건 제작기의 타측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other side of the wet towel manufacturing machine for explaining the wet towel manufacturing unit.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물수건 제작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wet towel manufactur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 ; 생수통 6 ; 물탱크4 ; Bottled water bottle 6; Water tank

8 ; 케이스 11 ; 필터부8 ; Case 11; Filter part

12 ; 자외선 살균소독기 14 ; 펌프12; Ultraviolet sterilizer 14; Pump

16 ; 솔레노이드 밸브 18 ; 물수건 원단16; Solenoid valve 18; Wipes fabric

20 ; 물수건 원단 케이스 22 ; 수건 구동장치20; Wipes fabric case 22; Towel drive

24 ; 물수건 말이장치 26 ; 물분사장치24; Wipes roll device 26; Water sprayer

28 ; 제빙부 30 ; 제어부28; Ice making unit 30; Control

32 ; 조작부 34 ; 물수건 배출구32; Control panel 34; Wet towel outlet

36 ; 밸브 38 ; 얼음 배출구36; Valve 38; Ice outlet

위와 같은 목적은, 물공급부,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필터부,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냉각 또는 가열시키기 위한 냉각 및 가열부, 수건원단을 공급하는 수건 공급부, 공급되는 상기 수건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수건 재단부,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을 인출하여 재단된 상기 수건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 물을 흡수한 상기 수건을 외부로 공급하는 물수건 공급부, 상기 냉각 및 가열부를 통과한 물이 배출되는 식수공급 밸브,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하나의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조작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와 결합된 물수건 제작기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the water supply unit, the filter unit for purifying the water supplied, the water tank for storing the purified water, the cooling and heating unit for cooling or heat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towels for supplying the cloth Supply unit, a towel cutting unit for cutting the supplied towel to a predetermined length, a water spray unit for ejecting water in the water tank is cut to spray the water, a wet towel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towel absorbed water to the outside, Drinking water supply valve for discharging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and heating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is installed in one case, the front of the case is a wet towel combined with a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unit is installed Is achieved by the maker.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물수건 제작기는 얼음을 만들어 공급하는 제빙부를 더욱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t towel maker further includes an ice making unit for supplying ice.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물수건 제작기의 일측 구성도이다. 도 2는 물수건 제작부를 설명하기 위한 물수건 제작기의 타측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one side of the wet towel manufactur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other side of the wet towel manufacturing machine for explaining the wet towel manufacturing unit.

물공급부는 2가지 루트를 통해 물을 공급하는데, 하나는 수도와 연결된 파이프(2)를 통해 공급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일반 생수통(4)으로부터 직접 공급하는 것이다. 수도와 연결된 파이프를 통과한 물은 정수 과정을 거쳐 물탱크(6)로 유입된다. 케이스(8)의 상부에는 생수통(4)을 거꾸로 얹을 수 있도록 생수통 안착부(10)가 마련된다.The water supply supplies water through two routes, one through the pipe 2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and the other through the water bottle 4 directly. Water passing through the pipe connected to th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6)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process. The upper part of the case (8) is provided with the bottled water receiving portion 10 so as to place the bottled water (4) upside down.

생수통(4)의 물은 생수통을 이용하는 냉온수기가 가지는 필터링 수단을 거쳐 물탱크(6)로 유입된다. 물을 정수하는 시스템은 중요하므로 필터부(11)에는 여러 방식의 정수시스템이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자외선 살균소독기(12)가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정수 시스템을 거친 물은 식수로 바로 사용될 수 있게 되며, 펌프(14)에 의해 압송되어 물탱크에 저장된다.The water in the bottled water bottle 4 flows into the water tank 6 through the filtering means which the cold and hot water machine using the bottled water bottle has. Since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is important, the filter unit 11 may employ various types of water purification system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ltraviolet sterilizer 12 is introduced. The water passed through this purification system can be directly used as drinking water, and is pumped by the pump 14 and stored in the water tank.

물탱크(6) 내부에는 레벨게이지(level gauge)가 설치되어 물을 적정량으로 저장할 수 있게 한다. 물이 적정량 이상으로 차게 되면, 레벨게이지는 전기신호를 보내 펌프(14) 및 솔레노이드 밸브(16)를 정지시키게 된다. 일정량 이하로 물이 감소되면 펌프는 재가동하여 물을 보충하게 된다.A level gauge is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6 to store water in an appropriate amount. When the water fills up to an appropriate amount, the level gauge sends an electrical signal to stop the pump 14 and solenoid valve 16. If the water is reduced below a certain amount, the pump will restart to replenish the water.

때에 따라서, 사용자는 선택에 따라 수돗물을 사용할 수도 있고 생수통의 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생수통의 물은 식수로만 사용하도록 하고, 수돗물은 물수건 제작에만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물탱크는 2개로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Occasionally, the user may choose to use tap water or use a bottle of w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led water may be used only as drinking water, and the tap water may be used only for making a towel. To this end, the water tank will have to be divided into two.

물탱크(6)에 저장된 물은 식수용, 물수건 제작용 및 제빙용으로 각각 인출되어 사용된다. 물탱크(6) 내에는 냉수가 담겨지며, 이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가열한 상태로 저장하는 온수통(7)이 그 아래에 설치된다.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6 is drawn out and used for drinking water, wet towel manufacturing and ice making, respectively. Cold water is contained in the water tank (6), and a hot water tank (7) for receiving water and storing it in a heated state is installed thereunder.

냉각 및 가열부는 물탱크(6)에 저장된 물을 냉각 또는 가열시키기 수단으로서 일반적인 냉동시스템과 전열히터로 구성된다. 물의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가열되는 온도 및 냉각되는 온도가 상이하므로 이에 따른 온도조절수단이 제공된다. 물수건에 분사되는 물의 온도는 조작부(32, 도 3 참조)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전열히터 또는 냉각시스템은 물수건 제작기용 또는 식수용으로 각각 구별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물탱크만을 공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보다 용이하게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The cooling and heating section is composed of a general refrigeration system and an electric heater as a means for cooling or heat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6). Since the temperature to be heated and the temperature to be cooled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use of water, a temperature control means is provided accordingly.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prayed on the wet towel can be set by the user through the operation unit 32 (see FIG. 3). Here, the heat transfer heater or the cooling system may be installed separately for a wet towel maker or drinking water. That is, to share only the water tank. This makes it easier to configure the system.

물수건 제작은 수건원단을 공급하는 수건 공급부는 물수건 원단(18)을 거치하는 수건 케이스(20) 및 이로부터 수건원단을 회전시켜 인출하기 위한 구동장치(22)로 구성된다. 수건을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수건 재단부는 구동장치 아래에 수건 말이장치(24)와 함께 설치된다. 재단된 수건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과 같은 물분사장치(26)가 제공되며, 이는 역시 상기 물탱크(6)로부터 물을 공급받는다. 말린 상태의 젖은 물수건은 물수건 배출구(34, 도 3 참조)를 통해 배출된다. 물수건 말이장치(24)와 물수건배출구(34)는 함께 물수건 공급부를 구성한다.Towel fabrication is a towel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towel fabric is composed of a towel case 20 for mounting the towel fabric 18 and a driving device 22 for rotating the towel fabric from it. Towel cutting for cutting the towel to a set length is installed with the towel roller 24 under the drive. A water spray device 26 is provided, such as a nozzle for spraying water onto the cut towel, which also receives water from the water tank 6. The wet wipes in the dried state are discharged through the wet towel outlet 34 (see FIG. 3). The wet towel rolling device 24 and the wet towel outlet 34 together constitute a wet towel supply unit.

물수건 원단(18)은 두루마리식으로 감겨진 상태로 제공되는 부직포 또는 종이와 같은 재질로서 회전 가능하게 거치된다. 사용자는 수건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으며, 젖은 수건은 수건 말이장치에 의해 감겨진 상태 또는 접혀진 상태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의 물수건 제작기가 일반적으로 가지는 구성이므로 이상의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The towel fabric 18 is rotatably mounted as a material such as a nonwoven fabric or paper provided in a rolled-up state. The user can set the length of the towel, and the wet towel is discharged in the wrapped or folded state by the towel roll device. Since such a configuration is a configuration that a conventional wet towel maker generally has,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are omitted.

얼음을 제작하기 위한 제빙부(28)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전술한 냉동시스템과 물탱크 내의 물을 이용하게 된다. 얼음은 10mm 내외의 크기로 분쇄된 상태로 일회에 일정량씩 공급된다. 제빙부에 의해 만들어진 얼음은 얼음저장탱크에 보관되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일정량씩 공급된다.An ice making unit 28 for making ice may be installed, which uses the above-mentioned refrigeration system and water in the water tank. The ice is crushed to a size of about 10mm and supplied in a fixed amount at a time. The ice produced by the ice making unit is stored in the ice storage tank, and is supplied by a predetermined amount by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물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물수건 제작, 식수공급 및 제빙에 필요한 물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제공되며, 이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된 구성요소로 하는 회로로 구성된다. 물을 각 부위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용량 펌프 및 솔레노이드 밸브 등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연결하는 파이프 라인에 설치되며, 이는 제어부(30)의 신호에 의해 동작된다.A control unit is provid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or to control the water supply required for the manufacture of the towel, the drinking water supply and the ice making, which consists of a circuit mainly composed of a microcomputer. As a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each part, a small capacity pump, a solenoid valve, and the like are installed in a pipeline connect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which are operated by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30.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물수건 제작기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t towel manufactur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조작부(32), 물수건 배출구(34) 및 식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식수공급 밸브(36)가 케이스의 상부 일측에 각각 설치된다. 그 아래에는 얼음을 공급받을 수 있는 얼음 배출구(38)가 마련된다. 케이스(8)는 사용자가 서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높이를 가진다. 물의 온도, 물없음 또는 수건원단 없음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디지탈방식의 표시부(40)가 마련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32, the wet towel outlet 34, and a drinking water supply valve 36 capable of receiving drinking water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case. Below it is provided with an ice outlet 38 through which ice can be supplied. The case 8 has a height suitable for the user to stand and use. A digital display unit 40 capable of displaying the temperature of water, no water, or no towel cloth may be provided.

사용자는 조작부를 통해 물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물수건의 길이를 조정할 수도 있다. 밸브(36)는 일반적인 정수기에서 사용되는 형식으로서 냉온수를 위하여 2개로 제공되며, 컵을 넣을 수 있는 움푹한 공간(42) 내에 설치된다. 밸브의 저부에는 물받침대(44)가 설치되어 넘치는 물을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케이스(8)의 상면에는 전술한 생수통 안착부(10) 및 물수건 원단(18)을 넣기 위한 덮개(46)가 설치된다.The user can set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through the operation unit, and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wet towel. The valve 36 is a type used in a general water purifier and is provided in two for cold and hot water, and is installed in a recessed space 42 into which a cup can be placed. The bottom of the valve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ort 44 to receive the overflowing water.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8 is provided with a lid 46 for putting the bottled water receiving portion 10 and the wet towel fabric 18 described above.

이상 설명된 바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예를 들면, 제빙기의 설치를 제외할 수 있으며, 설치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생수통을 얹는 위치를 바꿀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물수건이 공급되는 물수건 배출구와 얼음 배출구를 하나의 배출구로 통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생수통은 사용하지 않고 단지 수돗물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물수건이나 얼음은 동전을 투입함에 의해 인출이 가능하도록 자판기 형식이 채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installation of the ice maker may be excluded, the installation location may be changed, and the location of the bottled water may be changed. In addition, the wet towel outlet and the ice outlet which are supplied with the wet towel may be integrated into one outlet. It would also be possible to use only tap water without using bottled water. The reverse is also true. In addition, wet towels or ice may be used to vending machine type to be withdrawn by putting coins.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물수건 제작기와 정수기, 또는 제빙기를 일회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에 있어 편리함은 물론, 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생수통 및 수돗물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어 절수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원하는 온도로 물을 공급할 수 있어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ser can purchase and use a wet towel maker and water purifier or ice maker once. Therefore, not only convenience in use but also cost can be reduced. In addition, it does not take up a lot of space, thereby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In addition, the bottled water and tap water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at a desired temperature while avoiding water saving,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

Claims (4)

물공급부,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필터부,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냉각 또는 가열시키기 위한 냉각 및 가열부, 수건원단을 공급하는 수건 공급부, 공급되는 상기 수건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수건 재단부,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을 인출하여 재단된 상기 수건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 물을 흡수한 상기 수건을 외부로 공급하는 물수건 공급부, 상기 냉각 및 가열부를 통과한 물이 배출되는 식수공급 밸브,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하나의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조작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와 결합된 물수건 제작기.Water supply unit, the filter unit for purifying the water supplied, the water tank for storing the purified water, the cooling and heating unit for cooling or heat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the towel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towel fabric, the supplied Towel cutting unit for cutting the towel into a constant length, water spray unit for ejecting water in the water tank and spraying the water to the cut towel, wet towel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absorbed water to the outside, the cooling and heating unit Drinking water supply valve for discharging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is installed in one case, the front of the case is a wet towel maker combined with a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unit is install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수도 및 생수통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케이스 상부에 위치한 생수통이 놓여지는 생수통 안착부와, 케이스 배면에 위치하는 수도와 연결된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와 결합된 물수건 제작기.The water supply unit of claim 1, wherein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bottled water container seating portion in which a bottle of water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so as to selectively supply water from the water and the bottled water, and a pipe connected to the water disposed on the back of the case. Wet maker combined with a water purifier. 제 1항에 있어서, 얼음을 제작하여 공급할 수 있는 제빙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빙부는 상기 물탱크와 연결됨으로써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와 결합된 물수건 제작기.The wet towel mak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ce making unit capable of producing and supplying ice, wherein the ice making unit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to receive wa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건원단은 두루마리식으로 된 부직포 또는 티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와 결합된 물수건 제작기.The towel maker of claim 1, wherein the towel fabric is a rolled nonwoven fabric or tissue.
KR2020010007397U 2001-03-19 2001-03-19 Wet towel machine having water purifier KR20023380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397U KR200233809Y1 (en) 2001-03-19 2001-03-19 Wet towel machine having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397U KR200233809Y1 (en) 2001-03-19 2001-03-19 Wet towel machine having water purifi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973A Division KR20020073975A (en) 2001-03-19 2001-03-19 Wet towel machine having water purif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809Y1 true KR200233809Y1 (en) 2001-10-18

Family

ID=73097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397U KR200233809Y1 (en) 2001-03-19 2001-03-19 Wet towel machine having water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809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6453A (en) Filtered water dispensing cabinet
US5573142A (en) Bottled water dispensing cabinet
US5285718A (en) Combination beverage brewer with cold water supply
US8695371B2 (en) Refrigerator dispenser assembly including a water conditioning cartridge
JP2825477B2 (en) Cold and hot water purifier
JP2014208316A (en) Coffee maker
JP2004303182A (en) Beverage supply unit
JP2009502276A (en) Beverage system
KR20020073975A (en) Wet towel machine having water purifier
CN102999974B (en) Wet tissue vending machine
CN101372805B (en) Drier and washing drier
KR200233809Y1 (en) Wet towel machine having water purifier
US11104568B2 (en) Non-electric fountain beverage dispensers and systems
US2688381A (en) Soda water making process and apparatus
KR100377006B1 (en) Cold wet towel machine for both making drinkable water and the towel
CN104928097B (en) Wine cabinet
KR200331539Y1 (en) Wet towel vending machine
KR200435186Y1 (en) Tea supply system
JPH094958A (en) Hot and chilled water generator
CN215532580U (en) Multifunctional tea table
KR200172423Y1 (en) Cold and hot clean water possess both a refrigerator
KR100843261B1 (en) Refrigerationd show-case using cooling water invehicle
JP4384568B2 (en) Beverage cooling supply device and beverage cooling method
KR100196278B1 (en) A percolator attached to a water purifier
KR200232233Y1 (en)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vertically integrated with automatic v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