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186Y1 - Tea supply system - Google Patents
Tea supply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5186Y1 KR200435186Y1 KR2020060022811U KR20060022811U KR200435186Y1 KR 200435186 Y1 KR200435186 Y1 KR 200435186Y1 KR 2020060022811 U KR2020060022811 U KR 2020060022811U KR 20060022811 U KR20060022811 U KR 20060022811U KR 200435186 Y1 KR200435186 Y1 KR 20043518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supply
- storage container
- hot
- cold water
- col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1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mix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1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using ingredient cartri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8—Supports
- B67D3/0083—Supports for the liquid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2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 B67D1/0022—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 B67D1/002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control of the amount of the mixture, i.e. after mix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2—Liquid-dispensing valves having operating members arranged to be pressed upwards, e.g. by the rims of receptacles held below the delivery orif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차공급 시스템은, 음용수 공급장치의 케이스(10)에 인출 가능하게 내장되는 저장용기(32) 및, 저장용기(32)의 일측면에 구비된 배출코크(34)로 구성된 음료카트리지(30)와, 음용수 공급장치의 온수탱크(12)에 저장된 온수를 상기 음료카트리지(30)의 저장용기(32)로 공급하는 온수공급관(40)과, 음용수 공급장치의 냉수탱크(14)에 저장된 냉수를 상기 음료카트리지(30)의 저장용기(32)로 공급하는 냉수공급관(42)과, 상기 온냉수 공급관(40)(42)을 통한 저장용기(32)로의 온냉수공급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공급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ifference supply system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container 32 is removably embedded in the case 10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nd the discharge cock 34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32 The beverage cartridge 30 and the hot water supply pipe 40 for supplying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12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to the storage container 32 of the beverage cartridge 30, and the cold water tank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Cold water supply pipe 42 for supplying the cold water stored in the (14) to the storage container 32 of the beverage cartridge 30, and supplying hot and cold water to the storage container 32 through the hot and cold water supply pipe (40) (42) It comprises a supply control device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상기 음료카트리지(30)의 저장용기(32)는 상면이 개방된 컵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온냉수 공급관(40)(42)은 저장용기(32)의 상방에서 물을 배출하여 저장용기(32)에 급수토록 설치된다.The storage container 32 of the beverage cartridge 30 is formed in a cup shape with an open top surface, and the hot and cold water supply pipes 40 and 42 discharge water from above the storage container 32 to store the storage container 32. ) Is installed to supply water.
상기 공급제어장치는 온수공급관(40)과 냉수공급관(42)에 각각 장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 공급관(40)(42)의 통유상태를 연결/차단하는 버튼밸브(50)(50')로 이루어진다.The supply control device is mounted on the hot water supply pipe 40 and the cold water supply pipe 42, respectively, and button valves 50 and 50 'which connect / block the oil supply state of each of the supply pipes 40 and 42 by a user's operation. )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차음료가 저장되는 음료카트리지가 탈착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세척이 용이하고, 온음료 뿐만 아니라, 냉음료도 쉽게 만들 수 있는 등, 그 활용도가 높고 음용수 공급장치의 상품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everage cartridge in which the tea beverage is stored is a removable structure, it is easy to wash, and not only hot beverage but also cold beverage can be easily made, and its utilization is high, and the commerciality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is high. There is an advantage to help improve.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차공급수단이 구비된 음용수 공급장치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이다.1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with a tea supply means.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공급 시스템이 구비된 음용수 공급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with a tea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a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공급 시스템에 적용되는 공급제어장치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upply control device applied to the vehicle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공급 시스템의 노즐코크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nozzle cock structure of a vehicle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공급 시스템에 적용된 냉온유지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배관도이다.Figure 6 is a schematic piping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ld and hot maintenance means applied to the tea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케이스 12: 온수탱크10: case 12: hot water tank
14: 냉수탱크 30: 음료카트리지 14: cold water tank 30: beverage cartridge
32: 저장용기 34: 배출코크 32: storage container 34: discharge cock
40: 온수공급관 42: 냉수공급관 40: hot water supply pipe 42: cold water supply pipe
50: 버튼밸브 52: 밸브하우징 50: button valve 52: valve housing
54: 밸브바디 58: 작동버튼 54: valve body 58: operation button
60: 전열판 62: 보조냉각기60: heat transfer plate 62: subcooler
64: 보조냉각라인 66: 냉각밸브64: auxiliary cooling line 66: cooling valve
68: 냉온제어 스위치68: cold / temperature control switch
본 고안은 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음료를 손쉽게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의 차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a supply system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to facilitate the making of tea beverages.
일반적으로 음용수 공급장치로서는, 청정지역의 지하수를 채취하여 용기에 담아서 파는 이른바 생수를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생수디스펜서와, 수돗물을 여과하여 공급하는 정수기 등이 있다. In general, drinking water supply apparatuses include a bottled water dispenser for easily utilizing so-called bottled water that is collected and sold in a container in a clean area, and a water purifier for filtering tap water.
상기 생수디스펜서는 생수통이 역상으로 안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 에 구비된 냉각 및 가열수단, 상기 냉각 및 가열수단에 의해 냉각 및 가열된 생수를 일정량 저장하기 위한 냉,온수탱크, 상기 각 탱크에 저장된 온냉수를 배출토록 하기 위한 급수콕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The bottled water dispenser includes a case in which the bottle is placed in reverse, a cooling and heating means provided in the case, a cold and hot water tank for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bottled water cooled and heated by the cooling and heating means, and each tank. It includes a water supply cock to discharge stored hot and cold water.
이러한 생수디스펜서에 의하면 생수통에 담겨진 생수가 케이스내의 냉각 및 가열수단을 거치면서 냉각 및 가열되고 각각의 탱크에 별도로 저장되며, 사용자는 급수코크를 이용하여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급수받아 사용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bottled water dispenser, the bottled water is cooled and heated through cooling and heating means in the case and stored separately in each tank, and the user receives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and the hot water tank using the water supply coke. Done.
정수기는 수돗물을 여과하여 음용수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돗물을 여과하는 필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여과된 수돗물을 냉각 및 가열하여 별도로 저장하고, 급수콕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은 생수디스펜서와 유사하다.The water purifier is used for filtration of tap water as drinking water, and is provided with a filter for filtration of tap water, and the configuration for cooling and heating the filtered tap water separately and storing the discharged water through a water cock is similar to that of a bottled water dispenser. .
이와 같은 생수디스펜서 및 정수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손쉽게 음용수을 얻을 수 있게 됨으로써 생활의 편리함이 더해졌다고 볼 수 있다.According to the bottled water dispenser and the water purifier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easily obtain the drinking water, and thus, the convenience of life can be added.
한편, 생수디스펜서 내지는 정수기와 같은 음용수 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음용수이기 때문에 그냥 마실수도 있지만, 각종 차나 과즙음료 등을 만들기 위해서도 사용되는데, 차를 만들기 위해서는 컵 등에 물을 받아서 차분말을 직접 컵에 넣거나, 차분말이 들어있는 티백을 물에 담가서 차성분을 우러나오도록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such as bottled water dispenser or water purifier can be drunk just because it is drinking water, but it is also used to make various teas or juice drinks. Put it in a tea bag or soak it in water to bring out the tea ingredients.
그런데,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차를 대량으로 준비해야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잔에 별도로 차가루나 티백을 넣고 차를 우려내야 하기 때문에 그 준비가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By the way, according to this method, whe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large amount of tea, there is a problem in that preparation is cumbersome because tea should be put in each cup separately with tea powder or tea bags.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공급수단이 구비된 음용수 공급장치가 안출되었는 바, 종래의 차공급수단은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음용수 공급장치의 케이스(10)에 내장된 티백(tea bag)수납통(20)과, 온수탱크(12)에서 상기 티백수납통(20)으로 연결된 온수공급관(22)과, 상기 티백수납통(20)에서 케이스(10)의 외부로 이어지는 티배출관(24)과, 상기 티배출관(24)의 선단에 구비된 티코크(26)로 이루어져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having a tea supply means has been devised, and the conventional tea supply means is a tea bag built in the
상기 티백수납통(20)은 그 상면이 케이스(10)의 상면을 통해 개방되며, 회전덮개(201)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티백수납통(20)에는 티백(T)을 넣어서 사용하게 된다.The tea
이러한 종래의 차공급수단에 의하면, 티백수납통(20)에 티백(T)이 담겨진 상태에서 온수탱크(12)로부터 공급된 온수가 상기 티백수납통(20)에 저장되며, 티백(T)에서 차가 우려져나와서 차가 만들어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티코크(26)를 통해 차를 받아서 음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a supply means, the hot water supplied from the
한편,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상기 티백수납통(20)에는 순수한 물이 아니라 차음료가 저장되기 때문에, 티백수납통(20)의 내부를 자주 청소해서 잔류된 차성분이 부패하거나, 차성분으로 인해 티백수납통(20)내에 곰팡이가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is prior art, since the tea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하면 티백수납통(20)이 케이스(10)에 고정장착되어 있는 구조상 티백수납통(20)을 청소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그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ince the tea
그리고, 이용가능한 차원료의 종류도 제한되는데, 이는 역시 티백수납통(20)이 고정장착된 특성상 티백형태로 포장되지 않은 가루형태의 차를 직접 티백수납통(20)에 넣어서 사용하게 되면, 티백수납통(20)을 청소할 때 그 내부에 있는 차가루까지도 수거해야 하는 커다란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이다. And, the kind of available dimensional material is also limited, which is also used when the tea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티백수납통(20)내의 음료를 보온유지할 만한 수단이 없기 때문에 티백수납통(20)내에 물이 공급된 후에 즉시 차를 음용하지 않으면, 차 맛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since there is no means to keep the beverage in the tea
더불어, 종래기술에서는 냉수탱크(14)로부터 티백수납통(20)으로 냉수를 공급하는 구성이 없는 특성상 하절기 등과 같이 냉음료가 필요한 시기에는 활용성이 낮아진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vailability is lowered when a cold drink is required, such as in the summer, due to the absence of a configuration for supplying cold water from the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별도로 차를 만드는 번거로움 없이 대량의 차를 손쉽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세척이 용이하고, 온음료 뿐만 아니라 냉음료도 만들 수 있는 등, 활용도가 높은 음용수 공급장치의 차공급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can be easily supplied with a large amount of tea without the hassle of making a separate car, and at the same time easy to clean, and can make not only hot drinks but also cold drink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fference supply system for a high-availability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음용수 공급장치의 차공급 시스템은, 음용수 공급장치의 케이스에 인출 가능하게 내장되는 저장용기 및, 저장용기의 일 측면에 구비된 배출코크로 구성된 음료카트리지와, 음용수 공급장치의 온수탱크에 저장된 온수를 상기 음료카트리지의 저장용기로 공급하는 온수공급관과, 음용수 공급장치의 냉수탱크에 저장된 냉수를 상기 음료카트리지의 저장용기로 공급하는 냉수공급관과, 상기 온냉수 공급관을 통한 저장용기로의 온냉수공급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공급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tea supply system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provid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beverage container composed of a storage container retractably embedded in a case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 discharge cartridg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and drinking water supply. The hot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of the device to the storage container of the beverage cartridge, the cold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cold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to the storage container of the beverage cartridge, and through the hot and cold water supply pipe It includes a supply control device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hot and cold water supply to the storage container.
상기 음료카트리지의 저장용기는 상면이 개방된 컵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온냉수 공급관은 음료카트리지와 직접연결되지않고 저장용기의 상방에서 물을 배출하여 저장용기에 급수토록 설치된다.The storage container of the beverage cartridge is formed in a cup shape with an open top surface, and the hot / cold water supply pipe is installed to supply water to the storage container by discharging water from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without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beverage cartridge.
상기 공급제어장치는 냉수공급관과 온수공급관에 각각 장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 공급관의 통유상태를 연결/차단하는 버튼밸브로 이루어진다.The supply control device is mounted on the cold water supply pipe and the hot water supply pipe, respectively, and consists of a button valve for connecting / blocking the oil supply state of each supply pipe by a user's operation.
이하, 본 고안의 각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부터 도 6 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Hereinafter,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and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as in the prior art.
본 실시예에 따른 차공급 시스템은, 생수디스펜서나 정수기 등의 음용수 공급장치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며, 도 1과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음용수 공급장치의 케이스(10)에 형성된 장착홀(10a)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내장되는 음료카트리지(30)와, 상기 음료카트리지(30)로 온냉수를 공급하는 온냉수 공급관(40)(42), 온냉수 공급관(40)(42)을 통한 온냉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공급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tea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monly applied to drinking water supply devices such as bottled water dispensers or water purifiers, and is provided through mounting
상기 음료카트리지(30)는 소정용량의 저장용기(32)와, 저장용기(32)의 일측면에 구비된 배출코크(34)로 구성되는데, 상기 배출코크(34)는 저장용기(32)가 케이스(10)에 내장된 상태에서 케이스(10)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여기서, 상기 저장용기(32)는 상면이 개방된 컵형태이며, 배출코크(34)가 구비된 그 일측면에는 손잡이(36)가 구비되며, 케이스(10)에 내장된 상태에서 음료의 저장량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 저장용기(32)에는 상면을 개폐할 수 있는 뚜껑(38) 또한 구비되는데, 상기 뚜껑(38)에는 후술된 노즐코크(44)와 연통되는 주입홀(38a)이 형성되어 있다.Here, the
상기 공급제어장치는 온수공급관(40)과 냉수공급관(42)에 각각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 공급관(40)(42)의 통유상태를 연결/차단하는 한쌍의 버튼밸브(50)(50')로 이루어지는데, 도 4a, 4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버튼밸브(50)(50')는, 밸브하우징(52)과, 밸브하우징(52)내에 장착되는 밸브바디(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upply control device is connected to the hot
상기 밸브하우징(52)은 유입포트(521)가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에 토출포트(522)가 구비되며, 그 내부에 통유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The
상기 밸브바디(54)는 밸브하우징(52)의 내에 직선왕복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일단에 밸브하우징(52) 외부로 돌출되는 축부(541)가 구비된 구조로서, 위치에 따라 상기 유입포트(521) 내지는 토출포트(522)를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밸브하우징(52) 내에는 상기 밸브바디(54)를 일측으로 탄성압박하여 유입포트(521) 및 토출포트(522)가 차단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탄성부재(56)가 구비되 어 있다.The
상기 버튼밸브(50)(50')는 케이스(10)의 내면에 접하여, 밸브바디(54)의 축부(541) 선단이 케이스(10)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케이스(10) 외부로 돌출된 축부 선단에는 작동버튼(58)이 부착된다.The
여기서, 밸브하우징(52)의 유입포트(521)에는 온냉수탱크(12)(14)에서 이어지는 온냉수 공급관(40)(42)의 일부가 연결되며, 토출포트(522)에는 음료카트리지(30)의 상방으로 이어지는 온냉수 공급관(40)(42)의 일부가 연결되는데, 온냉수공급관(40)(42)의 토출측 선단은 노즐코크(44)에 공통적으로 연결된다.Here, the
상기 노즐코크(44)는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하방으로 하나의 토출구(44a)가 형성되고, 케이스(10)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지지판(미도시) 등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서, 음료카트리지(30)가 케이스(10)에 내장된 상태에서는 토출구(44a)가 저장용기 뚜껑(38)의 주입홀(38a)과 정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차공급 시스템은 음료카트리지(30)의 저장용기(32)를 선택적으로 보온유지하거나 냉각유지하기 위한 냉온유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d, the tea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mprises a cold and hot holding means for selectively maintaining or maintaining the
상기 냉온유지수단은 도 6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음료카트리지(30)의 저장용기(32) 측면에 접하도록 구성되며 전원공급을 통해 발열 작동되는 전열판(60)과, 역시 저장용기(32)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구성된 보조냉각기(62)와, 음용수 공급장치의 냉각라인(5)에서 분기되어 상기 보조냉각기(62)로 냉매를 공급하는 보조냉각라인(64)과, 상기 보조냉각라인(64) 상에 구비되어 보조냉각기(62)로 유동되는 냉 매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연통시키는 냉각밸브(66)와, 상기 전열판(60) 및 냉각밸브(66)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냉온제어스위치(68)로 구성된다.The cold and hot holding means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여기서, 상기 냉온제어스위치(68)는 케이스(10)의 외부에 배치되며, 접점위치에 따라 냉각 및 보온 작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토글(toggle)스위치 형태로 구성된다.(도 3 참조)Here, the cold
도 6에서 미설명된 부호 6, 7, 8, 9는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냉각탱크의 냉각을 위한 냉각기를 각각 나타낸다.6, 7, 8, and 9 that are not described in FIG. 6 represent a cooler for cooling the compressor, the condenser, the expansion valve, and the cooling tank constituting the refrigeration cycl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차공급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a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음료카트리지(30)의 저장용기(32)에 티백이나 차 가루 등의 차원료를 담고, 음료카트리지(30)를 케이스(10)내에 장착한 다음, 버튼밸브(50)(50')의 작동버튼(58)(58')을 눌러서, 온수탱크(12) 내지는 냉수탱크(14)로부터 음료카트리지(30)의 저장용기(32)로 온수내지는 냉수가 공급되도록 한다.First, the
이때 상기 버튼밸브(50)(50')에 의하면, 사용자가 작동버튼(58)을 누르는 작동에 의해 밸브바디(50)가 탄성부재(56)를 압축하면서 일측으로 압박되는 경우에만 유입포트(521) 및 토출포트(522)가 개방되어 저장용기(32)로 온냉수가 공급되며(도 4b 참조), 사용자가 작동버튼(58)을 누르는 작동을 멈추면 탄성부재(56)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바디(5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유입포트(521) 내지는 토출포트(522)가 다시 막히게 되어 온냉수의 공급이 정지된다.(도 4a 참조)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따라서, 사용자는 온냉수 공급관(40)(42)에 연결된 각 버튼밸브(50)(50')의 작동버튼을 누르는 시간을 조절하여 저장용기(32)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양 작동버튼(58)을 조합하여 누름으로써 온수와 냉수가 섞이도록 하여 공급되는 물의 온도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adjus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그리고, 음료카트리지(30)의 저장용기(32)로 공급된 물이 차원료와 혼합되어 차음료가 만들어지면, 사용자는 케이스(10) 외부로 돌출된 배출코크(34)를 통해 차음료를 컵 등으로 받아서 곧 음용할 수 있게 된다.Then, when the water supplied to the
냉차나 과즙음료 등을 만드는 경우에는 음료카트리지(30)의 저장용기(32)에 차원료 내지는 농축과즙원료 등을 넣고 냉수측 버튼밸브(50')를 조작하여 저장용기(32)에 냉수가 공급되도록 하여 계절이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음료를 만들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making a cold tea or a juice drink, etc., a dimension material or a concentrated fruit juice material is put into 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음료카트리지(30)가 케이스(10)에서 착탈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음료카트리지(30)를 케이스(10)에서 꺼내어 간편하고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상 티백형태의 차원료 뿐만 아니라, 찌꺼기가 남는 가루형태의 차원료 및 페이스트(paste)형태의 농축과즙원료 등도 얼마든지 이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더불어, 차의 종류를 바꾸거나 할 때에도 음료카트리지(30)를 케이스(10)에서 꺼내어 깨끗하게 세척한 다음, 다른 종류의 차원료를 투입하여 사용함으로써 차 맛이 섞이지 않고 깔끔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changing the type of tea, take out the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음료카트리지(30)의 저장용기(32)가 투명소재이기 때문에 저장용기(32)에 온냉수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넘치지 않도록 사용자가 눈으로 보면서 공급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저장된 차음료의 잔량 또한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적정량의 차를 준비해 둘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냉온유지수단이 구비된 특성상, 저장용기(32)에 저장된 차음료를 그 특성에 맞게 보온유지 내지는 냉각유지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old beverage stored in the
먼저, 냉온제어스위치(68)가 중립인 상태, 즉 오프(off)상태에서는 전열판(60)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고, 냉각밸브(66) 또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저장용기가 상온으로 유지된다.First, when the cold
따뜻한 차를 만드는 경우에는 온수측 버튼밸브를 조작하여 저장용기(32)에 온수를 공급받음은 물론, 냉온제어스위치(68)를 보온모드로 전환하게 되는데, 보온모드에서는 전열판(60)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열판(60)이 발열됨으로써 저장용기(32)가 보온되며 저장된 차음료가 식어서 그 맛과 향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the case of making a warm car, the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차가운 차를 만드는 경우에는 냉수측 버튼밸브를 조작하여 저장용기(32)에 냉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냉온제어스위치(68)를 냉각모드로 전환하게 되는데, 냉각모드에서는 냉각밸브(66)가 개방작동되어 보조냉각라인(64)을 통해 보조냉각기(62)로 냉매가 유동됨으로써 보조냉각기(62)의 냉각작동으로 저장용기(32)가 냉각되며, 저장용기(32)에 저장된 차가운 차음료가 기온에 의해 데워져서 본래의 맛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making a cold car, cold water is supplied to the
한편, 냉온제어스위치(68)를 통한 각 모드전환시에는 반대 모드의 작동이 자동으로 정지되어 각 모드간의 상호 충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switching to each mode through the cold
즉, 보온모드에서는 냉각밸브(66)가 자동으로 폐쇄작동되어 보조냉각기(62)로의 냉매공급이 차단되며, 냉각모드에서는 전열판(60)으로의 전원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되어 전열판(60)의 발열작동이 정지된다.That is, in the warming mode, the cooling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차공급 시스템에 의하면 차음료가 저장되는 음료카트리지가 탈착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세척이 용이하고, 온음료 뿐만 아니라, 냉음료도 쉽게 만들 수 있는 등, 그 활용도가 높고 음용수 공급장치의 상품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tea supply system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beverage cartridge in which the tea beverage is stored is removable structure, easy to clean, not only hot beverage, but also cold beverage, etc., Its utilization is high and it has the advantage of helping to improve the commercialization of drinking water supply.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2811U KR200435186Y1 (en) | 2006-08-25 | 2006-08-25 | Tea supply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2811U KR200435186Y1 (en) | 2006-08-25 | 2006-08-25 | Tea supply system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43548A Division KR100763997B1 (en) | 2006-05-15 | 2006-05-15 | Tea supply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5186Y1 true KR200435186Y1 (en) | 2007-01-10 |
Family
ID=4155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2811U KR200435186Y1 (en) | 2006-08-25 | 2006-08-25 | Tea supply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5186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2796B1 (en) * | 2009-03-27 | 2011-11-11 | 서경아 | water supply equipment |
-
2006
- 2006-08-25 KR KR2020060022811U patent/KR200435186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2796B1 (en) * | 2009-03-27 | 2011-11-11 | 서경아 | water supply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01635B2 (en) | Method of producing a drink, and drinks-preparing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 |
KR100518800B1 (en) | Drink supply apparatus | |
RU2678896C2 (en) | Beverage preparation device for hot and cold beverages | |
AU2015101367A4 (en) | Fresh-brewed cold beverage dispensing machine | |
TW201018434A (en) | Coffee machine with system for producing cold coffee | |
KR101398608B1 (en) |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sensing means for water leakage | |
CN201005504Y (en) | Refrigerating type drink-making machine | |
KR200435186Y1 (en) | Tea supply system | |
KR20180010474A (en) |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transparent ice maker | |
KR100763997B1 (en) | Tea supply system | |
CA2887837A1 (en) | A temperature-controlled liquid infusing device | |
US11608258B2 (en) | Multi-purpose hydration station | |
KR20180020844A (en) | An ice making device having pure water supplier | |
JP3886282B2 (en) | Beverage supply equipment | |
KR20130067114A (en) |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sensing means for water leakage | |
KR101276315B1 (en) | Ice dispenser and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ice maker using the same | |
KR20140013732A (en) |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ice maker | |
EP3001936A1 (en) | Fresh-brewed cold beverage dispensing machine | |
KR100638147B1 (en) | Compact water cooling and heating unit | |
KR20190124834A (en) | Refrigerator having ice making drum | |
KR200320026Y1 (en) | Water purifiers for supplying tea | |
KR200199036Y1 (en) | Water purifier having ice-making function | |
KR200359340Y1 (en) | Compact water cooling and heating unit | |
JP2001283316A (en) | Automatic vending machine | |
KR101276316B1 (en) |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ice mak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