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793Y1 -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전구 - Google Patents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793Y1
KR200233793Y1 KR2020010006328U KR20010006328U KR200233793Y1 KR 200233793 Y1 KR200233793 Y1 KR 200233793Y1 KR 2020010006328 U KR2020010006328 U KR 2020010006328U KR 20010006328 U KR20010006328 U KR 20010006328U KR 200233793 Y1 KR200233793 Y1 KR 200233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driving circuit
bulb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인선
박준석
Original Assignee
여인선
박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인선, 박준석 filed Critical 여인선
Priority to KR2020010006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7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793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빛의 3원색인 적색, 청색, 녹색의 발광다이오드(LED)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성된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3 Component LED;31)를 이용한 조명 전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크게 4부분으로 구성 되어 있는데, 전원과 연결되는 베이스부(10),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구동회로부(20),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3 Component LED;31)의 발광부(30), 발광부분을 보호하고 배광을 조정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의 외구(Bulb)부분(40)으로 나눈다.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3 Component LED;31)의 발광부(30)는 제조공정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기본 발광 모듈판(32)을 만들어 이를 조합해 직선형, 삼각기둥형, 사각기둥형, 오각기둥형, 육각기둥형(60) 형태로 구성 하여 일반 조명등과 같이 사용 할 수 있도록 한점이 그 특징이라 하겠다. 또한, 구동회로부(20)의 외형에 패턴 버튼(21)를 설치하여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3 Component LED;31)의 색가변을 구현 할 수 있어 장식 조명등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고안 하였다.

Description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전구{3 Component LED Electric Lamp}
본 고안은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전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빛의 3원색인 적색, 청색, 녹색의 발광다이오드(LED)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성된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3 Component LED;31)를 채택한 조명전구이다.
종래에도 LED를 이용한 전구에 관련된 선행기술로, 등록실용 0202401호에 의해서는 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전방위치의 돔형 캡(3) 내면에 고정설치하여, 몸체부(1)에 형성된 돔형의 반사수단(4)에 의해 측방부및 후방부에 조명을 반사 시키는 하나의 소켓형발광다이오드전구는 내부의 발광다이오드 갯수변화에 의해 조도를 조정하며,적색이나 녹색의 LED로 칼라를 연출할수 있도록 한 선행기술 및, 상기 돔형의 반사수단(4)이 다소 밋밋한 형태로 컵형의 지지용로드 내주연에 배치한 LED(21)의 조명빛이 반사수단(4)에 반사되여 전방위치의 렌즈(40)를 통해 조사되게 한 선행기술(등록실용 제0164709호)이나, 발광소자인 LED와 전원변환장치를 일체화하여 나선형 전구내에 내설봉입한 선행기술(등록실용 제0164709호)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들에 의한 종래의 발광다이오드(LED) 조명등은 백열전구 형태로 발광다이오드(LED)의 배치에 어려움이 있어 복잡한 제작 공정을 거쳐야 했고, 발광다이오드(LED) 조명등의 와트(Watt)수가 증가 할수록 제작 공정은 더욱 복잡하였다.
또한, 청색과 황색을 조합한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하여 백색을 얻었기 때문에 빛의 3원색을 조합한것 보다는 정확한 색 구별이 어려웠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써, 본고안의 목적은 빛의 3원색인 적색, 청색, 녹색의 발광다이오드(LED)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성한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3 Component LED)를 형성한 조명전구에 의해, 정확한 색 구별이 가능하며 발광다이오드(LED) 조명등의 와트(Watt)수가 증가 하더라도 기본 발광 모듈판을 이용하여 직선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의 형태로 손쉽게 늘려 사용하기 때문에 제작 공정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구동회로에 패턴 버튼을 설치하여 각각의 패턴에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내장되어있는 패턴대로 적색, 청색, 녹색의 발광다이오드(LED)를 각각 제어, 다양한 발광 광을 나타낼 수 있어 장식등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조명등의 일 예의 사시도.
도 2는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3 Component LED) 횡단면도와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부의 기본모듈판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부의 또다른 응용실시 횡단면 참고패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기본모듈발광부를 슬롯연결소켓에 조립함을 나타낸 참고도.
도 6은 본 고안의 색가변 제어장치의 블록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부 20 : 구동회로부
21 : 패턴 버튼 30 : 발광부
31 :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3 Component LED)
32 : 기본발광모듈판 40 : 외구부
50 : 육각 발광모듈판 70 : 슬롯연결소켓
80 : 구동회로부커버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구성을 알아 본다.
도 1은 본 고안 조명등의 일예의 사시도로서, 전원과 연결되는 베이스부(10)와 플라스틱 재질의 외구부(Bulb;40)와 상기 베이스부(10)와 외구부(40)사이의 몸체내부에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구동회로부(20)와 구동회로부에 내장한 마이크로컨트롤러(도시되지 않았음)가 내장된 통상의 전구에 있어서,상기 구동회로부(20)의 외측부에는 패턴버튼(21)를 형성하되, 상단의 구동회로부커버(80) 저부에 형성한 슬롯연결소켓(70)에는,직류전원(35)단자와 적색(36), 청색(37), 녹색(38)의 발광다이오드(LED)가 하나의 칩(Chip)형태로 볼록렌즈돔(39)커버 아래 일체 형성된 삼색조합발광다이오드(3 Component LED;31)를 하단에 전원부 +(33), -(34)가 형성된 직사각형의 PCB기판에 바둑판형으로 고정해 형성한 기본발광모듈판 (32)을 슬롯식으로 꼽아 육각기둥형으로 형성하되, 상부는 육각 발광모듈판 (5)을 덮어 발광부(30)를 구성한 것이다.
도 2는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3 Component LED;31)로 직류전원(35)을 인가하면 각각 적색(36), 청색(37), 녹색(38)의 LED가 발광하여 최종적으로 볼록렌즈돔 (39) 밖의 출력광은 백색이다.
도 3은 발광부(30)의 기본발광모듈판(32)으로 PCB작업을 통해서,삼색조합발광다이오드(31)를 바둑판식으로 배치하되, 슬롯연결소켓(70)에 연결이 쉽도록 전원부 +(33), -(34)을 만들어 놓았다.
도 4는 발광부(30)의 기본발광모듈판(32)의 응용실시패턴으로 플랫형, 사각기둥형, 오각기둥형, 육각기둥형 모양의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3 Component LED; 31) 조명등을 만들수 있으며,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기본발광모듈판(32)과 구동회로부(20)와 연결이 쉽도록 슬롯방식연결소켓(70)에 조립함을 나타낸 참고도로써,발광부(30) 일부의 기본발광모듈판(32)이 수명이 다하여 교체할 경우 쉽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6은 본 고안에 있어서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3 Component LED;31) 구동회로의 블록도로써,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하여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해서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3 Component LED;31)의 적색(36), 청색(37), 녹색(38)의 발광다이오드(LED)를 각각 제어하여 다양한 발광 광을 나타내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3 Component LED;31)를 이용하여 구동회로부에 내장한 마이크로컨트롤러(도시되지 않았음)를 이용하여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해서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3 Component LED;31)의 적색(36), 청색(37), 녹색(38)의 발광다이오드(LED)를 각각 제어하는 기본발광모듈판(32)를 제작함으로써, 다양한 발광광을 연출할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발광부(30)는 기본발광모듈판(32)을 직선기둥형, 삼각기둥형, 사각기둥형, 오각기둥형, 육각기둥형과 같은 패턴으로 다양히 증가시켜, 와트(Watt)수에 따라서 형태를 변형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또한, 모듈판을 슬롯방식으로 슬롯연결소켓(70)에 끼우는 형식이기 때문에 그 공정 작업이 손쉽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3)

  1. 전원과 연결되는 베이스부(10)와 플라스틱 재질의 외구부(Bulb;40)와 상기 베이스부(10)와 외구부(40)사이의 몸체내부에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구동회로부(20)와 구동회로부에 내장한 마이크로컨트롤러(도시되지 않았음)가 내장된 통상의 전구에 있어서,상기 구동회로부(20)의 외측부에는 패턴버튼(21)를 형성하되, 상단의 구동회로부커버(80) 저부에 형성한 슬롯연결소켓(70)에는, 직류전원 (35)단자와 적색(36), 청색(37), 녹색(38)의 발광다이오드(LED)가 하나의 칩(Chip)형태로 볼록렌즈돔(39)커버 아래 일체 형성된 삼색조합발광다이오드(3 Component LED;31)를 하단에 전원부 +(33), -(34)가 형성된 직사각형의 PCB기판에 바둑판형으로 고정해 형성한 기본발광모듈판(32)을 슬롯식으로 꼽아 육각기둥형으로 형성하되, 상부는 육각 발광모듈판(5)을 덮어 발광부(3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전구.
  2. 제1항에 있어서, 발광부(30)는 기본발광모듈판(32)으로 육각기둥형의 패턴 (60)외에도 직선형, 삼각기둥형, 사각기둥형, 오각기둥형, 육각기둥형의 패턴(60)로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전구.
  3. 제1항에 있어서, 구동회로부(20)의 외측에 형성된 패턴버튼(21)으로 마이크로프로세어에 내장된 패턴대로 적색, 청색, 녹색의 발광다이오드(LED)를 각각 제어시켜 다양한 발광 광을 나타낼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전구.
KR2020010006328U 2001-03-09 2001-03-09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전구 KR200233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328U KR200233793Y1 (ko) 2001-03-09 2001-03-09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328U KR200233793Y1 (ko) 2001-03-09 2001-03-09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793Y1 true KR200233793Y1 (ko) 2001-10-06

Family

ID=73063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328U KR200233793Y1 (ko) 2001-03-09 2001-03-09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793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148B1 (ko) * 2006-06-08 2008-01-22 심현섭 엘이디 조명 모듈의 연결장치
KR100897072B1 (ko) 2008-08-13 2009-05-14 이금용 엘이디 조명 어셈블리
KR100997092B1 (ko) 2008-03-07 2010-11-29 효성전기공업 주식회사 Led 소자를 이용한 led 소켓램프
WO2011075730A2 (en) * 2009-12-18 2011-06-23 Cid Technologies, Inc. Led-based lamp with directional illumination
KR101086491B1 (ko) 2009-10-23 2011-11-25 마이크로하이테크 주식회사 엘이디 조명장치
KR101430753B1 (ko) * 2012-11-23 2014-08-18 박명화 가로등, 방범등, 또는 실내등으로 사용가능한 엘이디 전구
KR20150142838A (ko) * 2014-06-12 2015-12-23 한국광기술원 자동차 전조등용 엘이디 조명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148B1 (ko) * 2006-06-08 2008-01-22 심현섭 엘이디 조명 모듈의 연결장치
KR100997092B1 (ko) 2008-03-07 2010-11-29 효성전기공업 주식회사 Led 소자를 이용한 led 소켓램프
KR100897072B1 (ko) 2008-08-13 2009-05-14 이금용 엘이디 조명 어셈블리
KR101086491B1 (ko) 2009-10-23 2011-11-25 마이크로하이테크 주식회사 엘이디 조명장치
WO2011075730A2 (en) * 2009-12-18 2011-06-23 Cid Technologies, Inc. Led-based lamp with directional illumination
WO2011075730A3 (en) * 2009-12-18 2011-11-10 Cid Technologies, Inc. Led-based lamp with directional illumination
KR101430753B1 (ko) * 2012-11-23 2014-08-18 박명화 가로등, 방범등, 또는 실내등으로 사용가능한 엘이디 전구
KR20150142838A (ko) * 2014-06-12 2015-12-23 한국광기술원 자동차 전조등용 엘이디 조명장치
KR101631227B1 (ko) * 2014-06-12 2016-06-20 한국광기술원 자동차용 엘이디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8323B2 (en)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on and ambiance lighting
CA2531323C (en) Lamp and bulb for illumination and ambiance lighting
JP3124073U (ja) ランプユニット
US20110084586A1 (en) LED recessed light with heat sink
TW201306299A (zh) 發光裝置及照明器具
JP2016170912A (ja) 照明装置
KR200233793Y1 (ko) 삼색조합 발광다이오드전구
KR20010069867A (ko) 발광다이오드(led)램프 광원 조명체의 형성방법
JP2003298118A (ja) Led照明装置
TW201312041A (zh) 發光裝置以及照明裝置
JP2003127769A (ja) 自動車用室内灯
WO2009151026A1 (ja) Ledランプ
US20230341112A1 (en) Wireless controllable lighting device
US20120106203A1 (en) Plug-In Module For A Modulary Constructed Lighting Means, Lighting Module For The Lighting Means, And Modulary Constructed Lighting Means
KR20110005713U (ko) 바타입 엘이디 조명등
JP3682449B2 (ja) 照明ランプ
EP3722654B1 (en) Spot light apparatus
TW201812207A (zh) 照明裝置
KR101939264B1 (ko) 무드광 기능이 구비된 led 전구
JP2013211198A (ja) 照明装置
US20070177383A1 (en) Decorative lighting string
JP2021027046A (ja) シーリングライトの光源モジュール及び新型シーリングライト
US20040105279A1 (en) Light-emitting device with light softening cover
KR200280935Y1 (ko) 엘이디 전구
CN214790753U (zh) 子母吸顶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