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766Y1 - 재봉기의 분진흡입기 - Google Patents

재봉기의 분진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766Y1
KR200232766Y1 KR2020010004275U KR20010004275U KR200232766Y1 KR 200232766 Y1 KR200232766 Y1 KR 200232766Y1 KR 2020010004275 U KR2020010004275 U KR 2020010004275U KR 20010004275 U KR20010004275 U KR 20010004275U KR 200232766 Y1 KR200232766 Y1 KR 2002327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dust
chamber
cloth
suc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거원엔터프라이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거원엔터프라이즈(주) filed Critical 거원엔터프라이즈(주)
Priority to KR2020010004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7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7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766Y1/ko

Links

Landscapes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봉기의 분진흡입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분리가 가능한 수거함(4)을 구비하여 봉제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 및 천조각을 일괄적으로 흡입, 집진토록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고, 압력조절수단(7)을 구비하여 흡입부압을 소정 비율로 분진흡입관(21)과 천조각흡입관(41)에 배분 조절할 수 있어 분진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흡입실(2)과 구동실(3)의 일측에 각각 개폐문(2a,3a)을 구비하여 흡입실(2)에 구비된 여과통(22)의 교체와 구동실(3)에 구비된 흡입모터(31)의 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분진흡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을 구성하는 분진흡입기는 각 구성부를 지지하기 위한 본체(1)와; 본체(1)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관통공(2b)을 갖는 통 형상으로 되어 분진흡입관(21)과 연결되도록 결합되고 일측에 분진을 여과하는 여과통(22)을 구비할 수 있는 흡입실(2)과; 상기 흡입실(2)과 연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흡입실(2)의 여과통(22)과 나란하게 설치된 흡입력을 부여하기 위한 흡입모터(31)를 구비한 구동실(3)과;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되어 상기 흡입실(2) 하부에 본체(1)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천조각흡입관(41)과 연결된 수거함(4);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모터(31)의 구동으로 흡입실(2)에 작용되는 흡입력에 의해 분진흡입관(21)을 통하여 흡입실(2)로 분진이 흡입됨과 함께 천조각흡입관(41)을 통하여 수거함(4)에 천조각이 수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봉기의 분진흡입기{Dust haler of a sewing tools}
본 고안은 재봉기의 분진흡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봉제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 및 천조각을 분리가 가능한 수거함에 일괄적으로 흡입, 집진토록 하여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분진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재봉기의 봉제 가공시에는 실절단 후의 실밥, 면티끌 혹은 헝겊이나 천조각(이하 '분진'이라 함) 등이 발생하고, 이들 분진은 인체에 해롭고 또한 실내의 작업환경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재봉기 기구내로의 침입시 재봉기의 고장을 유발하여 작업능률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어 재봉기에는 별도로 분진 흡입기를 마련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진흡입기는 흡입용 모터와 재봉기 구동용 클러치 모터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는 모터의 부설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유지보수가 어려운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클러치 모터 또는 흡입모터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을 일으킬 경우, 2가지 모터의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 분진흡입기의 일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봉기(도시하지 않음)의 주구동원이 되는 클러치모터(100)의 회전자 유휴측 축끝에는 모터회전자에 의하여 구동되는 송풍기(120)가 설치되어 송풍기(120)의 흡인부압이 흡입호스(140)를 통하여 집진함(160)에 공급된다. 그리고 집진함(160)에는 주로 실밥을 흡인하기 위한 비교적 가는 직경의 제 1흡인호스(180) 및 주로 천조각을 흡인하기 위한 비교적 굵은 직경의 제 2흡인호스(200)가 접속되어 양흡인호스(180,200)가 재봉기의 분진 발생부로 연장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송풍기(120)의 배기측에는 일단이 개구한 배기호스(2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분진흡입기에서는 송풍기(120)의 회전에 의하여 공기가 화살표와 같이 흘러 실밥 및 천조각이 각각 양 흡인호스(180,200)을 통하여 집진함 내로 흡인되어서 집진함(180) 내에서의 유속의 급격한 저하로 인하여 실밥 및 천조각이 낙하하고 공기만 송풍기(120)로 배기된다.
그리고 단일의 집진함에 실밥용 및 천조각용의 직경이 다른 즉 흡인부압이 다른 호스가 접속되어 있으며 전기 제1흡인호스(180)은 실밥을 흡인하므로 그의 직경을 가늘게 하여 흡인압력을 놓이고 한편으로 제2흡인호스(200)은 천조각이 막히지 않도록 그 직경을 굵게 설계하였다.
따라서 이 종래 장치에서는 흡인호스(180)측에는 충분한 흡인부압을 얻을 수 있는 것과 흡인호스(200)측에는 천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양립시키기 곤란한 경우가 생기며 가끔 흡인압력 부족 혹은 천 막힘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분리가 가능한 수거함을 구비하여 봉제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 및 천조각을 일괄적으로 흡입, 집진토록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분진흡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수거함과 통하는 흡입실의 저부에 공기저항조절수단을 구비하여 흡입모터의 흡인부압을 소정 비율로 분진흡입관과 천조각흡입관에 배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진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분진흡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흡입실과 구동실의 일측에 각각 개폐문을 구비하여 흡입실에 구비된 여과통의 교체와 구동실에 구비된 흡입모터의 고장시 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분진흡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종래 분진흡입기의 구성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본체 ---- 1a. 구동바퀴
2. 흡입실 ---- 2a. 개폐문 2b. 관통공
21. 분진흡입관
22. 여과통
3. 구동실 ---- 3a. 개폐문
31. 흡입모터
4. 수거함
41. 천조각흡입관
5. 공기배출구
6. 슬라이드
7. 압력조절수단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분진흡입기는, 각 구성부를 지지하기 위한 본체와, 본체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관통공을 갖는 통 형상으로 되어 분진흡입관과 연결되도록 결합되고 일측에 분진을 여과하는 여과통을 구비할 수 있는 흡입실과, 상기 흡입실과 연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흡입실의 여과통과 나란하게 설치된 흡입력을 부여하기 위한 흡입모터를 구비한 구동실과,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되어 상기 흡입실 하부에 본체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과함께 천조각흡입관과 연결된 수거함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모터의 구동으로 흡입실에 작용되는 흡입력에 의해 분진흡입관을 통하여 흡입실로 분진이 흡입됨과 함께 천조각흡입관을 통하여 수거함에 천조각이 수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실 하부의 관통공과 통하도록 흡입실의 저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모터의 흡입력을 흡입실을 통해 전달하여 상기 수거함에 연결된 천조각흡입관의 흡인부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실과 구동실의 일측에는 상기 여과통의 교체와 흡입모터의 고장시 보수가 용이하도록 각각 개폐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분진흡입기는, 구동실의 흡입모터의 구동으로 인하여 집진작용을 개시하면 흡입실과 수거함에 흡입력이 작용하고 외부의 재봉기에서 배출된 분진을 분진흡입관과 천조각흡입관을 통하여 각각 흡입한다. 천조각흡입관을 경유하여 흡입된 분진은 수거함에 유입된후 공기 유속의 급격한 저하로 인하여 수거함의 바닥에 낙하하고 상기 흡입실로 유입된 실밥이나 티끌 등의 분진은 상기 여과통에 여과되어 공기만 흡입모터를 통해 배출되고 분진은 흡입실 바닥에 낙하되어 적재된다. 이때, 적재된 분진은 집진작용이 종료하면 자중에 의해 흡입실 하부에 구비된 관통공을 통하여 수거함에 낙하 퇴적한다.
상기와 같이 수거함에 적재된 분진은 수거함을 분진흡입기 본체에서 분리하여 일괄적으로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분진흡입기 본체(1) 내부로 흡입실(2)과 구동실(3)과 수거함(4)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호 1은 각 구성부를 지지하기 위한 분진흡입기의 본체이다.
상기 본체(1)는 사각콘테이너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상기 흡입실(2)과 구동실(3)이 배치하며 하부에는 상기 수거함(4)이 위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격판으로 공간부를 형성한다.
상기 흡입실(2) 하부의 공간부에는 수거함(4)이 본체(1)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양측에 슬라이드(6)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 본체(1) 외면 일측부에는 상기 구동실(3)과 통하도록 공기배출구(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저부에는 본체(1)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동바퀴(8)가 형성되어 있다.
지시부호 2는 분진흡입관(21)을 통해 배출되는 실밥이나 티끌 등을 흡입하여 적재하는 흡입실이다.
상기 본체(1)의 상부 일측 공간부에 배치된 흡입실(2)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관통공(2b)을 갖는 통 형상으로 되어 본체(1) 외부의 재봉기와 연계된 분진흡입관(21)과 연결 결합되어 있다.
또 내부 일측에는 분진흡입관(21)으로부터 흡입된 분진을 여과하는 여과통(22)을 구비하고 있으며, 여과통(22)은 흡입실(2)과 나란히 배치된 구동실(3)의 흡입모터(31)와 통하도록 연접하여 설치된다.
상기 여과통(22)은 다수층으로 이루어진 섬유필터와 거름망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실(3)의 흡입모터(31)의 흡입에 의해 분진을 여과하게 된다.
또 흡입실(2)의 일측면, 바람직하게 흡입실(2)의 전면에는 상기 여과통(22)의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개폐문(2a)이 구비된다.
지시부호 3은 상기 흡입실(2)과 연접하여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구동실(3)로서 본체(1) 내부에 형성된 격판에 의해 구획되어지며, 일측면에는 상기 흡입실(2)의 여과통(22)과 통하도록 흡입모터(31)를 구비 설치한다.
또 구동실(3)의 상면에는 흡입모터(31)의 고장시 수리 보수가 용이하도록 개폐문(3a)을 형성하고 있으며, 집진작용시 흡입모터(31)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본체(1) 외측면에 형성한 공기배출구(5)를 통해 본체(1)밖으로 배출된다.
지시부호 4는 수거함으로서, 상기 본체(1) 하부공간부의 양측에 설치된 슬라이드(6)에 수거함(4) 상측이 고정되어 본체(1)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 상기 흡입실(2)의 하부 공간부에 본체(1)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수거함(4)이 본체(1)에 슬라이딩 결합 완료된 때에는 상기 흡입모터(3)의 흡입력이 소진되지 않도록 본체(1)와 수거함(4)의 상면은 긴밀하게 밀폐되어 있다. 또 상기 흡입실(2)의 분진과 상기 천조각흡입관(41)으로부터 유입된 분진을 일괄적으로 수거하도록 되어 있다.
지시부호 7은 상기 흡입실(2) 하부의 관통공(2b)과 통하도록 흡입실(2)의 저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모터(31)의 흡입력을 흡입실(2)을 통해 전달하여 상기 수거함(4)에 연결된 천조각흡입관(41)의 흡인부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수단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조절수단(7)은 한쌍의 결합구(7a)와 중앙에관통공(7c)을 가진 슬라이드판(7b)을 구비한다.
한쌍의 결합구(7a)는 상기 흡입실(2)의 저부에 설치되고 상기 결합구(7a)에 슬라이드판(7b)의 슬라이딩 결합시 슬라이드판(7b)의 관통공(7c)은 흡입실(2) 하부의 관통공(2b)에 대응되도록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결합된 압력조절수단(7)은 슬라이드판(7b)의 슬라이딩 조작 정도에 따라 흡입실(2) 하부의 관통공(2b)과 슬라이드판(7b)의 관통공(7c)의 대응시 형성된 관통홀(2b,7c)의 크기가 변하며 따라서 관통홀(2b,7c)의 크기에 따라 수거함(4)에 대한 흡입모터(31)의 흡인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하 그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분진흡입기는, 구동실(3)의 흡입모터(31)의 구동으로 인하여 집진작용을 개시하면 흡입실(2)과 수거함(4)에 흡입력이 작용하고 외부의 재봉기에서 배출된 분진을 분진흡입관(21)과 천조각흡입관(41)을 통하여 각각 흡입한다.
천조각흡입관(41)을 경유하여 흡입된 분진은 수거함(4)에 유입된후 공기 유속의 급격한 저하로 인하여 수거함(4)의 바닥에 낙하하고 상기 흡입실(2)로 유입된 실밥이나 티끌 등의 분진은 상기 여과통(22)에 여과되어 공기만 흡입모터(31)를 통해 배출되고 분진은 흡입바닥에 낙하되어 적재된다.
이때 적재된 분진은 집진작용이 종료하면 자중에 의해 흡입실(2) 하부에 형성된 관통홀(2b,7c)을 통하여 수거함(4)에 낙하 퇴적한다.
상기와 같이 수거함(4)에 적재된 분진은 도 4와 같이 수거함(4)을 분진흡입기 본체(1)에서 분리하여 일괄적으로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분진흡입기는 분리가 가능한 수거함을 구비함으로써 간편하게 집진된 분진을 수거 처리할 수 있으며, 수거함과 통하는 흡입실의 저부에 압력조절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분진흡입관과 천조각흡입관의 흡입력을 배분 조절하여 분진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흡입실과 구동실의 일측에 각각 개폐문을 구비하여 흡입실에 구비된 여과통의 교체와 구동실에 구비된 흡입모터의 고장시 보수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부품의 취급관계 및 청소작업을 편리화 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한 작업능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각 구성부를 지지하기 위한 본체(1)와;
    본체(1)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관통공(2b)을 갖는 통 형상으로 되어 분진흡입관(21)과 연결되도록 결합되고 일측에 분진을 여과하는 여과통(22)을 구비할 수 있는 흡입실(2)과;
    상기 흡입실(2)과 연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흡입실(2)의 여과통(22)과 나란하게 설치된 흡입력을 부여하기 위한 흡입모터(31)를 구비한 구동실(3)과;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되어 상기 흡입실(2) 하부에 본체(1)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천조각흡입관(41)과 연결된 수거함(4);
    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모터(31)의 구동으로 흡입실(2)에 작용되는 흡입력에 의해 분진흡입관(21)을 통하여 흡입실(2)로 분진이 흡입됨과 함께 천조각흡입관(41)을 통하여 수거함(4)에 천조각이 수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분진흡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실(2) 하부의 관통공(2b)과 통하도록 흡입실(2)의 저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모터(31)의 흡입력을 흡입실(2)을 통해 전달하여 상기 수거함(4)에 연결된 천조각흡입관(41)의 흡인부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수단(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분진흡입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실(2)과 구동실(3)의 일측에는 상기 여과통(22)의 교체와 흡입모터(31)의 보수가 용이하도록 각각 개폐문(2a,3a)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분진흡입기.
KR2020010004275U 2001-02-20 2001-02-20 재봉기의 분진흡입기 KR2002327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275U KR200232766Y1 (ko) 2001-02-20 2001-02-20 재봉기의 분진흡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275U KR200232766Y1 (ko) 2001-02-20 2001-02-20 재봉기의 분진흡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2766Y1 true KR200232766Y1 (ko) 2001-10-25

Family

ID=73063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275U KR200232766Y1 (ko) 2001-02-20 2001-02-20 재봉기의 분진흡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7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1841B2 (en) 2006-10-10 2011-06-14 Vatech Co., Ltd.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1841B2 (en) 2006-10-10 2011-06-14 Vatech Co., Ltd.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5474B1 (ko) 전기 청소 장치
KR102438130B1 (ko) 공기청정기
KR100623915B1 (ko) 먼지 분리장치
KR102656583B1 (ko) 로봇 청소기
EP1477273A1 (en) Motorized tool with suction and dust collection capacity
JP2005305114A (ja) 掃除機用集塵装置
KR20020012383A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CN110650666B (zh) 电动清扫装置
KR200232766Y1 (ko) 재봉기의 분진흡입기
US20120288821A1 (en) Dental Vacuum
KR100925779B1 (ko) 다연식 집진기 구조
KR101067147B1 (ko) 오일 미스트 집진장치
JP2004106163A (ja) 集塵装置
CN217839363U (zh) 一种缝纫机用万向除尘装置
TWM576911U (zh) Oil mist recovery machine
KR102165473B1 (ko) 전기 청소 장치
JP2007021176A (ja) ゴミ分離装置
KR200488006Y1 (ko) 청소기의 굵은 쓰레기 걸림 장치
CN210585322U (zh) 一种无尘粉碎工作站
KR200363647Y1 (ko) 혼용(混用) 진공수집기
KR101750310B1 (ko) 진공청소기
CN213200968U (zh) 一种化工化学材料废料收集装置
CN220495963U (zh) 一种垃圾焚烧烟气处理装置
CN219879372U (zh) 一种便于调节的集尘器
CN216799127U (zh) 一种用于陶瓷制品加工的防尘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