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588Y1 - 내연기관을 이용한 진공청소장비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을 이용한 진공청소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588Y1
KR200232588Y1 KR2020010004298U KR20010004298U KR200232588Y1 KR 200232588 Y1 KR200232588 Y1 KR 200232588Y1 KR 2020010004298 U KR2020010004298 U KR 2020010004298U KR 20010004298 U KR20010004298 U KR 20010004298U KR 200232588 Y1 KR200232588 Y1 KR 200232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engine
cleaning equipment
casing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2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광환
Original Assignee
한일인더스트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인더스트리(주) filed Critical 한일인더스트리(주)
Priority to KR20200100042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5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588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력 전달 구성과 흡입장치의 구성을 달리하여 흡입력을 향상시키고 또 분진의 발생을 최소로 할 수 있는 내연기관을 활용한 진공 청소 장비에 관한 것으로, 엔진과, 유압 구동장치와, 임펠러에 의한 흡입으로 쓰레기를 수집하는 흡입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진공 청소 장비에 있어서, 유입구(21)를 후부에 연속하여 구성되며 내부엔 임펠러(30)를 포함하는 케이싱(22)과, 일단은 상기 케이싱(22) 내에 설치한 임펠러(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엔진(32) 파트와 연결되는 커플링(31)과, 엔진(32)과 연결 작동되며, 유압탱크(42)와, 그리고 브러쉬 구동을 위한 브러쉬구동부(44)와 장비의 전후진 구동을 위한 전후진구동부(45)를 포함하는 밸브블록(43)을 갖는 유압장치(40)와, 상기한 임펠러(30)의 케이싱(22) 상부로 연속하여 형성되며 장비의 후방부로 연장 형성되는 덕트(34)와, 그리고 상기한 덕트의 단부에 연결되는 수거부(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을 이용한 진공청소장비{sweeper utiliz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고안은 진공청소 장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연기관을 활용한 진공 청소 장비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거리 청소를 하는 진공 청소장비는 전방에 회전하는 2 개의 브러쉬가 달린 회전체가 안쪽으로 상호 모이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쓰레기를 안으로 모아서 흡입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공지의 거리 청소 장비의 통상의 구조는 도 1 에 그 원리를 예시한 바와 같이, 전방에서 흡입하는 쓰레기를 쓰레기 진공실(1)과 필터(2)를 거쳐임펠러(3)를 통하여 흡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진공실(1)에 쓰레기가 쌓일 경우 흡입력이 떨어 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임펠러(3)에의 동력전달이 벨트(4)에 의한 전동이어서 마찰력과, 미끄럼 등에 의한 동력전달 손실이 발생하여 진공 흡입력이 떨어 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진공 청소장비는 쓰레기나 먼지 등을 흡입할 경우 작업자쪽으로 향하여 많은 먼지가 날리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동력 전달의 손실을 줄여 동일한 동력으로 큰 흡입력을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작업시 작업자에게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 장치의 요부 구성 개요도
도 2 및 도 3 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소형 진공 청소 장비의 상면도 및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주요 구성도.
도 5 는 본고안에서 수거부(35)의 후부를 보여 주기 위한 도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요 특징은, 유압 구동장치와, 임펠러에 의한 흡입으로 쓰레기를 수집하는 흡입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거리 청소 장비에 있어서, 유입구(21)를 후부에 연속하여 구성되며 내부엔 임펠러(30)를 포함하는 케이싱(22)과, 일단은 상기 케이싱(22) 내에 설치한 임펠러(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엔진(32) 파트와 연결되는 커플링(31)과, 엔진(32)과 연결 작동되며, 유압탱크(42)와, 그리고 브러쉬 구동을 위한 브러쉬구동부(44)와 장비의 전후진 구동을 위한 전후진구동부(45)를 포함하는 밸브블록(43)을 갖는 유압장치(40)와, 상기한 임펠러(30)의 케이싱(22) 상부로 연속하여 형성되며 장비의 후방부로 연장 형성되는 덕트(34)와, 그리고 상기한 덕트의 단부에 연결되는 수거부(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커플링(31)은, 임펠러(30)와, 상기한 임펠러(30)와 연결되고 그 후단이 엔진 파트의 플라이휠(64)과 연결되는 임펠러 연결축(61)과, 상기한 임펠러 축(61)을 회전 지지하는 볼베어링(63)과, 상기 볼베어링(63)의 외주로 형성되는 하우징(62)과, 상기 하우징(62)과 연결되며 상기한 플라이휠(64)을 둘러싸는 플라이휠하우징(6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수거부(35)는 덕트(34)의 단부에 연결되는 망체(50)와, 망체(50)의 외주로 설치되는 봉투(51)를 포함하며, 봉투(51)의 외주를 둘러 싸는 수거부(35)는 개봉부(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특징 외 다른 특징과 상세한 구성은 이하, 첨부 도면과 함께 상술한다.
참고로, 도 2 는 본 고안이 적용된 진공 청소장비의 상면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정면도이다. 거리의 쓰레기는 브러쉬가 달린 2 개의 회전체(10)의 회전에 의하여 쓰레기가 안으로 모아져 흡입하는 원리는 이미 설명하였다.
도 4 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서는 거리의 쓰레기 등을 흡입하기 위하여 흡입 동작을 시킬 경우, 유입구(21)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케이싱(22)으로 들어 온다. 케이싱에서는 임펠러(30)의 강력한 흡입 작용에 의하여 케이싱(22)의 내부가 거의 진공 상태로 되므로 공기가 흡입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특징 중 하나는 임펠러를 강도 높은 재질로 사용함과 아울러 그 임펠러(30)의 연결 부위를 커플링(31)으로 구성하여 엔진(32)의 샤프트(33)와 바로 연결되게 즉 직결되게 구성하였다.
도 7 은 상기한 임펠러(30)의 조립도를 참고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임펠러(30)는 임펠러 연결축(60)과 연결되고, 임펠러(60)는 하우징 (62) 내에서 볼베어링(63)에 의하여 지지되어 회전한다. 임펠러(30)와 연결하고 있는 임펠러 연결축(61)의 후단부는 엔진 파트의 플라이휠(64)과 볼트 등으로 연결된다
플라이휠(64)은 플라이휠하우징(65)에 내장되어 있으며, 이 플라이휠하우징(65)과 임펠러연결축(61)의 하우징(62)은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조립 세트로 구성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임펠러(30)를 통하여 빨아 올려진 공기는 덕트(34)를 통하여 장비의 후방부로 이동하여 운전석 바로 앞쪽의 수거부(35)에 담긴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유압장치의 구성에 있다.
유압펌프(41)를 갖는 유압장치(40)는, 유압탱크(42) 및 유압 밸브블록(43)을 포함하여, 청소장비의 전후진과 브러쉬의 회전작동을 제어한다 즉, 예를들어, 유압펌프(41)와 연결된 밸브블록(43)은 브러쉬 구동부(44)와 전후진 구동부(45)로 이루어 진다. 브러시 구동부(44)는 브러쉬 모터를 작동시켜 브러쉬가 작동되게하고, 전후진 구동부(45)는 드라이브 모터를 회전 시켜 청소장비가 전후진 작동 가능하게 한다.
한편 덕트(34)를 통하여 후부로 넘어온 쓰레기는 수거부(35)에 담겨지는데 수거부(35)는 쓰레기 봉투가 포함되게 구성한다.
도 5 는 진공 청소장비의 후부에 구성한 수거부(35)를 보여 주기위하여 후부의 덮개를 제거한 상태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거부(35)는 그 외면에 개봉부(36)를 형성하여 개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개봉부(36)는 바람직하게는 자크로 이루어 진다.
개봉부(36)는 예를들어, 자크(37)와, 그 자크(37) 부위를 덮을 수 있는 덮개(38)와 덮개(38)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39)로 이루어 진다. 체결부(39)는 예를들어, 요철로 이루어지는 소위 똑딱이 단추 등으로 구성한다.
그리하여 자크(37)를 채운 후, 덮개(38)를 덮어 체결부(39)로 체결하면 자크(37) 부위에 먼지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4 로 돌아가 설명하면, 덕트(34)의 후부엔 망체(50)가 수직으로 형성된다. 망체(50)는 메시가 큰 그물망으로 하고 그리고 그 외주로는 쓰레기 봉투(51)가 둘러진다. 봉투(51)는 망체(50)의 메시보다 작은 미세 메시를 갖는 것을 사용한다.
그러면 망체(50)를 거처 1차 필터링이 되고, 2차로 봉투(51)에 의하여 미세 필터링 된 후, 공기는 도 6 에 도시한 개봉부(36)를 갖는 외면으로 배출된다. 이렇게 여러 차례 필터링이 되므로 최종 수거부(35)의 밖으로 나오는 공기엔 거의 먼지가 제거된 상태이다. 그리고 이 수거부(35) 가장 바깥 즉 청소 장비의 후부는 별도의 개봉 가능한 덮개로 막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거의 모든 먼지가 걸러지고 그리고 최종적으로 청소장비 바깥으로 날려 인체로 향하여 날아오는 먼지가 거의 없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동작을 설명하면, 유입구(21)를 통한 흡입 동작이 이루어 지면 임펠러(30)의 케이싱(22)으로 쓰레기 등이 빨려 올라 온다. 그러면 쓰레기 중 일부는 회전하는 임펠러(30)와 충돌하여 쓰레기의 일부가 파손이 될것이다
즉 부피가 큰 쓰레기를 미리 파손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흡입된 공기는 덕트(34)를 타고 후방부의 수거부(35)로 들어가 수집이 된다.
수집된 쓰레기를 꺼낼 경우엔 도 6 에 도시한 개봉부(36)의 자크를 열고 봉투(51)를 제거하여 내면 된다.
그리고 다른 새 쓰레기 봉투를 재장착하여 둔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유입구(21)에서의 흡입이 종래와 같이 별도의 진공실(1)과 필터(2)를 거치지 않고 바로 흡입되므로 동일 마력수의 엔진 장치를 그대로 이용하여도 종래에 비해 약 20 - 40% 이상의 흡입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임펠러의 전동이 벨트와 풀리에 의한 전동이 아니어서 전동에 따른 진동을 줄이고 회전력 손실을 최소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강력 흡입시, 임펠러(30)가 흡입되는 쓰레기를 미리 파손시켜 송출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쓰레기나 먼지 등을 흡입할 경우 작업자쪽으로 향하여 먼지가 날리지 않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엔진과, 유압 구동장치와, 임펠러에 의한 흡입으로 쓰레기를 수집하는 흡입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진공 청소 장비에 있어서,
    유입구(21)를 후부에 연속하여 구성되며 내부엔 임펠러(30)를 포함하는 케이싱(22)과,
    일단은 상기 케이싱(22) 내에 설치한 임펠러(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엔진(32) 파트와 연결되는 커플링(31)과,
    엔진(32)과 연결 작동되며, 유압탱크(42)와, 그리고 브러쉬 구동을 위한 브러쉬구동부(44)와 장비의 전후진 구동을 위한 전후진구동부(45)를 포함하는 밸브블록(43)을 갖는 유압장치(40)와,
    상기한 임펠러(30)의 케이싱(22) 상부로 연속하여 형성되며 장비의 후방부로 연장 형성되는 덕트(34)와, 그리고
    상기한 덕트의 단부에 연결되는 수거부(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 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커플링(31)은, 임펠러(30)와, 상기한 임펠러(30)와 연결되고 그 후단이 엔진 파트의 플라이휠(64)과 연결되는 임펠러 연결축(61)과, 상기한 임펠러 축(61)을 회전 지지하는 볼베어링(63)과, 상기 볼베어링(63)의 외주로 형성되는 하우징(62)과, 상기 하우징(62)과 연결되며 상기한 플라이휠(64)을 둘러싸는 플라이휠하우징(6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 장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거부(35)는 덕트(34)의 단부에 연결되는 망체(50)와, 망체(50)의 외주로 설치되는 봉투(51)를 포함하며, 봉투(51)의 외주를 둘러 싸는 수거부(35)는 개봉부(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 장비
KR2020010004298U 2001-02-20 2001-02-20 내연기관을 이용한 진공청소장비 KR200232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298U KR200232588Y1 (ko) 2001-02-20 2001-02-20 내연기관을 이용한 진공청소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298U KR200232588Y1 (ko) 2001-02-20 2001-02-20 내연기관을 이용한 진공청소장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8382A Division KR100390628B1 (ko) 2001-02-20 2001-02-20 내연기관을 이용한 진공청소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2588Y1 true KR200232588Y1 (ko) 2001-09-29

Family

ID=73063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298U KR200232588Y1 (ko) 2001-02-20 2001-02-20 내연기관을 이용한 진공청소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5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081A (ko) * 2001-08-27 2001-11-09 정혁수 노면 청소 리어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081A (ko) * 2001-08-27 2001-11-09 정혁수 노면 청소 리어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311B1 (ko) 진공청소기
KR100837360B1 (ko) 배기환류를 이용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CN105640434B (zh) 机器人吸尘器
CN110996740B (zh) 旋风分离器装置
CA2442830A1 (en) Agitator drive system for vacuum cleaner
EP1584279A3 (en) Filtering device for vaccum cleaner
JP4107171B2 (ja) 電気掃除機
KR200232588Y1 (ko) 내연기관을 이용한 진공청소장비
KR100390628B1 (ko) 내연기관을 이용한 진공청소장비
JPH04288111A (ja) 電気掃除機
CN100339037C (zh) 电动吸尘器
KR100382468B1 (ko) 진공청소기의 침구전용 흡입구체
KR100504890B1 (ko) 업라이트 청소기의 취약부흡입장치
CN101732001A (zh) 一种吸尘器集尘桶
CN110102524A (zh) 一种同轴风幕除尘设备
CN216098105U (zh) 建筑工程用建筑材料打磨装置
CN213371735U (zh) 一种吸尘器内部灰尘清除设备
JPH119515A (ja) 集塵装置
JPS6150542A (ja) 電気掃除機
JP2000237516A (ja) 集塵機
KR20090071234A (ko) 진공청소기
KR100539745B1 (ko) 업라이트 청소기의 유동발생장치
JP3365411B1 (ja) 電気掃除機
KR920004077Y1 (ko) 진공청소기
JP3078763U (ja) 粉塵吸い込み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309

Effective date: 2004042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