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587Y1 - 그라운드 앵커의 분리형 쐐기판 - Google Patents

그라운드 앵커의 분리형 쐐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587Y1
KR200232587Y1 KR2020010004289U KR20010004289U KR200232587Y1 KR 200232587 Y1 KR200232587 Y1 KR 200232587Y1 KR 2020010004289 U KR2020010004289 U KR 2020010004289U KR 20010004289 U KR20010004289 U KR 20010004289U KR 200232587 Y1 KR200232587 Y1 KR 2002325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hole
wedge plate
outer member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2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형
Original Assignee
이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형 filed Critical 이태형
Priority to KR20200100042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5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587Y1/ko

Links

Landscapes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라운드 앵커의 분리형 쐐기판에 관한 것으로, 앵커 바디에 연결된 텐던을 이루는 복수개의 강선 후단이 각각 끼워지는 강선구멍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쐐기판에 있어서, 상기 쐐기판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강선구멍(12)에 부분적으로 접하는 공통홀(14)이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외측부재(10)와, 이 외측부재 (10)의 테이퍼형 공통홀(14)에 끼워지도록 외곽이 테이퍼형으로 형성되고 그 둘레에 상기 각 강선구멍(12)의 일부분을 이루는 요홈(22)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내측부재 (20)로 이루어져 앵커의 현장시공시 지면밖으로 노출된 강선(30)을 외측부재(10)의 공통홀(14)에 한꺼번에 넣고 하나씩 강선구멍(12)에 끼운 후 공통홀(14)에 내측부재(20)를 끼우면 되므로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고 잘못된 시공도 쉽게 수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그라운드 앵커의 분리형 쐐기판 {SPILT TYPE WEDGE PLATE FOR GROUND ANCHOR}
본 고안은 그라운드 앵커의 쐐기판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앵커의 쐐기판을 강선구멍이 공통홀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외측부재와 이 외측부재의 공통홀에 끼워지는 내측부재의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강선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능률의 향상 및 정확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그라운드 앵커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는 예를 들면 산사태나 부상(浮上)방지를 위한 구조물(S)을 지면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땅속(G)에 묻히게 되는 앵커 바디(1)와, 여러 개의 강선(2a,2b,2c...)으로 이루어진 텐던(2), 그리고 구조물(S)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텐던(2)의 선단이 고정되는 앵커 헤드(3)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앵커 헤드(3)내부에는 텐던(2)을 이루는 여러 개의 강선(2a,2b,2c...)을 각각 쐐기(4)를 끼워 고정시키기 위한 쐐기판 (5)이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상기한 앵커 헤드 내부의 쐐기판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종래의 쐐기판(5)은 텐던(2)을 이루는 강선(2a,2b,2c...)의 수에 일치되는 갯수의 강선구멍(6)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한편, 종래의 쐐기판(5)을 사용하여 앵커의 텐던(2)을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있어서, 지면 밖으로 노출된 강선(2a,2b,2c...)에 쐐기판(5)의 강선구멍(6)을 하나씩 일치시켜 넣어주게 되는데, 이때 노출된 강선(2a,2b,2c...)의 길이가 일정치 않아 쐐기판(5)의 강선구멍(6)에 강선을 끼워 넣기가 어렵고, 강선의 순서를 잘못하여 끼웠을 경우 쐐기판(5)을 빼낸다음 처음부터 다시 강선을 끼워주어야 했었으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공이 잘못된 상태로 방치하게 될 경우 강선이 꼬여진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구조적으로 설계앵커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앵커의 시공시 텐던을 이루는 여러개의 강선을 신속 정확하게 강선구멍에 끼워 넣을 수 있는 쐐기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앵커 바디에 연결된 텐던을 이루는 복수개의 강선 후단이 각각 끼워지는 강선구멍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쐐기판에 있어서, 상기 쐐기판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강선구멍에 부분적으로 접하는 공통홀이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외측부재와, 이 외측부재의 테이퍼형 공통홀에 끼워지도록외곽이 테이퍼형으로 형성되고 그 둘레에 상기 각 강선구멍의 일부분을 이루는 요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내측부재로 이루어지는 분리형 쐐기판을 제공하여 외측부재의 공통홀에 여러개의 강선을 동시에 끼우고 각 강선을 외측부재의 강선구멍에 하나씩 끼운 상태에서 내측부재를 끼움으로써 강선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그라운드 앵커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그라운드 앵커의 쐐기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앵커 쐐기판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앵커 쐐기판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앵커 쐐기판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앵커 쐐기판의 저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앵커 쐐기판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앵커 쐐기판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앵커 바디 2 : 텐던
2a,2b,2c : 강선 3 : 앵커 헤드
4 : 쐐기 5 : 쐐기판
6 : 강선구멍 G : 땅속
S : 구조물 10 : 외측부재
12 : 강선구멍 14 : 공통홀
20 : 내측부재 22 : 요홈
30 : 강선 40 : 쐐기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고안에 의한 그라운드 앵커의 쐐기판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쐐기판을 도시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도 5의 A - A선 단면도이다,
상기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리형 쐐기판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강선구멍(12)에 부분적으로 접하는 공통홀(14)이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외측부재(10)와, 이 외측부재(10)의 테이퍼형 공통홀(14)에 끼워지도록 외곽이 테이퍼형으로 형성되고 그 둘레에 상기 각 강선구멍(12)의 일부분을 이루는 요홈 (22)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내측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부재(20,1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각 강선구멍(12)또한 테이퍼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 5 및 도 6의 평면도와 저면도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강선구멍(12)후단의 확장된 직경에서는 외측부재(10)에형성된 강선구멍(12)과 내측부재(20)에 형성된 요홈(22)의 형성비율에 있어서는 내측부재(20)의 요홈(22)이 상대적으로 크고, 강선구멍(12)선단의 축소된 직경에서는 상대적으로 내측부재(20)의 요홈(22)이 외측부재(10)의 강선구멍(12)에 비해 작은 비율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외측부재(10)의 공통홀(14)과 내측부재(20)의 외곽이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데에서 기인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외형은 원형이 아닌 다각형이나 다양한 다른 형태가 될 수도 있고, 강선구멍의 갯수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분리형 쐐기판를 사용하여 앵커의 텐던을 이루는 강선을 정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지면으로 노출된 여러개의 강선(30)을 모아 한꺼번에 본 고안 쐐기판의 외측부재(10)중앙에 형성된 공통홀(14)에 끼운다음, 이 공통홀(14)에 끼워진 강선(30)들을 이 공통홀(30)의 외측으로 형성된 여러개의 강선구멍(12)에 순서에 맞게 하나씩 끼워 넣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각 강선(30)의 삽입이 어긋나지 않고 제대로 되었는지를 재확인 한 후, 내측부재(20)를 외측부재(10)의 공통홀(14)에 끼워 넣으면 된다.
도 8의 설치상태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부재(20)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측부재(10)의 공통홀(14)도 이에 맞게 테이퍼형으로형성되어 있으므로 설치된 상태에서 강선(30)에 인장력이 작용할 경우 내측부재 (20)가 임의로 탈락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각 강선구멍(12)에 끼워진 강선(30)을 인장시킨 상태에서 종전과 같은 방법으로 쐐기(40)를 채우면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여러개의 강선(30)을 한꺼번에 외측부재(10)의 공통홀(14)에 삽입시킨 후, 공통홀(14)의 외측으로 형성된 각 강선구멍(12)에 순서에 맞게 하나씩 강선(30)을 끼우고 나서 내측부재(20)를 공통홀(14)에 끼우면 되므로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전과 같이 강선(30)의 삽입순서가 어긋나더라도 쐐기판을 강선(30)으로부터 완전히 빼내지 않고 단지 내측부재(20)만을 외측부재(10)의 공통홀(14)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 강선(30)의 순서를 일치시켜 주면 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이 잘못된 경우 손쉽게 수정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요소를 배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앵커 쐐기판은 외측부재와 내측부재가 분리된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여러개의 강선을 공통홀에 한꺼번에 끼우고 순서를 맞추어준 후 내측부재를 끼워주면 되므로, 앵커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선의 순서가 어긋나더라도 내측부재만 빼낸 상태에서 강선의 순서를 맞추고 다시 내측부재를 끼워주면 되므로 이러한 수정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어려웠던종전의 쐐기판를 사용하여 시공할때와 대비할 때 시공성의 향상 및 앵커가 역학적으로 충분히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실용적인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앵커 바디에 연결된 텐던을 이루는 복수개의 강선 후단이 각각 끼워지는 강선구멍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쐐기판에 있어서,
    상기 쐐기판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여러개의 강선구멍(12)에 부분적으로 접하는 공통홀(14)이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외측부재(10)와, 이 외측부재(10)의 테이퍼형 공통홀(14)에 끼워지도록 외곽이 테이퍼형으로 형성되고 그 둘레에 상기 각 강선구멍(12)의 일부분을 이루는 요홈(22)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내측부재(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의 분리형 쐐기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선구멍(12)후단의 확장된 직경에서는 외측부재(10)에 형성된 강선구멍(12)이 내측부재(20)에 형성된 요홈(22)의 형성비율보다 작고, 강선구멍(12)선단의 축소된 직경에서는 상대적으로 내측부재(20)의 요홈(22)이 외측부재(10)의 강선구멍(12)에 비해 작은 비율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의 분리형 쐐기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재(10)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의 분리형 쐐기판.
KR2020010004289U 2001-02-20 2001-02-20 그라운드 앵커의 분리형 쐐기판 KR200232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289U KR200232587Y1 (ko) 2001-02-20 2001-02-20 그라운드 앵커의 분리형 쐐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289U KR200232587Y1 (ko) 2001-02-20 2001-02-20 그라운드 앵커의 분리형 쐐기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2587Y1 true KR200232587Y1 (ko) 2001-09-29

Family

ID=73080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289U KR200232587Y1 (ko) 2001-02-20 2001-02-20 그라운드 앵커의 분리형 쐐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5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1510A (en) Cable tie with christmas tree fastener
US5632581A (en) Clip
US4591749A (en) Permanent magnet rotor with interfit cage structure
GB1584372A (en) Expansion fixing plug
US6713931B2 (en) Cylindrical commutator securely fixed to mold resin
US5344257A (en) Mine roof expansion anchor and bail element
WO2011136030A1 (ja) 留め付け構造
KR102151253B1 (ko)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AU3782400A (en) Blind rivet
KR200232587Y1 (ko) 그라운드 앵커의 분리형 쐐기판
PL209759B1 (pl) Kotew śrubowa
US4913593A (en) Mine roof expansion anchor
US4402848A (en) Bar of soap
JPH08200331A (ja) アンカーを備えた差筋具並びにアンカー
US5064249A (en) Disc wheel cover
KR200436792Y1 (ko) 건축물의 케이블 고정용 패스너
JP2001025401A (ja) 運動用靴の鋲
EP0936330B1 (en) Radial pin tumbler lock and key
US7115816B2 (en) Plastic anchoring and mounting device for wires and cables
CA1134652A (en) Stud retaining fasten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H04229963A (ja) コンプライアントターミナルピン
KR200319564Y1 (ko) 앙카 쐐기
JPS6137847Y2 (ko)
AU2007234587A1 (en) Ground anchor
KR100359627B1 (ko) 교량용 조형 구축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