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496Y1 - the pedestal apparatus of toilet water-stool - Google Patents

the pedestal apparatus of toilet water-s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496Y1
KR200232496Y1 KR2020000034437U KR20000034437U KR200232496Y1 KR 200232496 Y1 KR200232496 Y1 KR 200232496Y1 KR 2020000034437 U KR2020000034437 U KR 2020000034437U KR 20000034437 U KR20000034437 U KR 20000034437U KR 200232496 Y1 KR200232496 Y1 KR 2002324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toilet
link
holder
fl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43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2020000034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49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4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496Y1/en

Links

Landscapes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수세식 변기의 좌대장치는 수세식변기와 양변기의 효과를 동시에 달성하여 사용자의 편리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세식 변기 주위에 설치되는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toilet seat of the flush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device installed around the flush toilet to achieve the effects of the flush toilet and toilet at the same time can be selec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본 고안은 소정 구간이 터진 타원반형 고리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상기 수세식 변기의 상부에 거취되는 좌대; 상기 좌대의 하부에 부설되어 좌대를 지지하며, 좌대를 접개식으로 동작시키도록 관절형태로 연결된 다수의 링크들에 의한 링크부; 상기 링크부의 일측을 연결하여 상하이동하는 고정대; 상하이동하는 상기 고정대를 내포하고 상기 고정대를 고정 및 해제시키며, 상기 좌대 주위에 부착 설치되는 부착들; 및, 상기 좌대를 지지하는 상기 링크부의 소정 링크가 회전 운동하도록 지지 보조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ellipsoidal ring-shaped popping section, the base is taken on the top of the flush toilet so that the user can sit; A link portion formed by a plurality of link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to support the seat and connected in a joint form to operate the seat in a foldable manner; A fixed stand that connects one side of the link unit to move; Attachments which contain the holder and which are moved up and down, and fix and release the holder, the attachments being installed around the seat;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predetermined link of the link unit for supporting the seat in a rotational motion.

따라서 본 고안은 수세식변기와 양변기의 효과를 동시에 달성하여 사용자의 편리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재래식 변기 및 양변기의 결점을 보완함으로써 수세식변기의 위생적인 상태, 양변기의 편리함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the effects of the flush toilet and toilet at the same time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as well as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conventional toilet and toilet, the sanitary state of the flush toilet, the convenience of the toilet can be used Provide effect.

Description

수세식 변기의 좌대장치{the pedestal apparatus of toilet water-stool}Pedestal apparatus of toilet water-stool

본 고안은 변기에 관한 것으로, 수세식 변기 주위에 설치 이용되는 보조장치로서, 수세식변기와 양변기의 효과를 동시에 달성하여 사용자의 편리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세식 변기의 좌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and an auxiliary device installed and used around the flush toilet, to achieve the effect of the flush toilet and toilet at the same time, and to the toilet seat apparatus of the flush toilet can be selec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생활의 편리성과 풍요로움이 추구되고 있다. 또한 생활환경의 개선 문제는 화장실 문화의 발전에도 많이 기여하고 있다. 이 중 변기는 보다 편리하고 위생적인 측면으로 발달되어 왔다. 현재 널리 통용되는 대변기는 좌변식인 양변기와 재래식인 수세변기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convenience and abundance of life are being pursued. In addition, the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oilet culture. Among them, the toilet has been developed in a more convenient and hygienic aspect. Currently, toilets widely used are toilets that are left-handed and toilets that are conventional.

먼저, 양변기는 좌대가 의자형태로 앉을 수 있으며, 신축건물 등에 많이 설치되고 있다. 아울러 수세식 변기도 양변기 못지 않게 설치되고 있다. 각각의 변기를 사용자의 편리 및 경제성에 따라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태이다.First, the toilet seat can sit in the form of a chair, and is installed in a new building. In addition, flush toilets are installed as well as toilets. Each toilet is used a lot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and economics of the user.

양변기 못지 않게 수세식 변기도 위생적인 측면과 종래부터 사용되어 왔던 생활습관 등으로 인하여 현재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As much as toilets, flush toilets are still used today because of their hygienic aspects and lifestyles that have been used in the past.

하지만, 종래의 양변기 및 수세식 변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oilet and flush toile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취향에 따라 양변기를 선호하는 사용자가 있는가 하면, 수세식변기를 선호하는 사용자가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러한 변기는 건물의 신축이나 개축시 하나만을 선택해서 설치해야 하므로, 하나의 변기에서 양변기 및 수세식 변기의 효과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some users prefer toilets according to their taste, while others prefer flush toilets. However, since such a toilet should be installed by selecting only one at the time of new construction or reconstruction of the build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one toilet does not satisfy the effects of toilet and flush toilet at the same time.

또한 기존의 수세식 변기의 경우는 쪼그리고 앉아 사용해야 한다는 결점과, 양변기의 경우는 사용시 좌대변에 오물이 자주 묻어있거나 오물의 튀어 오름등의 결점이 있으며, 누구나 앉어 사용하므로 간접적으로나마 비위생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편리함을 치중하여 설치하지만 설치의 경우에 있어 수세 변기보다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flush toilet, the squatting fault must be used, and in the case of toilet bowl, the stool on the left stool often has a defect such as splashing or splashing of the dirt, anyone sitting in use can be called indirectly unsanitary. In particular, the installation focuses on convenience, but in the case of install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requires a larger space than the flush toilet.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세식 변기 주위에 좌대장치를 설치하여 양변기의 효과를 냄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에 따라 수세식이나 양변식 모두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세식 변기의 좌대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by installing a seating device around the flush toilet to produce the effect of the toilet bowl, the toilet seat apparatus of the flush toilet can be used to select both the flush or the toilet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In providing a technology for.

아울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좌대장치의 설치를 위한 각종 관련 구성품 및, 사용상의 효율을 위한 적합한 위치의 선택 등이 요구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t is required to select a variety of relevant components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eating device, and the selection of a suitable position for the efficiency of us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대장치가 수세식변기의 주위에 설치된 상태의 도면.1 is a view of a s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round the flush toilet.

도 2는 도 1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대장치의 좌대가 내려진 상태의 도면.2 is a view of a seated state of the s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좌대장치의 하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ower operation of the s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4는 좌대장치의 상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pper operation of the seating apparatus.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 : 수세식 변기 20 : 좌대장치10: flush toilet 20: rest device

210 : 좌대 221∼223 : 링크210: base 221-223: link

230 : 고정대 231 : 연결고리230: holder 231: hook

240 : 부착틀 241 : 실린더240: mounting frame 241: cylinder

242 : 고정제한바 243 : 고정대멈치242: fixed bar 243: stopper stop

244 : 고정해제바 250 : 지지대244: release bar 250: support

251 : 회전지지바251: rotating support bar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좌대장치는, 수세식 변기의 사용을 위한 주변 보조장치로서,The toilet seat device of the flush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s a peripheral auxiliary device for the use of the flush toilet,

소정 구간이 터진 타원반형 고리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상기 수세식 변기의 상부에 거취되는 좌대; 상기 좌대의 하부에 부설되어 상기 좌대를 지지하며, 상기 좌대를 접개식으로 동작시키도록 관절형태로 연결된 다수의링크들을 포함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의 일측을 연결하여 상하이동하는 고정대; 상하이동하는 상기 고정대를 내포하고 상기 고정대를 고정 및 해제시키며, 상기 좌대 주위에 부착 설치되는 부착들; 및, 상기 좌대를 지지하는 상기 링크부의 소정 링크가 회전 운동하도록 지지 보조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있다.A seat formed in an oval-shaped ring-shaped popped section, the seat being taken on an upper portion of the flush toilet so that a user can sit; A link unit disposed below the seat to support the seat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links articulated to operate the seat in a foldable manner; A fixed stand that connects one side of the link unit to move; Attachments which contain the holder and which are moved up and down, and fix and release the holder, the attachments being installed around the seat;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predetermined link of the link unit for supporting the sea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대장치가 수세식변기의 주위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대장치의 좌대가 내려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좌대장치의 하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좌대장치의 상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a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round a flush toilet,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apparatus of th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is lowered. .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ower operation of th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pper operation of the seat apparatus.

도 1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좌대장치(20)는 좌대(210)가 펼쳐졌을 때 앉기에도 알맞고 수세식 변기(10)를 사용하기에도 알맞은 위치에 설치되며, 도시한 바와 같이 수세식변기(10)의 뒤쪽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 the seat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installed at a position suitable for sitting when the seat 210 is unfolded and used to flush the toilet 10, and as shown in FIG. 1.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at the rear upper part of the).

그리고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좌대장치(20)는 좌대(210), 3개의 링크(221, 222, 223), 고정대(230), 부착틀(240) 및 지지대(250)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1 and 2, the seat 20 of the flush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eat 210, three links (221, 222, 223), the fixing table 230, the mounting frame 240 and The support 250 can be largely divided.

도 3을 참조하면, 좌대(210)는 한 쪽끝이 약간 굽어진 형태를 취하고 있는 좌대링크(221)에 부착된다. 그리고 좌대링크(221)와 제1 및 제2 연결링크(222, 223)는 그 끝부분이 움직일 수 있는 관절형태로 각각 결합된다. 좌대링크(221)의 홀(221h)은 지지대(도 1, 250)의 회전지지바(251)에 끼워진 상태이고, 2개의 연결링크(rink; 222, 223)는 힘을 받으면 자유롭게 움직이므로, 좌대(210)가 상승하는 경우 도 3의 점선과 같이 회전하면서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링크(221, 222, 223)는 본 실시예에 따른 좌대장치(20)의 동작을 원활히 하고 사용상의 편리함을 기한다면 3개뿐만 아니라, 그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3, the pedestal 210 is attached to the pedestal link 221 having one end slightly curved. The left link 221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links 222 and 223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form of a joint in which an end thereof is movable. The hole 221h of the seat link 221 is fitted to the rotation support bar 251 of the support (FIGS. 1 and 250), and the two link links 222 and 223 move freely when applied to the seat. When 210 is raised, it moves while rotating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3. The links 221, 222, and 223 may be configured not only three but also more than three, in order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seat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provide convenience in use.

도 4는 본 실시예에 의한 부착틀(240) 내부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중앙 네모안의 상단에 고정대(230) 및 부착틀(240)에 대한 평면도를, 하단에 측면도를 각각 나타내었다. 하단 중앙의 측면도에서 상부는 평면도의 a-a'에 의한 단면을, 하부는 평면도의 b-b'에 의한 단면을 각각 나타내었다.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inside the mounting frame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top view of the mounting bracket 230 and the mounting frame 240 at the top of the center square, and a side view at the bottom, respectively It was. In the side view of the bottom center, the upper part showed the cross section by a-a 'of a top view, and the lower part showed the cross section by b-b' of a top view, respectively.

도 4의 상부에 도시된 평면도와 같이, 고정대(230)와 부착틀(240)은 하나의 평면에 도시되고 있지만, 실제로 고정대(230)는 중앙하단의 측면도와 같이, 부착틀(240)의 실린더(241) 중앙 정도의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후술하겠지만 고정대(230)는 좌대장치(20)의 동작에 따라 부착틀(240)의 아래에서 중앙부분까지 움직이게 된다.As shown in the top view of FIG. 4, the holder 230 and the attachment frame 240 are shown in one plane, but the holder 230 is actually a cylinder of the attachment frame 240, as shown in a side view at the bottom center. (241) It is located at the height of the middle level.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xing base 230 is moved from the bottom of the attachment frame 240 to the center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eat device 20.

그리고 상부의 평면도 및 상부 좌측의 분해된 모양과 같이, 부착틀(240)의 중앙 양쪽으로는 원통기둥 형태의 고정제한바(242)가 실린더(241) 안쪽의 상부면으로부터 매달린 형상을 취하고 있다. 그리고 고정대(230)는 그 하부에 제2링크(223)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231)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the plan view of the upper part and the disassembled shape of the upper left side, the fixed limit bar 242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column is suspended from the upper surface inside the cylinder 241 at both centers of the attachment frame 240. And the holder 230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ring 231 for connecting to the second link 223 at the bottom.

도 4의 하단에는 중앙의 측면도 좌측으로 고정대(23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중앙 상단의 평면도에서 선분 a-a'에 의한 단면을 도시하였다. 그리고 중앙의 측면도 우측으로는 고정대(230) 및 고정대멈치(24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중앙 상단의 평면도에서 선분 b-b'에 의한 단면을 도시하였다.4 illustrates a cross section by line a-a 'in a plan view of the center top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holder 230 on the left side of the center side view. In addition, in order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holder 230 and the holder stop 243 on the right side of the center, a cross section by line segment b-b 'is shown in the plan view of the center top.

중앙 하단 좌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대(230)는 좌대(210)의 상하이동에 의한 힘이 전달되어 a1 및 a2와 같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고정대(230)가 a1과 같이 상부로 이동한 상태는 좌대(210)가 내려진 상태이고, a2와 같이 하부로 이동된 상태는 좌대(210)가 도 1과 같이 세워진 상태이다.As shown in the lower left of the center, the fixed base 230 is transmitted by the shangdong of the base 210 is moved up and down as a1 and a2. The state in which the fixed base 230 is moved upward as shown in a1 is a state in which the pedestal 210 is lowered, and the state in which the pedestal is moved downward as in a2 is as shown in FIG. 1.

이러한 고정대(230)는 중앙 하단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부착틀(240)에 부설되어 있는 고정대멈치(243) 및 고정해제바(244)에 의해, 완전히 상승한 경우 고정대멈치(243)에 의해 고정되고, 고정해제바(244)에 의해 다시 풀리어 내려지게 된다.As shown i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center, the fixing stand 230 is fixed by the fixing stand stop 243 and the fixing release bar 244 which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frame 240 in the process of moving up and down, when fully fixed It is fixed by 243 and pulled down again by the release bar 244.

아울러 전술한 동작과정의 설명과 같이, 좌대(210)는 평상시 올려져 있기 때문에 부착틀(240)에 평행한 상태로 세워지가 되고, 사용시 좌대(210)에 가하는 힘에 의해 내려지게 되며 고정대멈치(243)에 고정대가 걸림으로써 사용가능상태가 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process, since the pedestal 210 is usually raised, it is erected in a state parallel to the attachment frame 240, and is lowered by the force applied to the pedestal 210 during use, and the fixed stand stops ( 243) is made ready for use.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대멈치(243) 및 고정해제바(244)에는 동작과정에서 복원이 가능하도록 스프링을 내장하고 있으며, 이 스프링은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른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본 고안은 고안의 요지를 달성하는 범위에서 좌대장치의 구조 및 형상의 변형을 통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As shown, the fixing stop 243 and the release bar 244 has a built-in spring to be restored in the course of opera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other devices that can generate a restoring forc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implementations through the modification of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seating apparatus within the scope of the subject matter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고안은 수세식변기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전술한 좌대장치를 통하여 양변기의 효과를 냄으로써,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the flush toilet as it is, as well as the effect of the toilet through the above-described seating device, to facilitate the user's convenience.

본 고안은 수세식 변기 주위에 좌대장치를 설치 이용함으로써 수세식변기와 양변기의 효과를 동시에 달성하여 사용자의 편리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재래식 변기 및 양변기의 결점을 보완함으로써 수세식변기의 위생적인 상태, 양변기의 편리함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the effect of using the toilet seat and toilet bowl at the same time by installing the toilet seat around the flush toilet to selectively use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both the sanitary state of the flush toilet and the convenience of the toilet by supplementing the deficiencies of the conventional toilet and toilet.

Claims (4)

수세식 변기의 사용을 위한 주변 보조장치에 있어서,In peripheral aids for the use of flush toilets, 소정 구간이 터진 타원반형 고리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상기 수세식 변기의 상부에 거취되는 좌대;A seat formed in an oval-shaped ring-shaped popped section, the seat being taken on an upper portion of the flush toilet so that a user can sit; 상기 좌대의 하부에 부설되어 상기 좌대를 지지하며, 상기 좌대를 접개식으로 동작시키도록 관절형태로 연결된 다수의 링크들을 포함하는 링크부;A link unit disposed under the seat to support the seat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links articulated to operate the seat in a foldable manner; 상기 링크부의 일측을 연결하여 상하이동하는 고정대;A fixed stand that connects one side of the link unit to move; 상하이동하는 상기 고정대를 내포하고 상기 고정대를 고정 및 해제시키며, 상기 좌대 주위에 부착 설치되는 부착들; 및,Attachments which contain the holder and which are moved up and down, and fix and release the holder, the attachments being installed around the seat; And, 상기 좌대를 지지하는 상기 링크부의 소정 링크가 회전 운동하도록 지지 보조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의 좌대장치.And a support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predetermined link of the link unit for supporting the seat in a rotational mo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ink unit 상기 좌대의 하부에 부착되는 좌대링크;A seat link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eat; 상기 좌대링크를 연결하며 상기 좌대링크에 최종 움직임을 전달하는 제1링크; 및,A first link connecting the left link and delivering a final movement to the left link; And, 상기 고정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대의 움직임을 상기 제1링크에 전달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의 좌대장치.And a second link connected to the holder to transfer the movement of the holder to the first lin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ink unit 상기 수세식 상부에 거취되고 상기 접개식으로 동작하는 좌대의 운동을 위한 3개 이상의 링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의 좌대장치.And three or more links for movement of the seated seated on the flush top and operated in the retractable man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틀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ttachment frame 상기 상하운동하는 고정대를 내포하도록 소정의 부피를 갖는 통형으로 형성되는 실린더;A cylinder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so as to contain the up-and-down fixing rod; 상기 실린더 내부의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대의 운동시 상부의 최대움직임을 제한하고, 상기 고정대의 해제시 해제반발력을 발생시키는 고정제한바;A fixing limit bar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cylinder to limit the maximum movement of the upper part during the movement of the holder, and to generate a release repulsive force when the holder is released; 상기 실린더의 일측에 부설되어 상부로 이동한 상기 고정대를 고정시키는 고정대멈치; 및,A stopper which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ylinder to fix the fixture moved upward; And, 상기 고정대를 고정시키는 고정대 멈치를 해제시키는 고정해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의 좌대장치.And a releasing bar for releasing stops for holding the braces.
KR2020000034437U 2000-12-08 2000-12-08 the pedestal apparatus of toilet water-stool KR20023249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437U KR200232496Y1 (en) 2000-12-08 2000-12-08 the pedestal apparatus of toilet water-s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437U KR200232496Y1 (en) 2000-12-08 2000-12-08 the pedestal apparatus of toilet water-sto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2496Y1 true KR200232496Y1 (en) 2001-09-26

Family

ID=73061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437U KR200232496Y1 (en) 2000-12-08 2000-12-08 the pedestal apparatus of toilet water-st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496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37608A (en) Foldable chair for bathroom
KR200417322Y1 (en) Table with the automatic folding chair have the back
KR100549519B1 (en) Chair folding device for table attached chair
KR200232496Y1 (en) the pedestal apparatus of toilet water-stool
RU2740222C1 (en) Quick-release and easy-to-assemble adjustable wheelchair
PT897279E (en) DEVICE FOR MOUNTING UPON A SANITA AND SANITARY SET
JP2005052323A (en) Stand device for toilet and toilet system
CN210055848U (en) Portable folding toilet
JP2017196111A (en) Chair
CN218304676U (en) Inclined parallel lifting integrated auxiliary toilet device for toilet
JP2007068575A (en) Chair type easy toilet bowl
KR200419385Y1 (en) Wheel chair for disabled person
CN220403863U (en) Bath chair
KR200414598Y1 (en) Armrest structure for a collapsible chair
KR200299201Y1 (en) Device for folding back support of office chair
CN211155517U (en) Toilet seat bath chair convenient to disassemble and assemble
KR102597868B1 (en) safety seat
JP4629919B2 (en) Armrest mounting structure for portable toilet
CN210582288U (en) Wash basin with folding seat
KR200446842Y1 (en) Chair arm exercise equipment
KR102665662B1 (en) Safety grabbar with height adjustment structure
CN214906262U (en) Bathing protection frame for old patients
CN220876640U (en) Foldable toilet chair for aged people
JPH119500A (en) Chair type simplified stool
JP4164322B2 (en) Backrest support mechanism for simple toilet with shower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