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061Y1 - 액정표시소자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061Y1
KR200232061Y1 KR2019950054317U KR19950054317U KR200232061Y1 KR 200232061 Y1 KR200232061 Y1 KR 200232061Y1 KR 2019950054317 U KR2019950054317 U KR 2019950054317U KR 19950054317 U KR19950054317 U KR 19950054317U KR 200232061 Y1 KR200232061 Y1 KR 2002320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display device
pattern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43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5317U (ko
Inventor
송병상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20199500543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061Y1/ko
Publication of KR9700453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53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0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061Y1/ko

Links

Landscapes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액정 표시 소자에서, 디스 플레이 영역과 그주변부에서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한 쇼크 및 일부의 쇼트가 더미 전체의 쇼트로 되어 발생되는 색상의 차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부 판넬 혹은 하부 판넬 중에서 일측에만 형성되어 있는 전극 패턴에 대하여, 그 전극 패턴에 대향하는 하부 혹은 상부 판넬에 상기 전극 패턴에 평행하게 돗트 더미 패턴을 형성하여, 전극 패턴의 유무에 의해 액정 표시 소자에 나타나는 정전기에 의한 쇼크 및 일부의 쇼트가 더미 전체의 쇼트로 되는 요인을 사전 방지하여 액정 표시 소자의 표면에 나타나는 바디 칼라의 차이와 그에 따른 표시 불량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소자
제1도는 고안에 따른 액정 표시 소자용 크롬 마스크의 제조중 돗트 설계제조의 일부를 간략하게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기존의 액정 표시 소자의 측면도.
제3도는 종래의 액정 표시 소자용 크롬 마스크의 라인 설계제조의 일부를 간략하게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먼 전극 1A : 세그먼트 전극
7 : 돗트 더미(DUMMY)패턴 53 : 상부패널
55 : 하부 판넬 59 : 프리트시일
[산업 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액정 표시 소자용 크롬 마스크의 설계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액정 표시 소자의 설계 제조 공정인 라인 방식 설계를 돗트 방식으로 바꾸어 기존의 설계에서 목적으로 하고 있는 셀갭 유지 및 바탕색 칼라 보상의 목적을 달성하면서 정전기에 의한 쇼크 및 일부의 쇼트가 더미(DVMMY)전체의 쇼트로 되는 요인을 사전 방지하여 액정 표시소자를 생산하는데 있어 불량을 줄이고 양품 생산률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액정 표시 소자 설계제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소자는 외부의 충격 특히, 전계에 의해 액정이 트위스트 됨을 이용하여 외부의 빛을 산란시킴으로서 소정의 표시를 하게된다.
이러한 액정 표시 소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먼, 세그먼트 전극(50,51)이 매트릭스 형상이 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는 상, 하부 판넬(52,53)과, 상기한 상하부 판넬을 일정 간격으로 유지시켜 줄뿐만 아니라 고정시키게 되는 시일 프리트(54)와, 상기한 커먼, 세그먼트 전극(50,51)의 상측에 도포된 배향막(55)과, 상기한 상, 하부 판넬(52,53)외부에 부착된 상, 하부 편광판(56,57)으로 구성되어 진다.
상술한 커먼 전극(50)에는 시일 프리트(54)의 외부로 연장되어 리이드 패턴(5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리이드 패턴(58)에는 드라이버 칩(59)이 장착된 필름(60)이 부착되어 진다.
물론, 도시하지 않고 있으나 상기한 세기먼트 전극(51)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드라이버 칩이 필름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바, 상기한 필름(60)에는 커먼, 세그먼트 전극(50,51)에 형성된 리이드 패턴(58)과 동일한 피치의 패턴(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즉, 드라이버 칩(59)을 통해 상기한 커먼, 세그먼트 전극(50,51)으로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커먼 전극(50) 및 세그먼트 전극(51)이 서로 교차되는 소정의 화소에 전계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 부분의 액정이 트위스트되어 도시되지 않은 백 라이트의 빛을 통과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상, 하부 편광판(56,57)은 통과시키는 빛의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액정에 의해 트위스트된 빛은 상부 편광판(56)을 통과하고 트위스트 되지 않은 빛은 상부 편광판(56)을 통과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선택된 화소만 소정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
종래의 액정 표시 소자는 제3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커먼 및 세그먼트 전극(50, 51)이 서로 교차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커먼 전극(50) 또는 세그먼트 전극(51)을 각각의 드라이버 칩에 연결시키기 위해 일측 판넬에만 형성되는 리이드 패턴(58)만이 있는 주변부와의 사이에서 바디 칼라의 차이를 나타내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특히 액정 표시소자의 비 구동시 더욱 선명하게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 하부 판넬(52,53)에 형성된 커먼 및 세그먼트 전극(50,51)이 겹쳐 보이는데 반하여, 그 주변 부에서는 상부 혹은 하부 판넬중에서 일측의 리이드 패턴(58)만이 보이게 됨으로써, 그 전극을 형성하는 ITO(Indium Tin Oxide)의 두께 차이로 인하여 액정 표시 소자의 표면에서 명암이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명암의 차는 전극 혹은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전혀 형성되어 있지 않는 부분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되고 있다.
아울러, 종래의 액정 표시 소자는 드라이버 칩에 접속되면 커먼 전극(50)과 세그먼트 전극(51)의 끝단부에서 정전 쇼크 및 기타 이물질등에 의한 쇼트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
이러한 정전기는 특히 구동 전압 인가시 순간 전압에 의해 생성되어지는데, 이는 액정 표시 소자의 계속적인 구동 시에도 잔류되어 발광하게 됨으로써, 액정 표시 소자의 표시 특성을 불량하게 한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극 패턴의 유무에 의해 표면으로 나타나게 되는 바디 칼라의 차이와 그에 따른 표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액정 표시 소자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액정셀에 전계를 형성하여 돗트 더미 패턴성의 액정을 구동하게 되는 액정표시 소자에 있어서, 상부 판넬 혹은 하부 판넬을 형성하는 더미 패턴에 대하여, 그 더미 패턴에 대향하는 상부 혹은 하부 판넬에 상기 돗트(Dot)더미 패턴을 형성하여, 디스 플레이 영역과 그 주변부의 명암을 일정하게 형성하고, 더미 패턴 설계 방식인 라인 방식을 돗트 방식으로 하여 기존 라인 더미(DUMMY)패턴의 목적을 수행하면서 양품율 및 표시 품질을 보다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있어, 드라이버 칩에 연결되는 커먼 전극과 세그먼트 전극의 끝단부는 프리트 시일까지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그 연장부에 대향하는 상부 혹은 하부 판넬에는 마찬가지로 돗트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돗트 더미 패턴은 당연히 커먼 및 세그먼트 전극과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한 돗트 더미 패턴은 단지 액정 표시 소자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그 주변 부에서 발생되는 색상의 차이를 개선하고 정전기에 의한 쇼크 및 일부의 쇼트가 전체의 쇼트로 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기존에 커먼 및 세그먼트 전극의 끝단부에서 발생되는 정전기와 그에 따른 잔광은 프리트 시일에 묻혀 보이지 않게 된다.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액정 표시 소자의 전극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제1(a)도는 하부 판넬(55)에 형성되어 있는 커먼 전극 (1)을, 제1(b)도는 상부 판넬(53)에 형성되는 세그먼트 전극(1A)을 나타내고 제1(c)도은 돗트 더미(DUMMY)패턴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커먼 전극 (1)과 세그먼트 전극(1A)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시일 프리트 (57)의 외부로 연장되어 드라이버 칩 (59)와 접속되는 리이드 패턴 (3)을 보유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액정 표시 소자에 있어, 본 고안은 커먼 전극 (1)과 세그먼트 전극(1A)은 서로 교차하도륵 배치되어 있으며, 시일 프리트(51)의 외부로 연장되어 드라이버 칩 (57)과 접속되는 리이드 패턴 (10)을 보유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액정 표시 소자에 있어, 본 고안은 커먼 전극(3)과 세그먼트 전극(1A)이 서로 교차하게 되는 디스 플레이 영역을 제외하고, 상부 판넬 (53) 혹은 하부 판넬 (55)의 주변 부의 명암 차를 제거하고 셀 갭 유지 및 바탕색 칼라 보상의 목적을 달성하면서, 정전기에 의한 쇼크 및 일부의 쇼트가 전체의 쇼트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 상부 판넬 (53) 혹은 하부 판넬 (55) 중에서 일측에만 형성되어 있는 전극 패턴, 보다 상세하게는 리이드 패턴에 (5)에 대향하여, 마주 보는 하부 판넬 (55) 혹은 상부 판넬 (53)에 상기 리이드 패턴 (5)와 평행하게 돗트 더미 패턴 (7)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돗트 더미 패턴 (7)은 상기 커먼 전극 (1)과 세그먼트 전극(1A)이 겹쳐 보이는 디스 플레이 영역과 마찬가지로, 그 주변 부에서 모두 그 전극을 형성하게 되는 ITO의 두께가 동일하게 되어, 바디 칼라의 차이가 없어지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돗트 더미 패턴 (7)은 당연히 커먼 및 세그먼트 전극(1, 1A)의 끝단부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로 인한 디스 플레이 영역에서의 잔광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각각의 커먼 및 세그먼트 전극(1, 1A)의 끝단부를 프리트 시일 (59)까지 연장하여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잔광 현상은 프리트 시일 (59)에 의해 감추어져 육안으로 보이지 않게 되는 바, 이는 제품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반면,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돗트 더미 패턴 (7)이 형성되어 있는 세그먼트 전극(1A)과 달리 커먼 전극(1)의 연장부에서, 종래와 마찬가지로 색상의 차이 및 정전기에 의한 쇼크 및 일부의 쇼트가 더미 전체의 쇼트로 되는 요인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부 판넬 (53)에 돗트 더미 패턴 (7)을 형성하여 바디 칼라의 차이와 쇼크 및 일부의 쇼트가 더미 전체의 쇼트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바디 칼라의 차이를 극복하고 있다.
[고안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하고 있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에 의한 액정 표시 소자는 종전에 비하여 표면으로 보이는 바디 칼라가 개선되고 보다 향상된 표시 특성을 갖게 됨을 알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 영역과 그 주변 부에서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한 쇼크 및 일부의 쇼트가 더미 전체의 쇼트로 되는 요인을 사전 방지하여 색상의 차이를 제거하게 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얻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액정 표시 소자의 구동시 순간 전압에 의해 발생되는 쇼크 및 쇼트에 의한 잔광 현상을 제거함으로써, 구동 초기에 발생되는 표시 불량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도 아울러 얻게 된다.

Claims (1)

  1. 커먼 및 세그먼트 전극이 각각 형성된 상, 하부 판넬과, 상기한 상, 하부 판넬의 사이에 내재되는 액정과, 상기한 액정을 상, 하부 판넬 사이에 내재되는 액정과, 상기한 액정을 상, 하부 판넬 사이에 밀폐시키는 시일 프리트로 구성된 액정 표시 소자에 있어서, 셀갭 유지 및 색보상을 위하여 상, 하부 판넬에 제공되는 더미 패턴을 돗트 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소자.
KR2019950054317U 1995-12-30 1995-12-30 액정표시소자 KR2002320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4317U KR200232061Y1 (ko) 1995-12-30 1995-12-30 액정표시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4317U KR200232061Y1 (ko) 1995-12-30 1995-12-30 액정표시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5317U KR970045317U (ko) 1997-07-31
KR200232061Y1 true KR200232061Y1 (ko) 2001-10-25

Family

ID=60875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4317U KR200232061Y1 (ko) 1995-12-30 1995-12-30 액정표시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06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4292A (ja) * 2001-09-13 2003-03-19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5317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609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200162435Y1 (ko) 슈퍼트위스트네마틱 액정 디스플레이
US6839104B2 (en) Common electrode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7797350B (zh) 显示装置
RU2511608C2 (ru) Жидкокристалл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US1037941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20055785A (ko) 횡전계 방식의 액정표시장치
KR100701474B1 (ko) 액정 패널의 결함 수정방법
JPH11119248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JP5429776B2 (ja) 液晶表示パネル
US20160139462A1 (en)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KR100640212B1 (ko) 공통전극의 접속이 강화된 횡전계방식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59928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리페어 방법
JP2002122856A (ja) 液晶表示装置
US1062048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232061Y1 (ko) 액정표시소자
US1146072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broken source line correction
KR10101721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074113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171937Y1 (ko) 액정표시소자
KR20080056830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리페어 방법
KR100441157B1 (ko)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KR101127837B1 (ko) 액정 표시 장치와 fpc의 본딩 검사 장치 및 이의 검사방법
KR200171936Y1 (ko) 액정표시소자
KR20070071796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리페어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