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830Y1 - 시계 - Google Patents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830Y1
KR200231830Y1 KR2020010005005U KR20010005005U KR200231830Y1 KR 200231830 Y1 KR200231830 Y1 KR 200231830Y1 KR 2020010005005 U KR2020010005005 U KR 2020010005005U KR 20010005005 U KR20010005005 U KR 20010005005U KR 200231830 Y1 KR200231830 Y1 KR 2002318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ch
case
watch case
tim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0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복
Original Assignee
강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복 filed Critical 강영복
Priority to KR20200100050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8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8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830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계줄이 결합되는 시계케이스와 시계본체로서 시계를 분리형성하여 상호 분해 및 조립이 가능토록하고 각기 다른 스타일을 갖는 다수개의 시계케이스와 하나의 시계본체를 1셋트화하여 제품화함으로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어느하나의 시계케이스에 시계본체를 결합하여 착용하면서 수시로 다른 스타일의 시계를 착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시계{A CLOCK}
본 고안은 시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계줄이 결합된 시계케이스와 시계본체를 별개로서 분리형성하여 상호 분해조립이 가능토록하는 한편, 하나의 시계본체와 각기 스타일이 다른 유형을 갖는 다수개의 시계케이스를 1셋트로 제품화하여 공급함으로서, 사용자가 시계케이스를 수시로 바꿔가면서 착용할 수 있도록 한 분해결합형 시계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필수용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시계는 시계본체와 시계케이스가 단일체로 형성 제작된 상태로 제품화되고 있으며, 상기 시계케이스에는 가죽밴드나 금속밴드를 결합하여 손목에 착용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종래의 시계는 사용자가 선택구입한 특정스타일의 시계를 장기간에 걸쳐서 계속 착용할 수 밖에 없었고, 새로운 스타일의 시계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다른 시계를 새로 구입해야만 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현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계를 구성하는 시계케이스와 시계본체를 각기 별개로서 분리형성하여 상호 분해결합이 가능토록하는 간단한 방안을 채택하여 시계외형 디자인을 결정짓는 시계케이스 다수종과 상기 시계케이스에 간다히 분해 또는 결합시킬 수 있는 하나의 시계본체로서 셋트화된 제품의 공급이 가능토록함으로서, 사용자가 계절이나 환경, 분위기등을 감안하여 수시로 다른 스타일의 시계를 선택 착용하면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계본체 2, 2' : 시계케이스 3 : 가죽밴드
4 : 금속밴드 5 : 용두삽입홈 6 : 용두
7 : 오링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를 구성하는 시계본체(1)와 시계케이스(2, 2')를 각기 별개로서 분리형성하여 시계케이스(2, 2')의 본체 삽착공(2a)을 통해 시계본체(1)의 결합 및 분해가 자유롭게 실현되도록 하고, 상기 시계케이스(2, 2')에는 시계본체(1)의 용두(6)가 삽입결합디는 용두삽입홈(5)을 요입형성하여 이루는 한편, 시계본체(1)의 중앙부위에는 접촉력이 우수한 고무재의 오링(7)을 결합하여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3은 시계케이스에 결합되는 가죽밴드를 4는 금속밴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예컨데 가죽밴드(3)가 결합된 시계케이스(2)와 금속밴드(4)가 결합된 시계케이스(2') 및 하나의 시계본체(1)를 1셋트로 제품화하여 공급하게 되는바, 사용자는 계절이나 장소, 분위기에 알맞는 시계케이스를 선택하여 시계본체(1)를 가볍게 결합해주면서 착용할 수 있게됨은 물론 수시로 다른 시계케이스를 선택하면서 간편히 바꿔 착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시계본체(1)의 형상은 원형에 국한되지 않고 사각 또는 육각형등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며 이경우 시계케이스(2, 2')의 본체삽착공(2a) 형상을 동일하게 형성해주는 간단한 방안으로 실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시계본체와 시계케이스를 별개로 분리형성해주는 단순방안을 실시하여 디자인이 다른 다수의 시계케이스와 하나의 시계본체를 1셋트로 제품화하여 공급함으로서 사용자가 수시로 다른 스타일의 시계를 선택착용할 수 있도록 한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시계를 구성하는 시계본체(1)와 시계케이스(2, 2')를 각기 별개로 분기형성하여 본체삽착공(2a)을 통한 상호 분해결합이 가능토록하고, 상기 시계케이스(2, 2')에는 용두(6)가 삽입되는 용두삽입홈(5)을 요입형성하여 이루는 한편, 시계본체(1)의 중앙부위에는 고무재의 오링(7)을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KR2020010005005U 2001-02-26 2001-02-26 시계 KR2002318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005U KR200231830Y1 (ko) 2001-02-26 2001-02-26 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005U KR200231830Y1 (ko) 2001-02-26 2001-02-26 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830Y1 true KR200231830Y1 (ko) 2001-07-03

Family

ID=73096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005U KR200231830Y1 (ko) 2001-02-26 2001-02-26 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8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6884B2 (ja) 腕時計のバンド
US5914913A (en) Interchangeable watchband and watchcase attachment assembly
US20060291336A1 (en) Wristwatch
US20200121042A1 (en) Interchangeable jewelry
US6322245B1 (en) Double heart watch
KR200231830Y1 (ko) 시계
KR200474073Y1 (ko) 장식체의 교체 및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장신구.
KR20010013456A (ko) 교체식 장식 부재가 부착된 보석품
JP3147796U (ja) 装身具の装飾体
KR200400292Y1 (ko) 악세사리용 체결구
KR200271413Y1 (ko) 회전형 장신구
KR20030039941A (ko) 다용도 장신구
KR200270782Y1 (ko) 케이스 교체가 가능한 시계
KR200324782Y1 (ko) 반지
KR200273301Y1 (ko) 퍼즐 반지
KR200431840Y1 (ko)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
KR200397718Y1 (ko) 조립식 반지
JP3147797U (ja) 装身具の装飾体
CN211021273U (zh) 一种珠宝组合挂件
CN209931675U (zh) 饰品
KR200186243Y1 (ko) 구슬형 보석 착탈용 목걸이
KR200368742Y1 (ko) 장신구가 구성된 손목시계
KR200266375Y1 (ko) 다용도 장신구
KR200361987Y1 (ko) 이니셜 표현이 가능한 액세서리
KR200261237Y1 (ko) 악세사리용 진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