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577Y1 - 다중 결합기 - Google Patents

다중 결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577Y1
KR200231577Y1 KR2020010003956U KR20010003956U KR200231577Y1 KR 200231577 Y1 KR200231577 Y1 KR 200231577Y1 KR 2020010003956 U KR2020010003956 U KR 2020010003956U KR 20010003956 U KR20010003956 U KR 20010003956U KR 200231577 Y1 KR200231577 Y1 KR 2002315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upler
main line
housing
coupling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덕
Original Assignee
김연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덕 filed Critical 김연덕
Priority to KR2020010003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5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5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577Y1/ko

Links

Landscapes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통신 기지국에 사용되는 방향성 결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이중 결합기가 복층화되어 있는 다중 결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다중 결합기는 일측면으로부터 개방된 홈을 내부에 가지며 신호 입력 및 출력용 커넥터가 양 끝단 각각에 위치하는 하우징과; 상기 신호 입력 및 출력용 커넥터에 접속되어 신호를 전파하는 주 선로와; 상기 개방된 홈 내부에서 주 선로를 중심으로 대칭 이격되어 있는 2쌍 이상의 커플링 선로들과; 상기 커플링 선로들 각각의 양 끝단에 결합되어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종단저항 및 복수의 커플링 출력 커넥터와; 상기 개방 홈을 밀폐시키기 위한 하우징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중 결합기{MULTI-COUPLER}
본 고안은 무선통신 기지국에 사용되는 방향성 결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이중 결합기가 복층화되어 있는 다중 결합기에 관한 것이다.
방향성 결합기는 전기적 신호가 전달될 수 있는 전송선을 가까이 위치시켰을때 발생하는 전자기적 결합현상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방향성 결합기의 동작원리는 고주파(RF) 신호가 통과하는 주 선로와 신호의 결합 현상이 일어나는 커플링 선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주 선로와 커플링 선로의 간격에 의해 결정된 전자파의 결합 계수에 따라 주 선로와 커플링 선로 사이에 일정한 커플링값을 갖게 된다.
이러한 방향성 결합기의 일예로서 -50dB 이중 결합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면이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직렬연결된 -50dB 이중 결합기의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기지국의 송신단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50dB 이중 결합기는 하우징(10) 양 끝단에 위치하는 신호 입력 및 출력용 커넥터(12, 14)와 연결되어 입력신호를 전파하는 주 선로(16)와, 상기 주 선로(16)를 중심으로 그 상,하부에 등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커플링 선로(18a,18b)를 하우징(10)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커플링 선로(18a,18b)의 양 끝단은 종단저항(20)과 커플링 출력 커넥터(22)와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 및 구조를 가지는 -50dB 이중 결합기는 무선통신 기지국내에서 도너, 피코, 허브 등과 같은 부품들과의 결합을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이중 결합기가 직렬연결되어 사용되곤 한다. 이중 결합기 하나를 단품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설계된 커플링값을 유지하지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이중 결합기를 직렬연결하는 경우에는 직렬연결된 부분에서 적어도 1dB 이상의 손실이 발생한다. 현재 무선통신 기지국에서는 기지국당 최대 3개를 연결하여 운용하고 있어 -3dB 이상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전력손실은 기지국의 핵심부품인 HPA, LPA, LNA 등의 증폭기류와 파워 서플라이(Power Supply) 등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기지국 자체가 무가동되거나 부하가 상승하여 음성/데이터 통신의 송수신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50dB 이중 결합기에는 커플링 출력 커넥터의 수가 2개이므로 이중 결합기에 결합되어야 하는 부품의 수가 제한적인 단점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많은 수의 부품을 이중 결합기에 결합하여야 하는 경우 연결되어야 하는 이중 결합기의 수가 많아야 한다. 이러한 경우 이중 결합기가 실장되는 중계 시스템 랙의 공간 활용성이 저하됨은 물론, 복수의 이중 결합기들을 수동으로 결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초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복수의 이중 결합기 연결에 따른 전력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복수의 이중 결합기를 복층화한 다중 결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이중 결합기를 일체화함으로서 다중 결합기가 실장되는 중계기 시스템 랙의 공간활용도를 증가시킴은 물론, 복수의 이중 결합기 결합에 따른 작업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복층화된 다중 결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이중 결합기를 일체화함으로써, 단품의 이중 결합기들에서 공용할 수 있는 부분을 최대로 늘려 생산원가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복층화된 다중 결합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50dB 이중 결합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면.
도 2는 직렬연결된 -50dB 이중 결합기의 회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50dB 다중 결합기의 하우징과 하우징 커버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50dB 다중 결합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50dB 다중 결합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50dB 다중 결합기의 하우징 커버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결합기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하우징 12 : 신호 입력용 커넥터
14 : 신호 출력용 커넥터 16 : 주 선로
18a,18b : 커플링 선로 20 : 종단 저항
22 : 커플링 출력 커넥터 24 : 하우징 커버
26 : 개방 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고안의 다중 결합기는;
일측면으로부터 개방된 홈을 내부에 가지며 신호 입력 및 출력용 커넥터가 양 끝단 각각에 위치하는 하우징과;
상기 신호 입력 및 출력용 커넥터에 접속되어 신호를 전파하는 주 선로와;
상기 개방된 홈 내부에서 주 선로를 중심으로 대칭 이격되어 있는 2쌍 이상의 커플링 선로들과;
상기 커플링 선로들 각각의 양 끝단에 결합되어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종단저항 및 복수의 커플링 출력 커넥터와;
상기 개방 홈을 밀폐시키기 위한 하우징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고안의 다중 결합기에서의 주 선로는 은도금된 동판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우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50dB 다중 결합기의 하우징(10)과 하우징 커버(24)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50dB 다중 결합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50dB 다중 결합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50dB 다중 결합기의 하우징 커버(24)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결합기의 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결합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하우징 커버(24)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일측면으로부터 개방된 홈(26)을 내부에 가지며 신호 입력 및 출력용 커넥터(12,14)가 양 끝단 각각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외 측면에는 쌍을 이루는 4개의 종단저항(20) 및 4개의 커플링 출력 커넥터(22)가 외부에 돌출되어 타 부품과의 결합에 이용된다. 그리고 쌍을 이루는 하나의 종단저항(20) 및 커플링 출력 커넥터(2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선로(18a,18b)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커플링 선로(18a,18b)는 상기 신호 입력 및 출력용 커넥터(12,14)를 연결하여 신호를 전파하는 주 선로(16)를 중심으로 대칭 이격되어 있으며 신호를 커플링하는데 이용된다. 주 선로(16)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커플링 선로 18a와 18b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쌍을 이루고 있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결합기는 적어도 2쌍 이상의 커플링 선로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쌍을 이루고 있는 커플링 선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커플링 선로(18a,18b) 각각과 상기 개방 홈 내면과의 이격거리(d)는 나머지 한 쌍의 커플링 선로(18c,18d) 각각과 그에 대향되는 하우징 커버(24) 내면과의 이격거리(d)가 동일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 내부의 개방 홈(26)을 밀폐시키기 위한 하우징 커버(24)의 내면중 일부를 도 6의 A와 같이 돌출시키도록 설계하였다.
따라서 한 쌍의 커플링 선로(18a,18b) 각각과 상기 개방 홈 내면과의 이격거리(d)는 나머지 한 쌍의 커플링 선로(18c,18d) 각각과 그에 대향되는 하우징 커버(24) 내면과의 이격거리(d)가 동일하게 되어 주 선로(16)와 커플링 선로(18a,18b,18c,18d) 사이에 일정한 커플링값을 갖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 및 구조를 가지는 다중 결합기의 회로도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해 볼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결합기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이중 결합기의 직렬연결 부분은 찾아볼 수 없다. 즉, 본 고안은 하나의 주 선로(16)를 중심으로 4개의 커플링 선로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다수의 이중결합기를 직렬연결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1dB의 전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2개의 이중결합기를 하나의 복층화된 다중 결합기로 일체화하였기 때문에, 결합되는 부품의 수는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결합기 전체의 사이즈는 경감시켰으므로, 결과적으로 결합기가 실장되는 시스템 랙의 공간활용도를 증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복수의 이중 결합기들을 복층화함으로써, 이중 결합기 직렬연결에 따른 전력손실을 최소화하여 송수신 데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복수의 이중 결합기들을 복층화함으로서 다중 결합기가 실장되는 기지국 송신단 시스템 랙의 공간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이중 결합기들을 결합하여야 하는 작업자의 불편함을 해소함은 물론, 단품의 이중 결합기들에서 커넥터와 하우징과 같이 공용할 수 있는 부분을 최대화시킴으로써 생산원가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 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다중 결합기에 있어서,
    일측면으로부터 개방된 홈을 내부에 가지며 신호 입력 및 출력용 커넥터가 양 끝단 각각에 위치하는 하우징과;
    상기 신호 입력 및 출력용 커넥터에 접속되어 신호를 전파하는 주 선로와;
    상기 개방된 홈 내부에서 주 선로를 중심으로 대칭 이격되어 있는 2쌍 이상의 커플링 선로들과;
    상기 커플링 선로들 각각의 양 끝단에 결합되어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종단저항 및 복수의 커플링 출력 커넥터와;
    상기 개방 홈을 밀폐시키기 위한 하우징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화된 다중 결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 선로는 동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화된 다중 결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 선로는 은 도금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화된 다중 결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 선로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2쌍 이상의 커플링 선로들중 적어도 한 쌍의 커플링 선로 각각과 상기 개방 홈 내면과의 이격거리는 적어도 나머지 한 쌍의 커플링 선로 각각과 그에 대향되는 하우징 커버 내면과의 이격거리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화된 다중 결합기.
KR2020010003956U 2001-02-16 2001-02-16 다중 결합기 KR2002315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956U KR200231577Y1 (ko) 2001-02-16 2001-02-16 다중 결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956U KR200231577Y1 (ko) 2001-02-16 2001-02-16 다중 결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577Y1 true KR200231577Y1 (ko) 2001-07-19

Family

ID=73063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956U KR200231577Y1 (ko) 2001-02-16 2001-02-16 다중 결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5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070B1 (ko) 2010-12-29 2011-06-01 주식회사 이너트론 광대역 결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070B1 (ko) 2010-12-29 2011-06-01 주식회사 이너트론 광대역 결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2984B2 (en) Connector system with cable by-pass
CA2392322A1 (en) Differential signal electrical connectors
TW364227B (en) Low cost high performance portable phase array antenna system for satellite communication
US20140097913A1 (en) Multi-mode filter
WO2016140401A1 (ko) 마이크로스트립 회로 및 유전체 웨이브가이드를 이용한 칩-대-칩 인터페이스
US6547595B2 (en) High-speed transmission connector
KR100644536B1 (ko) 송수신 필터장치 및 통신장치
EP1544940A1 (en) Tower mounted amplifier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231577Y1 (ko) 다중 결합기
US20130045643A1 (en) Modular jack circuit and modular jack using the same
KR200231576Y1 (ko) 다중 결합기
CN102316663A (zh) 具有跳线结构的电路板
TWI395519B (zh) 具跳線結構之電路板
CN210327570U (zh) 中继模块及有源电缆
US80238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among integrated circuits within an enclosure
US10951258B2 (en) Waveguide unit, waveguide device, and connection method
CA1167121A (en) High speed ribbon cable bus
KR200153043Y1 (ko) 하이-q 유전체 필터를 이용한 콤바이너
WO2021197277A1 (en) Au and ru having cwg filters, and bs having the au or ru
KR100382000B1 (ko) 서로 다른 중심주파수를 갖는 필터들을 결합하기 위한스트립라인 합성기
KR100342662B1 (ko) 다중 결합이 가능한 멀티-방향성 결합기
JPH0720961Y2 (ja) 空中線共用装置
KR200276806Y1 (ko) 멀티-에어스트립라인 구조의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고주파신호 분배 결합장치
JP3493790B2 (ja) 方向性結合器
EP1253723A1 (en) Transmitter/receiver device with re-configurable output combi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