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558Y1 - 태극기 게양대 - Google Patents

태극기 게양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558Y1
KR200231558Y1 KR2020010003541U KR20010003541U KR200231558Y1 KR 200231558 Y1 KR200231558 Y1 KR 200231558Y1 KR 2020010003541 U KR2020010003541 U KR 2020010003541U KR 20010003541 U KR20010003541 U KR 20010003541U KR 200231558 Y1 KR200231558 Y1 KR 2002315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egeukgi
winding
hoisting
hoist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윤
Original Assignee
박태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윤 filed Critical 박태윤
Priority to KR2020010003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5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5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558Y1/ko

Links

Landscapes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태극기 게양대에 관련되며, 좀 더 상세하게는 우천시에 태극기가 비에 젖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게양된 태극기가 언제나 바람에 펄럭이게 할 수 있는 태극기 게양대에 관련된다.
본 고안은 태극기를 게양하는 태극기 게양대에 있어서 태극기 게양대가, 상기 태극기 게양대의 상단에 형성된 강수감지센서와; 상기 강수감지센서로부터의 강수신호에 따라 상기 태극기 게양대에 형성된 권취홈을 통하여 게양된 태극기를 상기 태극기 게양대의 내부로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기상조건이 변화하여 갑작스러운 우천시에도 태극기가 비에 젖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사용자의 임의대로 게양된 태극기에 바람을 송출하여 태극기를 펄럭이도록 할 수 있어 태극기를 보는 이로 하여금 활력을 느끼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태극기 게양대{A Pole for Hoisting a National Flag}
본 고안은 태극기 게양대에 관련되며, 좀 더 상세하게는 우천시에 태극기가 비에 젖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게양된 태극기가 언제나 바람에 펄럭이게 할 수 있는 태극기 게양대에 관련된다.
학교나 관공서 등에서는 외부에 태극기를 게양하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건물의 외부에 태극기를 게양하는 경우에는 우천시마다 태극기가 젖지 않도록 사람들이 태극기를 내려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근래 들어 관련법의 개정으로 하루 24시간 태극기의 게양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예전에는 일몰 시간에 맞추어 태극기를 내려서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외부에 게양되는 태극기는 태극기 게양대에 태극기의 일측이 고정되어 바람에 따라 태극기가 펄럭이도록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러나, 항상 바람이 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태극기의 형상이 잘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었으며 보는이로 하여금 맥이 풀려 있는 듯한 인상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3 은 일반적으로 태극기(10)가 게양된 종래 태극기 게양대(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태극기 게양대(20)는 태극기(10)를 높이 게양하는 이외의 역할 이외에는 별도의 기능이 없었다. 즉, 태극기 게양대(20)의 상단에 형성된 일종의 도르레를 이용하여 태극기(10)를 고정시킨 줄을 상하로 이동시켜 태극기(10)를 게양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 태극기 게양대(20)는 우천시에 사람이 직접 태극기(10)를 내려서 비를 피하도록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바람이 없는 날에는 태극기(10)가 아래로 늘어져 겹쳐 있으므로 태극기(10)의 형상이 보이지 않을 뿐더러 보는 이로 하여금 활력을 느끼지 못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천시에 게양된 태극기가 비를 맞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게양된 태극기가 언제나 바람에 펄럭이도록 할 수있는 태극기 게양대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
도 3 은 종래 태극기 게양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태극기 20 : 태극기 게양대
30 : 강수감지센서 40 : 권취부
41 : 권취봉 42 : 모터
50 : 권취홈 60 : 송풍구
70 : 송풍장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본 고안은 태극기(10)를 게양하는 태극기 게양대(20)에 있어서 태극기 게양대(20)가,
상기 태극기 게양대(20)의 상단에 형성된 강수감지센서(30)와; 상기 강수감지센서(30)로부터의 강수신호에 따라 상기 태극기 게양대(20)에 형성된 권취홈(50)을 통하여 게양된 태극기(10)를 상기 태극기 게양대(20)의 내부로 권취하는 권취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전술한 권취부(40)가,
태극기(10)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봉(41)과; 상기 권취봉(41)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전술한 태극기 게양대(20)가,
상기 태극기 게양대(20)의 태극기(10)가 게양되는 일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구(60)와; 상기 태극기 게양대(20)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송풍구(60)를 통하여 게양된 태극기(10)에 바람을 송출하는 송풍장치(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당업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극기 게양대(20)의 개략적인 외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태극기 게양대(20)의상단에 강수감지센서(30)가 형성되고 태극기 게양대(20)의 상부에 형성된 권취홈(50)을 통하여 태극기(10)가 게양되며 권취홈(50)의 양측으로 송풍구(60)가 형성된다.
강수감지센서(30)는 기상조건의 변화에 따다 우천시에 이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태극기 게양대(2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강수감지센서(30)의 작동을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그 크기와 위치는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강수감지센서(30)에 대해서는 이 건 출원전 다양한 공지기술이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권취홈(50)은 태극기(10)를 태극기 게양대(20) 내부로 권취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태극기(10)가 원할하게 권취될 수 있도록 태극기 게양대(20)의 길이 방향으로 적절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구(60)는 게양된 태극기(10)에 바람을 송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술한 권취홈(50)의 주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구(60)의 크기는 적은 바람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너무 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며 태극기(10)가 바람에 잘 흔들릴 수 있는 위치에 적절한 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극기(10)가 게양되어 있을 때 비가 내리면 강수감지센서(30)가 이를 감지하게 된다. 강수감지센서(30)로부터 강수신호가 발생하면 내장된 모터(42)가 구동되어 태극기(10)가 권취홈(50)을 통하여 태극기 게양대(20)의 내부로 권취된다.
바람이 없는 날에는 태극기 게양대(20)의 내부에 내장된 송풍장치(70)를 가동시켜 송풍구(60)를 통하여 태극기(10)에 바람을 송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태극기(10)를 바람이 없는 날에도 힘차게 펄럭이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송풍장치(7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필요시에만 가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하도록 태극기 게양대(20)의 하부에 조작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극기 게양대(20)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태극기 게양대(20), 강수감지센서(30), 권취부(40), 송풍구(60), 송풍장치(70)를 포함한다. 권취부(40)는 권취봉(41), 모터(42), 구동기어(43), 연동기어(44)를 포함한다.
태극기 게양대(20)는 태극기(10)를 게양하기 위한 것으로 태극기(10)가 게양되는 부분에 권취홈(50)과 송풍구(60)가 형성되며 내부에 전술한 강수감지센서(30), 권취부(40), 송풍장치(70)를 내장하고 있다.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지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전술한 권취부(40)와 송풍장치(70)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본 고안과 큰 관련이 없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강수감지센서(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우천시 이를 감지하여 강수신호를 발생하여 이를 권취부(40)로 전달하는 수단이다. 즉, 우천시에 강수감지센서(30)에 떨어지는 빗방울을 감지하여 우천을 감지하고 강수신호를 발생한다. 강수신호는 권취부(40)로 전달되어 권취부(40)를 구동시키게 된다.
권취부(40)는 전술한 강수감지센서(30)로부터의 강수신호에 따라 게양된 태극기(10)를 태극기 게양대(20)에 형성된 권취홈(50)을 통하여 내부로 권취하는 수단이다. 권취홈(50)은 게양된 태극기(10)가 원활하게 태극기 게양대(20)의 내부로 권취될 수 있도록 태극기 게양대(20)의 상부에 태극기(10)의 크기에 맞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취부(40)는 권취봉(41), 모터(42), 구동기어(43), 연동기어(44)를 포함한다. 권취봉(41)은 태극기(10)가 권취되는 봉으로 상단은 회전이 자유롭도록 태극기 게양대(20)의 상부에 결합되고 하단은 연동기어(44)가 형성되어 모터(42)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모터(42)는 도면에는 미도시된 조작부로부터의 구동신호에 따라 회전을 시작하게 되며 그에 따라 모터(42)에 형성된 구동기어(43)가 회전한다. 이 회전력이 구동기어(43)와 맞물려 회전하는 전술한 권취봉(41)의 하단에 형성된 연동기어(44)를 통하여 권취봉(41)에 전달되어 권취봉(41)이 회전한다. 본 고안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권취봉(41)을 회전하기 위하여 모터(42)와 권취봉(41)을 밸트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송풍구(60)는 송풍장치(70)에서 발생하는 바람을 내부에서 외부로 게양된 태극기(10)로 송출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권취홈(50)의 일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장치(70)로부터 송풍구(60)까지는 별도의 송풍연결관을 통하여 바람을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장치(70)는 인위적으로 바람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도면에는 미도시된 조작부의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즉, 사용자는 수동으로 송풍장치(70)를 구동시키므로써 필요한 시간대별로 구동을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송풍장치(70)는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바람을 생성시키는 방법을 상정하였으나 그 외의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본 고안은 기상조건이 변화하여 갑작스러운 우천시에도 태극기가 비에 젖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우천시에도 태극기를 직접 태극기 게양대로부터 내려 따로 보관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임의대로 게양된 태극기에 바람을 송출하여 태극기를 펄럭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태극기를 보는 이로 하여금 활력을 느끼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3)

  1. 태극기(10)를 게양하는 태극기 게양대(20)에 있어서,
    상기 태극기 게양대(20)의 상단에 형성된 강수감지센서(30)와;
    상기 강수감지센서(30)로부터의 강수신호에 따라 상기 태극기 게양대(20)에 형성된 권취홈(50)을 통하여 게양된 태극기(10)를 상기 태극기 게양대(20)의 내부로 권취하는 권취부(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극기 게양대.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40)가,
    태극기(10)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봉(41)과;
    상기 권취봉(41)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4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극기 게양대.
  3. 청구항 1 또는 2 에 있어서, 상기 태극기 게양대(20)가,
    상기 태극기 게양대(20)의 태극기(10)가 게양되는 일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구(60)와;
    상기 태극기 게양대(20)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송풍구(60)를 통하여 게양된 태극기(10)에 바람을 송출하는 송풍장치(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극기 게양대.
KR2020010003541U 2001-02-13 2001-02-13 태극기 게양대 KR2002315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541U KR200231558Y1 (ko) 2001-02-13 2001-02-13 태극기 게양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541U KR200231558Y1 (ko) 2001-02-13 2001-02-13 태극기 게양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558Y1 true KR200231558Y1 (ko) 2001-07-19

Family

ID=73095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541U KR200231558Y1 (ko) 2001-02-13 2001-02-13 태극기 게양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5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454B1 (ko) * 2016-02-02 2016-12-27 곽효준 차량 탑재형 도로공사 표지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454B1 (ko) * 2016-02-02 2016-12-27 곽효준 차량 탑재형 도로공사 표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41910A (zh) 户外可移动防雨晾衣架
KR200231558Y1 (ko) 태극기 게양대
CN201301586Y (zh) 一种智能手电两用全风动旗杆
KR100996182B1 (ko) 기(旗) 자동게양시스템
KR101508456B1 (ko) 기(旗) 게양장치
CN109750899A (zh) 一种旅游景区用新型人流导引设备
KR101353174B1 (ko) 기(旗) 게양장치
CN107452302A (zh) 一种可伸缩高空广告装置
CN110273572A (zh) 一种随风向迊风转动式智能旗杆
KR101388631B1 (ko) 국기 게양대
JP5133806B2 (ja) 幟旗掲揚装置
CN108468992A (zh) 一种可多方向运动的智能吊灯
KR101436750B1 (ko) 기(旗) 게양장치
CN209638880U (zh) 一种多功能户外灯
CN205842425U (zh) 一种带有监控功能的led路灯
CN218715649U (zh) 双循环升旗装置
CN210828574U (zh) 一种随风向迎风转动式智能旗杆
CN2360901Y (zh) 电动自控式旗帜展扬装置
KR200337492Y1 (ko) 국기 게양대
CN2388272Y (zh) 飘扬旗杆
JPH1049090A (ja) 旗掲揚装置
CN108332121A (zh) 一种多功能智能吊灯
CN205645127U (zh) 一种能旋转的led大屏幕显示墙
CN2348049Y (zh) 电动吹风旗盒
CN101625818A (zh) 国旗飘扬的回转式悬托装置和供风飘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