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350Y1 - Kick board - Google Patents

Kick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350Y1
KR200231350Y1 KR2020010002761U KR20010002761U KR200231350Y1 KR 200231350 Y1 KR200231350 Y1 KR 200231350Y1 KR 2020010002761 U KR2020010002761 U KR 2020010002761U KR 20010002761 U KR20010002761 U KR 20010002761U KR 200231350 Y1 KR200231350 Y1 KR 200231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handle
driving
travel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76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혁성
전자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털 피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털 피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털 피봇
Priority to KR2020010002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35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350Y1/en

Link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시에는 주행중 회전 각도범위를 안전주행 각도범위로 제한하고 이동 운반시에는 이동 편의성을 제공하는 보조바퀴와 더불어 주행용 보드를 독립적으로 서 있는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스탠드부재를 주행용 보드에 부가 설치함으로써 주행용 보드의 안전성과 편의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킨 주행용 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limits the rotation angle range during driving to the safe driving angle range during use, and a stand member for maintaining the driving board in an independent standing state on the driving board together with an auxiliary wheel that provides the convenience of movement when mov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veling board for improving safety, convenience, and functionality of the traveling board.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보드 프레임과, 핸들부와, 상기 보드 프레임과 핸들부를 접철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핸들부와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앞바퀴 및 상기 보드 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뒷바퀴를 포함하여 된 주행용 보드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에 의한 상기 앞바퀴의 회전각도 범위가 소정각도 범위 이내로 제한되도록 상기 보드 프레임의 앞단에 이 보드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1,2 보조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보조바퀴는 상기 주행용 보드의 사용시에는 지면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핸들부를 접철하여 손잡이를 잡고 운반 이동할 때에는 지면에 접촉되어 회전구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installed on the board frame, the handle portion, the connecting portion foldable to connect the board frame and the handle portio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and the rotational movement is installed to the rotational movement In the running board comprising a rear wheel to the first, which is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ard frame at the front end of the board frame so that the rotation angle range of the front wheel by the handle portion is limited to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It includes two auxiliary wheel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wheels ar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certain distance when the driving board is used, and when the handle is moved by folding the handle part,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wheel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to rotate and drive It is done.

Description

주행용 보드{Kick board}Travel board {Kick board}

본 고안은 소위 '킥보드'라 불려지는 주행용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시에는 주행중 회전 각도범위를 안전주행 각도범위로 제한하고 이동 운반시에는 이동 편의성을 제공하는 보조바퀴와 더불어 주행용 보드를 독립적으로 서 있는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스탠드부재를 주행용 보드에 부가 설치함으로써 주행용 보드의 안전성과 편의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킨 주행용 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Kick board) 또는 스틱보드라 불려지는 '주행용 보드'는 통상 어린이들이 타고 다니면서 유희를 즐기는 것으로서 전,후바퀴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 보드와 주행 방향을 조정하는 핸들 및 기타 부재들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주행용 보드는 핸들을 조정하여 방향을 잡은 상태에서 프레임 보드에 한발을 올려놓고 다른 한발은 지면을 지치면서 전,후바퀴를 구동 회전시킴으로써 승용감과 속도감을 즐길 수 있도록 된 기구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board called a 'kickboard', and more specifically, the driving angle with the auxiliary wheel that provides the convenience of movement in limiting the rotation angle range during driving to the safe driving angle range when used and mov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veling board for improving safety, convenience, and functionality of a traveling board by additionally installing a stand member for maintaining the board in an independent state. A driving board, commonly called a kick board or stick board, is usually a child's ride and enjoys play. It is a frame board supported by front and rear wheels, steering wheel and other members that adjust the driving direction. It is composed. Such a driving board is a mechanism that allows one to put a foot on the frame board while adjusting the steering wheel and the other foot to drive the front and rear wheels while exhausting the ground to enjoy a sense of comfort and speed.

또한, 최근에는 모터 혹은 엔진과 같은 동력장치가 장착된 주행용 보드도 선보이고 있는데, 이와 같은 동력장치가 장착된 주행용 보드도 그 기본 구성은 일반 주행용 보드의 구성에 따르고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주행용 보드'라 함은 모터 혹은 엔진과 같은 동력장치가 장착된 주행용 보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recently, a driving board equipped with a power device such as a motor or an engine has been introduced. The driving board equipped with such a power device also has a basic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driving board. Accordingly, the term "running board" in this specification also includes a driving board equipped with a power device such as a motor or an engine.

상기와 같은 주행용 보드의 구성은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189611 호(명칭; 주행용 보드, 출원번호; 20-2000-006155)와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192306 호(명칭; 외발식 슬라이드 보드, 출원번호; 20-2000-006919),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196549 호(명칭; 킥 보드, 출원번호; 20-2000-011367) 및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204403 호(명칭; 절첩 가능한 킥보드, 출원번호; 20-2000-015700) 등에 이미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board as described above is registered domestic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89611 (name; driving board, application number; 20-2000-006155) and domestic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92306 (Name; unilateral slide board, application number; 20-2000-006919), domestic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96549 (name; kick board, application number; 20-2000-011367) and domestic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04403 (name; collapsible kickboard, application number; 20-2000-015700) and the like is already well known,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주행용 보드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승용감과 속도감을 즐길 수 있는 기구로서의 역할은 모두 다 충족시키고 있지만, 운반 이동시에 불편한 점이 많이 있었다.By the way,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traveling boards fulfill all of the roles as mechanisms for enjoying the feeling of riding and speed as described above, but there are many inconveniences during transportation.

즉, 종래의 주행용 보드의 운반 이동은 통상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부(20)를 보드 프레임부(10)로 접은 상태에서 핸들부(20) 스템(stem)를 손으로 잡아 들어 운반 이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와 같이 주행용 보드를 운반 이동하는 경우 그 대부분이 금속부재로 이루어진 주행용 보드의 자체 무게로 인해 힘이 들 뿐만 아니라 주행용 보드의 보드 프레임부(10)가 운반자의 신체와 접촉하게 되어 주행용 보드의 이물질이 의복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히, 동력장치가 장착된 주행용 보드의 경우 그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해서 주행용 보드를 손으로 들고 운반 이동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the conveyance movement of the conventional traveling board is carried by holding the handle portion 20 stem by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ortion 20 is folded into the board frame portion 10 as shown in FIG. 1. It is common to move, but in the case of carrying and moving the board for transportation as described above, the board frame portion 10 of the board for driving is not only burdened by the weight of the board for driving, which is mostly made of metal. There was a problem such that the foreign matter of the running board contaminates the clothing to come in contact with.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driving board equipped with a power unit because the weight is considerabl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carry and carry the traveling board by hand as described above.

한편, 주행용 보드를 도 1과 같이 접은 상태에서 핸들부(20)의 손잡이(22)를 잡고 앞바퀴(30)를 구동시키면서 이동시킬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손잡이(22)와 앞바퀴(30)가 자유자재로 회동하기 때문에 운반 이동방향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없어 불편한 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while holding the handle 22 of the handle 20 in the folded state board as shown in Figure 1 may be moved while driving the front wheel 30, in this case, the handle 22 and the front wheel 30 is free Because of the rotation of the material, the conveying movement direction could not be maintained consistently, which was inconvenient.

그리고, 종래의 주행용 보드에 있어서, 주행중 핸들 손잡이(22)에 의한 핸들부(20)의 주행방향 조정각도가 무제한, 즉 핸들부(20)가 360°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주행 방향각도가 과도하게 변화하는 경우 주행용 보드의 주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traveling board, the traveling direction adjustment angle of the handle portion 20 by the handle handle 22 during driving is unlimited, that is, the traveling direction angle is excessive because the handle portion 20 can rotate 360 °. In the case of a change, the driving board is not normally driven, which may lead to a safety accident.

또한, 종래의 주행용 보드에 있어서, 주행용 보드를 사용하다가 세워 놓는 경우, 주행용 보드를 지지할 수 있는 소정의 기둥, 벽과 같은 지지물이 있으면 가능하지만, 상기와 같은 지지물이 없는 경우에는 주행용 보드를 독립적으로 세워 놓을 수가 없어 바닥에 쓰러트려 놓아야만 하기 때문에 유지 보관상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traveling board, when the board is used while standing, it is possible to have a support such as a predetermined pillar and a wall that can support the traveling board, but it is possible to travel when there is no support as described above. There was an unfavorable problem in terms of maintenance and storage because the board could not stand on its own and had to be knocked down on the floor.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시에는 주행중 회전 각도범위를 안전주행 각도범위로 제한하고 운반 이동시에는 이동 편의성을 제공하는 보조바퀴와, 예를 들어 일시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시와 같이 직립상태, 즉 서 있는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스탠드부재를 기존의 주행용 보드에 부가 설치함으로써 주행용 보드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킨 주행용 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use of the auxiliary wheel to limit the rotation angle range during driving to the safe driving angle range during use and the convenience of movement when transporting, for example, if not temporarily us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veling board that improves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the traveling board by additionally installing a stand member for maintaining in an upright state, that is, a standing state as in use.

도 1은 일반적인 주행용 보드의 접철상태를 도시한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olded state of a general driving board.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행용 보드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driv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운반이동을 위해 접철된 상태의 주행용 보드를 도시한 구성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raveling board in a folded state for transpor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바퀴 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발췌 사시도.Figure 4 is an excerp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auxiliary wheel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들부 회동방지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Figure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handle portion anti-rotation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 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tract of the stand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0 : 보드 프레임 20 : 핸들부10 board frame 20 handle portion

22 : 손잡이 24 : 핸들 스템(stem)22 handle 24 handle stem

30 : 앞바퀴 40 : 뒷바퀴30: front wheel 40: rear wheel

60R,L : 제1,2 보조바퀴 64R,L : 간격조정 장공60R, L: 1st, 2nd wheel 64R, L: Spacing hole

72 : 탄성바이어스 스프링 74 : 스탠드부재72: elastic bias spring 74: stand member

110 : 핸들부 회동방지부재 112 : 회동방지 요홈110: handle rotation preventing member 112: anti-rotation groo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주행용 보드는,Travel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신체가 접촉 지지되는 보드 프레임과, 핸들대와 손잡이와 핸들스템(stem)으로 구성되어 방향을 조정하는 핸들부와, 상기 보드 프레임과 핸들부를 접철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핸들부의 핸들대와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앞바퀴 및 상기 보드 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뒷바퀴를 포함하여 된 주행용 보드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에 의한 상기 앞바퀴의 회전각도 범위가 소정각도 범위 이내로 제한되도록 상기 보드 프레임의 앞단에 이 보드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1,2 보조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보조바퀴는 상기 주행용 보드의 사용시에는 지면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핸들부를 접철하여 손잡이를 잡고 운반 이동할 때에는 지면에 접촉되어 회전구동되도록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A board frame to which the body is in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a handle, a handle bar and a handle and a stem, and a handle part for adjusting a direction, a connecting part for foldably connecting the board frame and the handle part, and a handle bar of the handle part; In the running board comprising a front wheel connected to the rotary wheel and the rear wheel is installed on the rear end of the board frame to rotate the movement, the rotation angle range of the front wheel by the handle portion is limited to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nd first and second auxiliary wheels installed at a front end of the board frame in a width direction of the board fram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wheels ar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driving board is us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and rotated when carrying the handle by folding the handle.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행용 보드는 상기 제1,2 보조바퀴 사이의 간격을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보조바퀴 간격조정 수단과, 상기 주행용 보드가 독립적으로 직립하도록 상기 보드 프레임의 후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탠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부재는 상기 주행용 보드의 사용중에는 지면과 접촉되지 않게 되고 상기 주행용 보드가 독립적으로 직립할 때는 지면과 접촉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veling board is a secondary wheel spacing means for arbitraril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wheels, and the traveling board of the board frame so as to stand upright independently It further comprises a stand member rotatably installed at the rear end, the stand member is not in contact with the ground during the use of the running board, and the contact board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standing upright.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의 방향각도를 조정하는 상기 핸들부가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핸들부 회동방지 수단이 상기 연결부와 상기 핸들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용 보드에는 모터, 엔진과 같은 동력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anti-rotation means for preventing the handle portion arbitrarily rotated to adjust the direction angle of the front wheel is provided i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the running board is a motor, engine Power units such as may be mount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주행용 보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riv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일반적인 주행용 보드의 접철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행용 보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운반이동을 위해 접철된 상태의 주행용 보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바퀴 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발췌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들부 회동방지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 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olded state of a general driving board.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driv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raveling board in a folded state for transpor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cerp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cerpt of the auxiliary wheel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nti-rotation of the handl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tract of the stand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show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주행용 보드는 종래의 주행용 보드와 마찬가지로 신체가 접촉 지지되는 보드 프레임(10)과, 핸들대(26)와 손잡이22)와 핸들스템(24)으로 구성되어 방향을 조정하는 핸들부(20)와, 보드 프레임(10)과 핸들부(20)를 접철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50)와, 핸들부(20)의 핸들대(20)와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앞바퀴(30) 및 보드 프레임(10)의 후단에 설치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뒷바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traveling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ard frame 10, the handle bar 26 and the handle 22 and the handle stem 24, the body is in contact with the body as in the conventional traveling board Handle portion 20 is configured to adjust the direction, the connecting portion 50 to foldably connect the board frame 10 and the handle portion 20, the handle portion 20 of the handle portion 20 and the connec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ar wheel 40 is installed on the rear end of the front wheel 30 and the board frame 10 to rotate the rotation movement.

그리고,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주행용 보드는 주요한 특징으로서 핸들부(20)에 의한 앞바퀴(30)의 회전각도 범위가 소정각도 범위 이내(예; 앞바퀴 중심으로 ±50°)로 제한되도록 보드 프레임(10)의 앞단에 이 보드 프레임(10)의 폭방향으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1,2 보조바퀴(60R)(60L)를 포함하는데, 이 제1,2 보조바퀴(60R)(60L) 각각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바퀴 지지부재(62R)(62L)와 고정 스크류(66R)(66L)에 의해 보드 프레임(10)과 결합된다. 각보조바퀴 지지부재(62R)(62L)에는 이 지지부재가 스크류(66R)(66L)에 의해 보드 프레임(10)에 결합될 수 있게 하는 장공(64R)(64L)이 형성되는데, 이 장공(64R)(64L)에 의해 제1,2 보조바퀴(60R)(60L) 사이의 간격이 바람직하게 조정될 수 있다. 제1,2 보조바퀴(60R)(60L)의 간격 조정은 설계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상기한 장공3 and 6, the driving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feature as the main rotational angle range of the front wheel 30 by the handle portion 20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eg, ± 50 ° toward the center of the front wheel).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wheels 60R and 60L are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board frame 10 corresponding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ard frame 10 so as to be limited to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wheels. Each of 60R) and 60L is coupled to the board frame 10 by the auxiliary wheel support members 62R and 62L and the fixing screws 66R and 66L as shown in FIG. The angular assist wheel support members 62R and 62L are formed with long holes 64R and 64L which allow the support members to be coupled to the board frame 10 by screws 66R and 66L.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wheels 60R and 60L can be preferably adjusted by 64R and 64L. To adjust the spacing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wheels 60R and 60L, the above-mentioned long holes are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design aspects.

(64R)(64L) 이외의 다른 수단, 예를 들어 볼트(나사), 슬라이드부재와 같은 것으로 다양하게 할 수 있지만, 이들은 본 고안의 범주에 포함될 것이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eans other than 64R and 64L, such as bolts and slide members, ma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제1,2 보조바퀴(60R)(60L)는 주행용 보드의 사용시에는 지면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핸들부(20)를 도 3과 같이 접철하여 손잡이(22)를 잡고 운반 이동할 때에는 지면에 접촉되어 회전구동되기 때문에 이동 편의성을 제공한다.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wheels 60R and 60L ar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board is used, and the handle 20 is folded as shown in FIG. It comes in contact with the rotary drive to provide convenience of movement.

또한, 본 고안의 주요한 특징으로서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용 보드가 독립적으로 직립하도록 보드 프레임(10)의 후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탠드(70)가 구비되는데, 이 스탠드(70)는 주행용 보드의 사용중에는 지면과 접촉되지 않게 되고 주행용 보드가 독립적으로 직립할 때는 지면과 접촉되도록 하는 탄성 바이어스 스프링(72)을 포함한다. 즉, 주행용 보드의 사용중에는 탄성 바이어스 스프링(72)의 탄성 바이어스력에 의해 스탠드부재(74)는 지면에 닫지 않는 상태(도 2의 점선으로 도시한 스탠드(70) 참조)가 되고, 독립적으로 직립할 때는 주행용 보드의 자체 무게가 상기 탄성 바이어스력과 상쇄되어 주행용 보드는 바람직하게 직립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as a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2 and 6 is provided with a stand 70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rear end of the board frame 10 so that the traveling board upright independently, this stand ( 70 includes an elastic bias spring 72 that is not in contact with the ground during use of the travel board and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the travel board is standing upright. That is, the stand member 74 does not close to the ground (refer to the stand 70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2) by the elastic biasing force of the elastic bias spring 72 during the use of the traveling board, and independentl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hen standing up, the running board offsets the elastic biasing force so that the traveling board is preferably standing upright.

본 고안의 다른 주요한 특징으로서, 본 고안의 주행용 보드는 앞바퀴(30)의방향각도를 조정하는 핸들부(20)가 운반이동중에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핸들부 회동방지부재(110)가 연결부(50)에 설치되는데, 이 회동방지부재(1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부(20), 바람직하게는 핸들스템(24)에 마련된 회동방지 요홈(112)에 삽입되어 핸들부(20)와 이 핸들부(20)와 연결된 앞바퀴(30)가 주행용 보드의 운반이동중 회동하지 않게 고정한다. 주행용 보드의 사용중에 상기한 회동방지부재(110)는 회동방지 요홈(112)과 결합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As another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unning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handle portion rotation preventing member 110 to prevent the handle portion 20 to adjust the direction angle of the front wheel 30 arbitrarily rotated during the transport movement connection portion Is installed in the 50, the anti-rotation member 110 is inserted into the anti-rotation groove 112 provided in the handle portion 20, preferably the handle stem 24, as shown in Figure 5 handle portion ( 20) and the front wheel 30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20 is fixed so as not to rotate during the transport movement of the traveling boar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anti-rotation member 110 described above will not be combined with the anti-rotation recess 112 during use of the traveling board.

상기한 본 고안의 주요한 특징은 일반적인 주행용 보드와 모터, 엔진과 같은 동력장치가 장착된 동력 주행용 보드 모두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80은 주행용 보드에 창작된 동력장치의 일실시예를 지시하는 것인데, 동력장치(80)와 관련된 기술내용은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나는 기술사상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above-described main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ferably applied to both general driving boards and power driving boards equipped with power devices such as motors and engines. In FIG. 2 and FIG. 3, reference numeral 80 which is not described indicates an embodiment of a power unit created on a driving board, and the technic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wer unit 80 is a technical idea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주행용 보드의 작용 및 동작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2 to 6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riving boar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본 고안의 주행용 보드를 사용할 때, 스탠드부재(74)는 도 2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뒷바퀴(40)가 회전구동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도록 탄성 바이어스 스프링(72)에 의해 지면과 일정간격을 유지한다. 본 고안에 따른 주행용 보드의 스탠드(70)의 작용은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자전거 스탠드를 고려하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주행용 보드를 세워 놓는 경우 상기한 스탠드(70)의 스탠드부재(7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과 접촉되며, 이때 탄성바이어스 부재(72)의 탄발력은 주행용 보드의 자체 무게와 지면과 스탠드부재(74) 사이의 마찰력을 극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면과의 접촉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다.First, when using the driving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nd member 74 is fixed to the ground by the elastic bias spring 72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rear wheel 40 as shown by the dotted line of FIG. Keep the gap. The action of the stand 70 of the driv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in consideration of the bicycle stand that can be easily seen from the periphery. When the driving board is placed upright, the stand member 74 of the stand 7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s shown in FIG. 2, wherei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ias member 72 is equal to the weight of the driving board. Since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ground and the stand member 74 cannot be overcome, the state of contact with the ground is continuously maintained.

또한, 주행용 보드의 핸들부(20)가 도 3과 같이 접히지 않은 상태, 즉 주행용 보드를 사용하는 경우, 제1,2 보조 바퀴(60a)(60b)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과 접촉하지 않고 앞바퀴(30)의 회전범위를 제1,2 보조 바퀴(60a)(60b)의 폭에 해당하는 범위로 제한하기 때문에 앞바퀴(30)가 주행중 과도하게 회전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위험상황을 방지한다. 제1,2 보조 바퀴(60a)(60b)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바퀴(30)의 회전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그 폭 조정이 가능한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바퀴 지지부재(62R)(62L)에 형성된 장공(64R)(64L)에 의해 달성된다. 즉, 보조바퀴(60R)(60L)의 폭을 넓히기 위해서는 각 장공(64R)(64L)의 내부쪽이 고정 스크류(66R)(66L)에 접촉고정되게 하고, 보조바퀴(60R)(60L)의 폭을 좁히기 위해서는 각 장공(64R)(64L)의 외부쪽이 고정 스크류(66R)(66L)에 접촉고정되게 하면 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handle portion 20 of the driving board is not folded as shown in FIG. 3, that is, when the driving board is use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wheels 60a and 60b are grounded as shown in FIG. 2. Since the rotation range of the front wheel 30 is limited to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wheels 60a and 60b without contacting the vehicle, the dangerous situation that may occur due to excessive rotation of the front wheel 30 while driving is limited. prevent. As shown in FIG. 4,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wheels 60a and 60b can be adjusted in width so as to adjust the rotation range of the front wheel 30.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wheel supporting member 62R ( 62L) to achieve the long holes 64R and 64L. That is, in order to widen the width of the auxiliary wheels 60R and 60L, the inner side of each of the long holes 64R and 64L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fixing screw 66R and 66L, and the auxiliary wheels 60R and 60L ar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n order to narrow the width, the outer side of each of the long holes 64R and 64L may be fixed in contact with the fixing screws 66R and 66L.

상기한 제1,2 보조바퀴(60R)(60L)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부(20)가 접힌 상태에서는 지면과 접촉되어 주행용 보드의 운반 이동시 편의성을 제공한다. 즉, 핸들부(20)가 접힌 상태에서 손잡이(22)를 잡아 끌면, 제1,2 보조바퀴As shown in FIG. 3,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wheels 60R and 60L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in the folded state of the handle 20 to provide convenience when carrying the moving board. That is, when the handle 22 is pulled out and the handle 22 is folde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wheels

(60R)(60L)가 지면과 접촉되어 회전구동되기 때문에 주행용 보드를 운반 이동하는 사람은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주행용 보드를 운반 이동시킬 수 있다.Since the 60R and 60L are rotated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person carrying the traveling board can easily carry and move the traveling board with little force.

상기와 같이 제1,2 보조바퀴(60R)(60L)를 이용하여 주행용 보드를 운반 이동할 때 핸들부(20)가 자유롭게 회전되어 불편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핸들부 회동방지 부재(110)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스템(24)에 형성된 회동방지 요홈 (112)에 삽입하면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즉,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주행용 보드의 연결부(50)에 설치된 핸들부 회동방지 부재(110)가 핸들스템(112)에 형성된 회동방지 요홈(112)에 삽입되면, 핸들부 회동방지 부재(110)에 의해 핸들부(20)가 연결부(50)에 결합고정된 상태로 되어 핸들부(20)의 자유회동이 방지된다. 핸들부 회동방지 부재(110)는 주행용 보드의 사용시 회동방지 요홈(112)에 삽입되지 않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handle part 20 may be freely rotated and uncomfortable when carrying the moving board using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wheels 60R and 60L. In this case, the handle part anti-rotation member 110 may be used. As shown in FIG. 5, this can be prevented by inserting the anti-rotation recess 112 formed in the handle stem 24. That is, when the handle part anti-rotation member 110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art 50 of the board for maintaining the fixed state is inserted into the anti-rotation recess 112 formed in the handle stem 112, the handle part anti-rotation member ( The handle part 20 is fixed to the connection part 50 by the 110, thereby preventing free rotation of the handle part 20.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handle portion anti-rotation member 110 will not be inserted into the anti-rotation recess 112 when using the traveling boar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erminologies used herein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the definitions ar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have to be lower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행용 보드는, 주행용 보드의 사용시에는 주행중 회전 각도범위를 안전주행 각도범위로 제한하고 운반 이동시에는 이동 편의성을 제공하는 보조바퀴와 더불어 주행용 보드를 독립적으로 서 있는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스탠드부재를 주행용 보드에 부가 설치함으로써 주행용 보드의 안전성과 편의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the driving board limits the rotation angle range during driving to the safe driving angle range, and independent of the driving board with auxiliary wheels that provide the convenience of movement when carrying. By providing an additional stand member to the traveling board to maintain the standing state to provide an advantage to improve the safety and convenience and functionality of the traveling board.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앞으로의 실시 예들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devis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or changes can be made. Therefore, change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able to escape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신체가 접촉 지지되는 보드 프레임과, 핸들대와 손잡이와 핸들스템(stem)으로 구성되어 방향을 조정하는 핸들부와, 상기 보드 프레임과 핸들부를 접철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핸들부의 핸들대와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앞바퀴 및 상기 보드 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뒷바퀴를 포함하여 된 주행용 보드에 있어서,A board frame to which the body is in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a handle, a handle bar and a handle and a stem, and a handle part for adjusting a direction, a connecting part for foldably connecting the board frame and the handle part, and a handle bar of the handle part; In the running board comprising a front wheel connected to the rotary wheel and the rear wheel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board frame to rotate the movement, 상기 핸들부에 의한 상기 앞바퀴의 회전각도 범위가 소정각도 범위 이내로 제한되도록 상기 보드 프레임의 앞단에 이 보드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1,2 보조바퀴를 포함하고,And first and second auxiliary wheels installed corresponding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ard frame at the front end of the board frame such that the rotation angle range of the front wheel by the handle part is limi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상기 제1,2 보조바퀴는 상기 주행용 보드의 사용시에는 지면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핸들부를 접철하여 손잡이를 잡고 운반 이동할 때에는 지면에 접촉되어 회전구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용 보드.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wheels ar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when the driving board is u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용 보드는 상기 제1,2 보조바퀴 사이의 간격을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보조바퀴 간격조정 수단을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용 보드.The traveling boar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veling board further comprises auxiliary wheel spacing means for arbitrarily adjusting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whee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의 방향각도를 조정하는 상기 핸들부가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핸들부 회동방지 수단이 상기 연결부와 상기 핸들부에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용 보드.2. The traveling boar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andle part anti-rotation means for preventing the handle part arbitrarily rotating to adjust the direction angle of the front wheel is provided in the connection part and the handle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용 보드는 상기 주행용 보드가 독립적으로 직립하도록 상기 보드 프레임의 후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탠드부재를 더 포함하고,According to claim 1, The traveling board further comprises a stand memb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rear end of the board frame so that the traveling board upright, 상기 스탠드부재는 상기 주행용 보드의 사용중에는 지면과 접촉되지 않게 되고 상기 주행용 보드가 독립적으로 직립할 때는 지면과 접촉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용 보드.The stand member is not in contact with the ground during the use of the board for driving, the board for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board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standing upright.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용 보드는 모터, 엔진과 같은 동력장치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용 보드.The traveling boar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traveling board is equipped with a power device such as a motor and an engine.
KR2020010002761U 2001-02-06 2001-02-06 Kick board KR20023135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761U KR200231350Y1 (en) 2001-02-06 2001-02-06 Kick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761U KR200231350Y1 (en) 2001-02-06 2001-02-06 Kick boar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687A Division KR100424778B1 (en) 2001-02-06 2001-02-06 Kick bo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350Y1 true KR200231350Y1 (en) 2001-07-19

Family

ID=73095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761U KR200231350Y1 (en) 2001-02-06 2001-02-06 Kick 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350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562A (en) * 2001-08-08 2003-02-15 김종선 Portable mini scoo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562A (en) * 2001-08-08 2003-02-15 김종선 Portable mini scoo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4251A (en) Power driven vehicle
EP3024715B1 (en) Folding scooter
CN106672134A (en) A scooter
JP2002325878A (en) Tricycle skater
US5479998A (en) Electronic powered motor vehicle
AU2022201474B2 (en) Scooter
WO2009048288A2 (en) Two-wheel moving device and autocycle having that
KR100424778B1 (en) Kick board
KR200231350Y1 (en) Kick board
KR101440825B1 (en) Private use golf cart which is able to a riding
KR200494040Y1 (en) Folding treadmill with vehicle
KR101729620B1 (en) A motor-driven board
TW558548B (en) Working vehicle with transverse moving system
GB2287228A (en) Collapsible motorised golf trolley with foldable drive shafts
JP2006205929A (en) Walking driving type small vehicle
KR101440827B1 (en) Private use golf cart which is able to a boarding
KR20180134643A (en) Driving mode changeable small mobility
JP7399056B2 (en) vehicle
KR101560500B1 (en) Electrically-run golf cart with folderable bord and driving method by the same
KR200436310Y1 (en) 3 wheels electricity scooter that fold by trunk shape
KR102401116B1 (en) Driving wheel
KR100732365B1 (en) a sub steering-wheel
JP3657464B2 (en) caster
KR20200040412A (en) Folding Structure for Means of Transportation
KR102463433B1 (en) Folding Electric Kick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