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343Y1 - 수압점검장치 - Google Patents

수압점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343Y1
KR200231343Y1 KR2020010002210U KR20010002210U KR200231343Y1 KR 200231343 Y1 KR200231343 Y1 KR 200231343Y1 KR 2020010002210 U KR2020010002210 U KR 2020010002210U KR 20010002210 U KR20010002210 U KR 20010002210U KR 200231343 Y1 KR200231343 Y1 KR 2002313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ressure
head
valv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근
Original Assignee
(주) 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 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10002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3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343Y1/ko

Links

Landscapes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의 각동 세대배관 및 입상관의 수압점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압시험헤드를 통해 한 곳에서 한 사람이 누수 유무를 수시로 점검함으로써, 관리상의 편리성과 하자부위의 조속한 발견 및 대처를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제 1실시예의 경우, 용수 유입관에서 시작해서 제일 먼저 수압기(11)가 구비되고, 단면적 15A의 유도관(13)에 용수 유입 개폐밸브(12)를 장착, 50A의 단면적을 갖고 누수방지를 위해 캡(22)에 의해 양단부 밀폐된 채, 하단 일편에 드레인밸브(23)를 구비한 헤드하부몸체(14) 하단 중앙으로 상기 유도관(13)을 쭉 연결하되, 각 연결부에 연결소켓(24)을 체결하였다. 헤드상부몸체(16)는 상기 하부몸체(14)와 마찬가지로, 50A의 단면적을 갖고, 양단부가 캡(22)에 의해 밀폐된 상태이며, 상부면 일편에는 관내 유로상의 부압부에서 발생되는 에어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에어밸브(19)가 구비되어 있고, 3개의 동에 용수를 공급하는 입상관 연결라인(20)을 통해 각동별 입상관이 연결되는데, 여기에는 헤드상부몸체(16)의 상단부에는 각 라인별로 개폐조절이 가능한 볼밸브(17)와 체크밸브(18) 및 관내 압력을 체크 할 수 있는 압력게이지(2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헤드상,하부몸체(14,16)는 20A의 단면적을 갖는 연결관(15)에 의해 서로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각 라인의 수압을 한자리에서 동시에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관의 수압이 떨어진 경우에는 해당 배관의 이상유무의 신속한 점검과 보수를 행하게 함으로써, 효율적 관리를 통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배관의 어느 위치에 하자가 발생할 경우 그 부위의 조속한 발견과 신속한 대처능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각 라인별로 수압점검장치를 설치하던 종래기술에 비하여 각 라인이 연결된 수압점검용 헤드에다 수압기 및 에어밸브를 하나씩만 설치하고도 수압관리가 용이하도록 하여 장치설치비와 인건비 절감을 통해 경제성을 극대화하였다. 뿐만 아니라, 수압점검용 헤드상부몸체에 연결된 각 동별 밸브와 압력게이지를 수시점검하여 지속적인 수압변화를 측정하고 기록하여 각 동별 수량공급 현황을 체크함으로써, 이상이 있을 경우 그 원인을 찾아서 해결하는 과정이 단축됨과 동시에 배관의 전체적인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Description

수압점검장치{apparatus for checking and examining water pressure}
본 고안은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각동 세대배관 및 입상관의 수압점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압점검용헤드를 설치하고, 이에 각동별 입상관 연결라인을 모두 연결하여 한 곳에서 한 사람의 관리자가 누수유무를 수시로 점검함으로써, 관리능률 향상과 하자부위의 조속한 발견 및 대처를 위한 것이다.
각 가정으로 수돗물 등의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통상 수원지에서 보내진 물은 정수장에서 정수되고, 가압하여 각 가정으로 공급되며,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공급된 물이 건물 옥상의 급수탱크를 통해 각 가정으로 보내진다.
그러나 물은 공급받는 위치와 수압 차이에 의해 어떤 집의 수압은 너무 세고, 또 다른 집은 수압이 너무 약하여 물을 제대로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 원인으로는 지대가 높아 수압이 약하거나, 누수에 의해 수압이 낮아져 그러한 경우도 있으며, 용수를 공급하는 관로상의 관단면 변화와 굴곡부 등의 영향으로 관내에는 부압부가 발생되고, 그 곳에서 발생되는 에어(공기)는 모여서 높은 압력의 에어볼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에어볼은 가끔 관내의 원활한 수량공급을 저해하기도 한다. 만일 이러한 경우 등을 무시하고 급수량을 높이기 위해 높은 압력을 가하게 되면 취약부 등에서는 쉽게 용수관이 파열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므로, 급수 및 출수불량의 경우에는 반드시 그 원인을 규명한 후 대처를 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주간의 경우 물의 사용량이 많으므로 수압은 약 1.5kg/cm2정도이고, 야간에는 용수 사용이 적으므로 약 4kg/cm2가 정상적이므로, 관리인은 항상 수도관내의 압력점검과 이상유무를 수시로 점검하여야 한다.
특히, 아파트와 같이 세대수가 많은 고층건물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수압점검을 보다 정확히 하여 각 세대별로 공급되는 수량을 잘 조절하고 물의 흐름이 원활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종래에 사용되어 왔던 수압점검 방법은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각 동별로 배관된 입상관(4) 마다 수압기(1)와 압력게이지 등을 설치하고, 필요시 관리인이 각 동별 지하실내에 설치된 상기 수압점검장치를 통하여 수압의 이상유무를 점검하였다.
즉, 각 동별로 각 가정에 용수 공급을 위한 단위 세대별 밸브(5) 및 누수방지를 위해 양단부가 캡(8)으로 밀폐된 하나의 입상관(4)을 구비하되, 입상관(4) 하부에는 용수를 유입시키는 개폐밸브(2)와 압력게이지(7) 및 수압기(1)를 연결하는 유도관(13)과, 그 상부에 공기방출밸브(6) 및 또 하나의 압력게이지(7)를 구비한 배관을 구성하여, 관리인이 각 동별로 직접 가서 일일이 그 동의 수압을 체크하는 과정을 거쳐 수압점검을 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종래의 수압점검장치는 각 동별로 입상관(4)에 수압기(1)와 에어밸브(6), 두 개의 압력게이지(7)를 각각 구비하여야 함은 물론, 관리인이 각 동마다 일일이 가서 수압을 체크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울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인건비 및 자재비가 낭비되며, 또한, 배관시설에 하자가 있다거나 타공정에서의 실수에 의한 파이프 손상으로 인한 누수, 이물질 유입이나 기포층에 의한 누수 등의 유무를 확인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여 문제를 해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아파트 배관시설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 동별로 배관되는 입상관 모두를 하나의 수압점검용 헤드와 연결되도록 설치하여, 한 장소에서 한 사람의 관리인에 의해 아파트 등 공동주택 전체의 누수유무를 일목요연하게 수시점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 관리를 통한 작업능률향상과 하자부위의 조속한 발견 및 신속한 대처능력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압점검장치에 사용되는 각종자재, 즉 수압점검용 헤드와 에어밸브, 수압기 등의 수를 대폭 절감함으로써, 초기건설시의 각종 장치설치비와 장기적인 관리상의 인건비 절감을 통해 경제성을 높이고, 장시간 사용에 의한 마모나 하자발생으로 각 장치를 바꾸어 주어야 할 경우에도 그 교체가 용이하며, 누수여부의 조기발견으로 불균일한 수량공급 문제를 해소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수압점검용 헤드상부몸체에 연결된 각 동별 밸브와 압력게이지를 수시점검하여 각 동별 수량공급 현황을 체크함으로써, 이상이 있을 경우 그 원인을 찾아서 해결하는 과정이 단축됨과 동시에 배관의 전체적인 안정성 향상을 그목적으로 한다.
게다가, 사용 수량의 변화에 따라 각종 배관 등의 자재를 교체할 경우에도적절한 관단면을 가진 수압점검용 헤드몸체 및 연결관만 교체한 후, 각동 입상관을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배관 교체의 편리성과 배관의 추가연결이 편리하도록 하였다.
도1은 종래 수압점검장치의 사용상태도
도2는 종래고안 회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
도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수압기 2,12 : 개폐밸브
3,13 : 유도관 4 : 동별 입상관
5 : 단위세대 밸브 6,19 : 에어밸브
7,21 : 압력게이지 8,22 : 캡
14 : 헤드 하부몸체 15 : 연결관
16 : 헤드 상부몸체 17 : 볼밸브
18 : 체크밸브 20 : 입상관 연결라인
23 : 드레인밸브 24 : 연결소켓
본 고안은 아파트의 용수 배관 시설에 있어서, 수압점검용 헤드를 설치하여 각 동별 입상관을 모두 헤드몸체에 연결하고 하나의 수압기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한 곳에서 한 사람에 의해 누수유무를 수시점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3개 동의 입상관 연결라인을 갖는 수압점검용장치의 사용도이다. 용수관이 유입되는 곳에 먼저 수압기(11)를 구비하고, 이에 연결된 15A의 단면적을 갖는 유도관(13)에 용수를 유입시키는 개폐밸브(12)를 장착하고, 그 상부로 다시 유도관(13)을 지나 헤드하부몸체(14) 중앙으로 연결된다. 상기 헤드하부몸체(14)는 50A의 단면적을 갖는 관으로, 왼편 하단에는 드레인 밸브(23)가 구비되어 있고, 양단부는 캡(22)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헤드하부몸체(14)는 상부 양측으로 단면적 20A의 두 개의 연결관(15)에 의해 헤드상부몸체(16)와 연결되며, 상부몸체(16) 역시 단면적이 50A인 관으로 양단부는 캡(22)으로 밀폐되어 있고, 그 상부 맨 왼편에 에어밸브(1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동별 입상관으로 이어지는 연결라인(20)이 구비되어 있는데, 각 라인(20)에는 볼밸브(17)와 체크밸브(18)가 장착되고, 15A의 단면적으로 엑셀 또는 P.B 파이프관이 이어져 각각의 압력게이지(21)를 구비한 채, 각동별 입상관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헤드상,하부몸체(16,14)와 이를 연결하는 두 개의 연결관(15), 수압기(11)와 유도관(12), 헤드하부몸체(14) 각각의 연결부, 각동 입상관 연결라인(20)과 헤드상부몸체(16)의 연결부, 적정위치에 장착된 각 밸브류(17,18,19)의 연결부에는 별도의 연결소켓(24)을 구비하여 단순조립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였다.
다시말해, 용수관이 유입되는 관에서 시작해서 제일 먼저 수압기(11)가 구비되고, 단면적 15A의 유도관(13)의 중간에 용수 유입 개폐밸브(12)를 장착, 50A의 단면적을 갖고 누수방지를 위해 캡(22)에 의해 양단부가 밀폐된 채, 하단 일편에 드레인밸브(23)를 구비한 헤드하부몸체(14) 하단 중앙으로 상기 유도관(13)을 쭉 연결하되, 각 연결부에 연결소켓(24)을 체결하였다. 헤드상부몸체(16)는 상기 하부몸체(14)와 마찬가지로, 50A의 단면적을 갖고, 양단부가 캡(22)에 의해 밀폐된 상태이며, 상부면 일편에 공기에 의한 누수를 예방하기 위해 에어밸브(19)가 구비되어 있고, 3개의 동에 용수를 공급하는 입상관 연결라인(20)을 통해 각동별 입상관이 연결되는데, 여기에는 헤드상부몸체(16)의 상단부로 개폐조절이 가능한 볼밸브(17)와 체크밸브(18), 15A의 단면적을 갖는 입상관을 순차 연결하여 구성되며, 각 라인별로 압력게이지(2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헤드상,하부몸체(14,16)는 20A의 단면적을 갖는 연결관(1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4에서와 같이 4개의 동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헤드상부몸체(16) 상단에 각동 입상관 연결라인(20)이 하나 더 추가된다는 것 외에는 상기 3개의 동을 갖는 제 1실시예와 그 구성이 동일하며, 이와 같은 구성은 도5 및 도6에 도시된 회로도를 비교하여 보면 보다 간단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한 작용을 살펴보면, 하나의 수압기(11)를 통해 연결된 헤드상,하부몸체(14,16)를 거쳐 각 동별 입상관 연결라인(20)으로 용수를 배분함에 있어, 정상적으로 공급되던 용수의 수압이 떨어졌을 경우에는, 헤드상부몸체(16) 일편 상단에 구비된 에어밸브(19)를 개방시켜, 소량의 공기라도 방출시킨 후 잠근 다음, 각 라인(20)의 압력게이지(21)를 확인하여 수압을 점검한다. 수압이 떨어진 이유가 관내의 에어 때문이면 수압은 다시 상승하게 되고, 그 이유가 아닐 경우에는 수압이 계속 떨어진 상태로 있게 되므로 배관의 어느 위치에서 누수가 일어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이 때에는 수압이 떨어진 입상관의 볼밸브를 신속히 잠그고, 누수탐지기 등을 이용하여 탐지된 누수부분을 찾아 그 부분의 관을 교체하거나 누수된 부분을 보수하면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각 동별 지하실에 설치된 입상관에 사람이 직접 가서 점검해야 할 번거로움없이 한 곳에서 수압의 수시점검과 지속적인 수압변화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하게 된다.
하나의 수압기에 연결되는 수압점검용 헤드를 설치하고 각 동별 입상관을 헤드상부몸체에 모두 연결하여 한 곳에서 한 사람의 관리인에 의해 누수유무를 수시점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 관리를 통해 관리능률을 향상시키고, 배관의 어느 위치에 하자가 발생할 경우 그 부위의 조속한 발견과 신속한 대처능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수압점검장치에 사용되는 각종자재, 즉 수압점검용 헤드와 에어밸브, 수압기 등의 수를 대폭 절감함으로써, 초기 건설시의 각종 장치설치비와 장기적인 관리상의 인건비 절감을 통해 경제성을 높이고, 장시간 사용에 의한 마모나 하자발생으로 각 장치를 바꾸어 주어야 할 경우에도 그 교체가 용이하고, 누수여부의 조기발견으로 불균일한 수량공급 문제를 해결하였다.
뿐만 아니라, 수압점검용 헤드상부몸체에 연결된 각 동별 밸브와 압력게이지를 수시점검을 통해 지속적인 수압변화를 측정하고 기록하여 각 동별 수량공급 현황을 체크함으로써, 이상이 있을 경우 그 원인을 찾아서 해결하는 과정이 단축됨과 동시에 배관의 전체적인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또, 사용수량의 변화에 따라 각종 배관 등의 자재를 교체할 경우에도 적절한 관단면을 가진 수압시험용 헤드몸체 및 연결관만 교체한 후, 각동 입상관을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배관 교체의 편리성과 배관의 추가연결이 편리하도록 하였다.

Claims (1)

  1. 상부로는 압력게이지(21)와 체크밸브(18) 및 볼밸브(17)를 구비한 각 동별 입상관 연결라인(20)이 연결되고, 일측에는 에어밸브(19)가 구비된 헤드상부몸체 (16)와, 하측으로는 유입된 용수의 압력을 높이는 수압기(11)와 개폐밸브(12)가 장착된 유도관(13)이 연결되며, 일측에 드레인밸브(23)가 구비된 헤드하부몸체(14)를 두개의 연결관(15)으로 연결하여 용수관내의 누수유무, 하자부위의 조속한 발견과 이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점검장치.
KR2020010002210U 2001-01-31 2001-01-31 수압점검장치 KR2002313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210U KR200231343Y1 (ko) 2001-01-31 2001-01-31 수압점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210U KR200231343Y1 (ko) 2001-01-31 2001-01-31 수압점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343Y1 true KR200231343Y1 (ko) 2001-07-19

Family

ID=73095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210U KR200231343Y1 (ko) 2001-01-31 2001-01-31 수압점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3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44563A (en) Safety oil tank
CN105934551A (zh) 用于从管清除流体的工具
KR200231343Y1 (ko) 수압점검장치
JP7431544B2 (ja) ブレーカボックスアセンブリ
CN110702323A (zh) 一种液体管路常闭式阀门密封性监测装置
KR101045111B1 (ko) 수계전환용 관세척점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 관로 교체 시공방법
JP2001311544A (ja) 空調機用ドレン排出手段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CN201156183Y (zh) 一种全自动漏水报警保护装置
CN110470432B (zh) 凝汽器及凝汽器的检修查漏方法
CN115811862A (zh) 数据中心空调冷冻水集中分配模块
CN109631149B (zh) 一种长距离热力管道用监控系统
FI84743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att foerhindra av laeckage i roerledning foeranledda vattenskador i byggnader.
CN206339005U (zh) 一种冷却水循环再利用系统
CN216779638U (zh) 一种快速冲洗液位计的装置
KR102142964B1 (ko) 공동주택의 세대별 난방방식 교체를 위한 시공방법
CN215374398U (zh) 一种管网漏损智能识别装置
JP2527564Y2 (ja) 屋内水道配管設備
CN211061124U (zh) 一种液体管路常闭式阀门密封性监测装置
CN216345434U (zh) 一种强度高的伴热蒸汽输水系统
CN219036321U (zh) 一种基于电极探头的管道漏液检测装置
CN218625902U (zh) 一种消防水管路检修排水及打压试验接口装置
US11530960B1 (en) Method of testing for leaks in the piping system of a building
CN220910820U (zh) 一种集成式自动排气装置
CN219798623U (zh) 一种初冷器冷却水管查漏系统
CN220508359U (zh) 家居安防系统使用的跑漏水自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