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239Y1 - 담배 - Google Patents

담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239Y1
KR200231239Y1 KR2020010003361U KR20010003361U KR200231239Y1 KR 200231239 Y1 KR200231239 Y1 KR 200231239Y1 KR 2020010003361 U KR2020010003361 U KR 2020010003361U KR 20010003361 U KR20010003361 U KR 20010003361U KR 200231239 Y1 KR200231239 Y1 KR 2002312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smoking
state
block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방
Original Assignee
이건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방 filed Critical 이건방
Priority to KR2020010003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2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2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239Y1/ko

Links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담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연초가 채워진 연소부와 그 연소부와 일체로 형성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담배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와 근접하는 상기 연소부의 일 측에는 연소된 담배의 비 흡연 시에 발생되는 연기가 수직 방향으로 상승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담배를 연소시킨 상태에서 비 흡연 시에 발생되는 연기가 흡연자의 손가락 측으로 상승되는 것을 차단시킴으로써 흡연자의 손가락 부위가 누렇게 되거나 담배냄새가 배이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담배{Cigarettes}
본 고안은 담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담배를 연소시킨 상태에서 비 흡연 시에 발생되는 연기가 흡연자의 손가락 측으로 상승되는 것을 차단시킴으로써 흡연자의 손가락 부위가 누렇게 되거나 담배냄새가 배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담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담배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담배는 내부에 연초가 채워진 상태의 연소부(10)와 그 연소부(10)와 일체로 형성된 필터부(20)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담배는 연소시킨 상태에서 흡연자가 흡입할 때뿐만 아니라 그냥 연소시킨 상태에서 흡입하지 않아도 자연적으로 연소되며 연기가 발생된다.
특히, 예를 들어 흡연자가 담배를 연소시킨 상태에서 비 흡연 시에 연소되며 발생되는 연기는 흡연 후 내뿜는 연기보다 주위사람에게 더 간접적인 피해를 주게 됨은 물론이고, 더욱이 상기와 같이 비 흡연 시에도 연기가 발생됨에도 불구하고 흡연자가 담배를 거의 수직에 가까울 정도로 손가락에 끼운 상태에서 비 흡연 시에 발생되는 연기는 흡연자의 손가락 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요인에 의해 손가락 측으로 상승하게 되는 비 흡연 시 발생되는 연기는 담배가치를 끼우고 있는 흡연자의 손가락을 누렇게 물들이고 있는 주된 요인이 되고 특히 손가락에서 담배냄새가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흡연자가 담배를 끌 때에도 거의 담배가치를 수직에 가까울 정도로 세운 상태에서 비벼 끄게 되므로 이때에 발생되는 연기 역시 사용자의 손가락 측으로 상승하게 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에 담뱃재가 묻게 되는 요인으로 된다.
또 흡연자가 담뱃재를 도 1b와 같이 숙인 상태에서 털 때에도 숙여진 담배를 따라 담배연기가 상승되며 손가락에 쏘이게 되며 손가락에 담배냄새가 베이게 하는 주된 요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예는 특히 흡연자가 흡연 후 손가락 부분을 입으로 '후' '후'하고 불면서 손가락 부분에 묻은 담뱃재를 떨어내는 예를 흔히 보아 알 수 있다.
또한 흡연자의 흡연습관 정도에 따라 담배를 필터부(20) 근처까지 흡연하는 흡연자가 있는데 이와 같이 필터부(20) 근처까지 흡연하면 할수록 흡연자의 건강을 손상시키는 것은 주지된 사실임에도 담배에 대해 예를 들어 적정 흡연 량 범위 등을 표시한 어떤 예도 제안되지 않고 있다.
물론, 가장 바람직하게는 금연을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약한 의지력과 흡연을 기호품으로 즐기는 흡연자 등 금연을 쉽게 할 수 없는 사람들과 특히 여성흡연자들에게는 상기한 문제점은 더욱 가중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담배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담배를 연소시킨 상태에서 비 흡연 시에 발생되는 연기가 흡연자의 손가락 측으로 상승되는 것을 차단시킴으로써 흡연자의 손가락 부위가 누렇게 되거나 담배냄새가 배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담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흡연자에게 담배 가치에 대해 그 담배 가치의 흡연 길이를 간접적으로 제한함으로써 흡연 량을 줄이는 계기를 부여토록 한 담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흡연자가 흡연을 한 후 담배를 끌 때 담뱃재가 손가락 끝 부분에 묻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담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의 a는 종래 담배의 비 흡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의 b는 종래 담배를 비벼 끄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의 c는 종래 담뱃재를 터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차단부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단부가 담배에 대해 접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단부가 담배에 대해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담배의 비 흡연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담배를 비벼 끄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연소부 20;필터부
30;차단부 31;지지부재
32;차단부재 33;주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연초가 채워진 연소부와 그 연소부와 일체로 형성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담배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와 근접하는 상기 연소부의 일 측에는 연소된 담배의 비 흡연 시에 발생되는 연기가 수직 방향으로 상승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부는 피 고정체인 상기 담배의 연소부에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담배의 연소부 동심에서 원주 방향으로 펼쳐지는 차단 부재가 일체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담배의 연소부에 대해 억지로 끼워져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담배의 연소부에 대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부재는 동심 방향에서 등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반복하여 주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담배에서 적용되는 차단부를 펼친 상태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내지 도 4에는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차단부가 접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내지 도 6에는 본 고안에 따른 차단부가 담배에 적용된 상태에서 사용하는 상태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내부에 연초가 채워진 연소부(10)와 그 연소부(10)와 일체로 형성된 필터부(20)를 구비하는 담배에 적용된다.
다만, 본 고안에서의 특징부는 상기 필터부(20)와 근접하는 상기 연소부(10)의 일 측에는 연소된 담배의 비 흡연 시에 발생되는 연기가 수직 방향으로 상승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30)가 구비된다는 점이다.
상기 차단부(30)는 피 고정체인 상기 담배의 연소부(10)에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부재(3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31)에는 담배의 연소부(10) 동심에서 원주 방향으로 펼쳐지는 차단 부재(32)가 일체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차단부(30)는 담배 연소부(10)의 외형을 형성하는 두께 정도로 얇은 종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환경에 오염되지 않고 산화되는 얇은 비닐지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31)는 상기 담배의 연소부(10)에 대해 억지로 끼워져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담배의 연소부(10)에 대해 접착제 등의 부착수단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부재(32)는 동심 방향에서 등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반복하여 주름(3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주름(33)이 형성되면 후술하는 접혀진 상태에서 보관 및 포장이 용이하고 사용할 때에는 펼쳐서 사용하기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단부(30)는 처음 제작된 상태에서는 도 2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이 상태는 다수 매의 차단부(30) 모재가 적층된 상태에서 프레스의 절단작업에 의해 차단부(30)의 형상이 완료되고 이와 같이 완성된 차단부(30)는 도면표현을 생략한 자동화 기계 및 수작업에 의해 각각의 담배에 설치된다.
물론, 담배는 도면표현을 생략한 권포기와 필터칩부착기에 의해 담배가 완성된 상태이고, 포장은 되기 전 상태에서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단부(30)가 담배에 설치되는 이하의 공정은 본 고안의 특징부와는 다소 관계가 없으므로,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차단부(30)가 담배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동작 및 작용에 대해서만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단부가 적용된 담배의 최초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즉, 이 상태는 자동화 공정 및 수작업 공정에 의해 담배에 차단부(30)가 일체로 설치된 상태에서 차단부재(32)에 형성된 주름(33)의 형상 방향대로 접혀진 상태가 된다.
또 상기와 같이 주름(33)의 형상대로 접혀진 상태에서 가장 상측에 배치되는 주름(33)의 끝단부는 그 하방에 배치된 다른 주름(33)의 맞닿는 측과 접촉되어 부착된 상태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주름(33)의 끝단부가 다른 주름에 대해 부착되려면 별도의 접착제에 의해 부착될 것이다.
물론, 본 고안에 따른 차단부(30)의 재질 특성상 별도의 접착수단을 요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름(33)의 접혀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도 있고, 그와 같은 상태에서 포장되어 출하된다.
상기와 같이 차단부가 적용된 본 고안을 사용하려면 먼저 차단부재(32)의 끝단 부를 잡은 상태에서 접혀진 방향의 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차단부재(32)를 도 4와 같이 펼치고, 종래와 동일하게 담배를 연소시켜 흡연을 하게 된다.
물론, 담배를 지지하는 손가락의 위치는 지지부재(31)를 기준으로 필터부(20)측일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흡연을 한 후 대화 및 흡연을 잠시 중단하여 담배를 수직에 가까울 정도로 세운 상태가 되더라도 도 5와 같이 펼쳐진 차단부재(32)에 의해 미 흡연 시 발생되는 연기가 흡연자의 손가락 측으로 상승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미 흡연 중에 연소되는 담배로부터 상승하는 연기가 흡연자의 손가락을 누렇게 물들이지 않게 된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 담배를 피운 후 담배의 연소부위가 지지부재(31) 측까지 도달하게 되면 흡연자는 흡연을 중지한다.
따라서, 차단부(30)가 설치된 부분, 즉 담배에 대해 설치된 지지부재(31)측 까지만 흡연을 하도록 함으로써 흡연 량을 간접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흡연을 완료한 후 담배의 필터부(20)를 잡은 상태에서 담배를 비벼 끌 때에도 도 6과 같이 담배를 끄는 과정 중에 상승되는 연기가 흡연자의 손가락 측으로 상승되는 것을 차단함은 물론, 펼쳐진 차단부(30)에 의해 담뱃재가 흡연자의 손가락에 묻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담배에 의하면, 담배를 연소시킨 상태에서 비 흡연 시에 발생되는 연기가 흡연자의 손가락 측으로 상승되는 것을 차단시킴으로써 흡연자의 손가락 부위가 누렇게 되거나 담배냄새가 배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또 본 고안은, 흡연자에게 담배 가치에 대해 그 담배 가치의 흡연 길이를 간접적으로 제한함으로써 흡연 량을 줄이는 계기를 부여토록 하는 특징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흡연자가 흡연을 한 후 담배를 끌 때 담뱃재가 손가락 끝 부분에 묻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징도 있다.
지금까지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한정하여 도시하고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와 같은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명백하다.

Claims (5)

  1. 내부에 연초가 채워진 연소부와 그 연소부와 일체로 형성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담배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와 근접하는 상기 연소부의 일 측에는 연소된 담배의 비 흡연 시에 발생되는 연기가 수직 방향으로 상승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피 고정체인 상기 담배의 연소부에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담배의 연소부 동심에서 원주 방향으로 펼쳐지는 차단 부재가 일체로 연장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담배의 연소부에 대해 억지로 끼워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담배의 연소부에 대해 부착된 것을 포함하는 담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동심 방향에서 등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반복하여 주름이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담배.
KR2020010003361U 2001-02-12 2001-02-12 담배 KR2002312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361U KR200231239Y1 (ko) 2001-02-12 2001-02-12 담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361U KR200231239Y1 (ko) 2001-02-12 2001-02-12 담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239Y1 true KR200231239Y1 (ko) 2001-07-04

Family

ID=73062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361U KR200231239Y1 (ko) 2001-02-12 2001-02-12 담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2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2420A (en) Cigarette-attached extinguishing device
US20220015415A1 (en) Smoking article with improved extinguishment
US5799781A (en) Cigarette package with ashtray
US3916916A (en) Shield for cigarettes and cigars
KR102392892B1 (ko) 절취 탭이 구비된 제거 가능한 티핑 래퍼부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JP3594613B2 (ja) 自由燃焼速度を制御し、シガレットなどから出る側流煙を減少させるデバイス
US10602771B2 (en) Smoking article assembly with a fitted tube
KR200231239Y1 (ko) 담배
US3064799A (en) Combined tobacco article package and ash disposal unit
AU639239B2 (en) Cigarette with decreased sidestream smoke
JP6837981B2 (ja) 喫煙物品のための管
KR100816322B1 (ko) 담배 팩
US1817546A (en) Cigarette
GB2025753A (en) Cigarette Extinguisher
US2536900A (en) Snuffer
KR960003545Y1 (ko) 일회용 재떨이
JP3010540U (ja) 吸殻入付タバコ包装箱
KR101179619B1 (ko) 휴대용 담배꽁초 홀더
KR200321542Y1 (ko) 천공으로 마감된 담배
US2095469A (en) Match book
WO2003073877A1 (en) Device for cigarette
JPH02238874A (ja) 紙巻タバコ
KR900002722Y1 (ko) 재떨이가 부설된 휴대용 담배갑
JP2001112458A (ja) 紙巻タバコ代用品
JPS5921675Y2 (ja) 煙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