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237Y1 - 침대용 나무매트 - Google Patents

침대용 나무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237Y1
KR200231237Y1 KR2020010003344U KR20010003344U KR200231237Y1 KR 200231237 Y1 KR200231237 Y1 KR 200231237Y1 KR 2020010003344 U KR2020010003344 U KR 2020010003344U KR 20010003344 U KR20010003344 U KR 20010003344U KR 200231237 Y1 KR200231237 Y1 KR 2002312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unit
edge
pieces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만호
Original Assignee
박만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만호 filed Critical 박만호
Priority to KR2020010003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2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237Y1/ko

Link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대용 나무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부에 다수의 단위편을 배열하고 연결끈으로 연결시켜 나무매트를 구성하되, 단위편과 단위편 사이에 일자형 또는 십자형 간격유지편을 배치하고, 가장자리부에 연결끈의 매듭부를 수용하는 장홈부를 구비한 가장자리편과 마감테두리편을 구비함으로써, 견고하고 통풍효과가 뛰어난 침대용 나무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목재나 대나무를 재질로 일정한 크기와 두께를 갖는 각 단위편과 가장자리편에 있어서, 상,하면 모서리부에 45°의 경사부를 형성하고 양면에 옥 또는 세라믹 분말이 함유된 UV 및 우레탄 코팅처리를 하였으며, 네 측면에는 횡방향통공 및 종방향통공을 각각 두 개씩 구비하였다. 특히, 가장자리편의 외측면 중앙에 상기 통공 위치를 포함해 일자로 긴 장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P.E, P.S 또는 P.V.C 등을 재질로 하여 단위편 및 가장자리편의 종방향통공과 일치하는 통공이 형성되어진 일자형간격유지편을 기본형으로, 양측 또는 일편에 날개편을 형성한 십자형간격유지편 또는 마감테두리편을 제작하여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의 각 단위편과 가장자리편은 통공에 나일론과 같은 합성섬유사로 된 연결끈을 끼워 서로 연결되고, 연결끈의 매듭부가 상기 가장자리 단위편에 형성된 장홈부상에 수용된 상태로 결합되어 전체 나무매트의 형태를 구성하며, 각 열과 열 사이에 횡방향으로 일자형 또는 십자형간격유지편 및 최외측 양단에 마감테두리편을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목재 단위편과 가장자리편, 간격유지편에 구비된 종,횡방향 통공을 통해 연결끈으로 연결함으로써 단위편들 사이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며, 가장자리편 측면의 장홈부에 연결끈의 매듭부를 수용하여 연결끈이 돌출되지 않게 한다. 일자형과 십자형의 간격유지편 및 마감테두리편은 단위편들이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보호하고, 단위편들 사이에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각 단위편들 사이의 공간부는 통풍이 원활하도록 한다. 그로 인해, 나무매트를 침대 위에 깔고 사용할 경우, 시원하고 땀이 차지 않으며, 사용자가 누워서 움직일 때 생기는 유동에도 굴곡이 생기지 않아 단위편 사이에 의류,침구 및 신체일부가 끼움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단위편과 가장자리편 표면에 옥 또는 세라믹 분말이 함유된 UV 및 우레탄 코팅처리를 하여 양면 모두 사용가능함과 동시에, 색상유지를 비롯해 표면 오염방지와 내수성, 내화학성, 내한성, 내열성 및 내구력이 우수한 제품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종방향으로 테두리 등을 구비하지 않아 매트를 말아서 보관하기가 용이하다.

Description

침대용 나무매트{a wood mat for a bed}
본 고안은 침대용 나무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 거실이나 방에 깔고 앉도록 하여 여름철에 시원함을 제공하던 나무매트를 침대 매트리스 상에 깔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침대를 사용하는 소비자에게도 시원함과 통풍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무매트라 함은 목재나 대나무를 재질로 제작되어 여름철 시원함을 강조하기 위해 거실이나 방에 깔고 앉도록 되어 있는 돗자리를 말하는데, 예를 들어 여름철용으로는 보편적으로 대나무를 가늘고 길게 절단시켜 이들을 서로 엮어주거나, 대나무 또는 목재를 일정한 크기의 직사각 모양으로 만들어 이들을 서로 연결끈을 사용하여 연결시켜 만들어진 매트로서, 대나무나 목재들 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공기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땀이 차지 않고 시원함을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에는 후자와 같은 형태의 나무매트를 침대시트 위에 깔아 침대용으로도 사용하여 왔으며, 이러한 나무매트(1)의 통상적인 구성이 도1에 나타나 있는데, 목재 또는 대나무를 재질로 하여 일정한 크기의 직사각 모양으로 만들어진 단위편(2)에 형성된 통공(3)으로 연결끈(4)을 관통시켜 상기 연결끈에 의해 각각의 단위편이 연결되고, 종방향으로 단위편과 단위편 사이에 연질합성수지제 보호심체(5)를 개입시켜 배치하며, 횡방향으로는 사이사이에 공간부(6)를 구비하여 통풍이 되도록 하고, 가장자리부에 상기 보호심체(5)로 사각테두리(7)를 구성하여 나무매트를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갖는 나무매트(1)는 단위편(2)에 있어서 통공(3)이 횡방향으로만 관통되어 있고, 보호심체(5) 또한 편방향으로만 배치되어 있어 일방향으로밖에 연결할 수 없는 한계로 인한 문제점이 있으며, 가장자리부 단위편(2)에 있어서는 도1a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일측 횡방향통공(3)에 테두리(7)와 연결하기 위한 종방향통공(3)이 형성되어 있어서, 연결끈(4)을 끼울 때에 연결끈(4)을 횡방향통공으로 끼워 종방향통공으로 뺀 후 테두리와 연결하고, 다시 종방향통공을 거쳐 횡방향통공으로 끼움되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그 작업상의 난해함으로 인해 작업성을 저하시키고, 또한, 사각테두리(7)에 있어서 단위편(2)을 연결하는 연결끈(4)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매듭지어지므로 잦은 걸림으로 인해 사용상 불편할 뿐만 아니라, 그 결합이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전체 나무매트(1)를 감싸 보호하는 사각테두리(7)의 경우 방석과 같이 크기가 작은 물품에는 사용이 가능하나, 침대용 매트와 같이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고정된 테두리를 구비하기가 어렵고, 이 테두리(7) 때문에 나무매트(1)를 말거나 접을 수가 없어 계절이 바뀌어 접거나 말아서 보관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를 침대위에 깔고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누워서 몸을 움직일 때 침대 매트리스내 탄력에 의한 유동으로 매트에 굴곡이 생기고, 신체의 일부가 단위편 사이에 끼어져 상처를 입을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나무매트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내측부에 다수의 단위편을 연결끈으로 연결시켜 나무매트를 구성하되, 횡으로 엮어 이루어진 단위편열과 단위편열 사이에 횡방향으로 일자형 또는 십자형의 간격유지편을 배치하고, 가장자리부에 장홈부를 구비한 가장자리편과 최외측 양단에 마감테두리편을 구비하여 견고하면서도 공간부를 통한 통풍효과를 극대화한 침대용 나무매트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각각의 단위편에 있어서, 상,하면 모서리부에 45°경사부를 형성하여 인체하중에 의한 유동으로 생겨나는 굴곡을 최소화하고, 단위편과 단위편 사이에 의류나 침구, 신체의 일부 등이 끼움되는 것을 방지하며, 측면에 종,횡 양방향으로 두 개씩의 통공을 구비하여 단위편들 사이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엮었을 뿐만 아니라,표면에 옥 또는 세라믹 분말이 함유된 UV 및 우레탄 코팅처리를 하여 양면 모두 사용가능토록함과 동시에, 색상유지를 비롯해 표면 오염방지와 내수성, 내화학성, 내한성, 내열성 및 내구력이 우수한 제품을 제공한다.
가장자리편의 경우에는 측면테두리측에 연결끈의 매듭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장홈부를 구비하여 연결끈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함을 살리고, 잦은 걸림에 의한 불편을 해소하여 견고성을 배가시켰다.
또한, P.E, P.S, 또는 P.V.C를 재질로 된 간격유지편 및 마감테두리편을 구비하되, 일자형 또는 일자형 양측으로 날개편이 형성된 십자형간격유지편과 일자형에 일측에만 날개편이 형성된 마감테두리편을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횡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사이사이에 공간부를 둠으로써, 각각의 단위편들의 위치를 어느정도 고정시키고,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호간의 통풍효과가 최대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종방향으로 테두리 등을 구비하지 않아 매트를 말아서 보관하기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도1은 종래 침대용 나무매트의 전체 사시도
도1a는 도1의 양측 가장자리부 단위편 확대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용 나무매트의 전체 사시도
도3a는 본 고안에 따른 단위편의 확대 사시도
도3b는 본 고안에 따른 가장자리편의 확대 사시도
도4a는 본 고안에 따른 일자형간격유지편의 확대 사시도
도4b는 본 고안에 따른 십자형간격유지편의 확대 사시도
도4c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감테두리편의 확대 사시도
도5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5a는 도2의 단부 확대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6a는 도6의 단부 확대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7a는 도7의 단부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나무매트 2,12 : 단위편
3,14,19 : 통공 4,15 : 연결끈
5 : 보호심체 6,20 : 공간부
7 : 테두리 12a,13a : 경사부
13 : 가장자리편 13b : 장홈부
16 : 일자형간격유지편 17 : 십자형간격유지편
18 : 마감테두리편 21 : 날개편
본 고안은 침대용 나무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도2의 전체 사시도에서와 같이 내측부에 다수의 단위편을 연결끈으로 연결시켜 나무매트를 구성하되, 단위편열과 단위편열 사이에 횡방향으로 일자형 또는 십자형의 간격유지편을 배치하고, 가장자리부에 연결끈의 매듭부를 수용하는 장홈부가 형성된 가장자리편을 배열하고 최외측 양단에 마감테두리편을 구비함으로써, 견고하고 통풍효과가 뛰어난 침대용 나무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에 대한 각각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3a에 보이듯이, 목재나 대나무를 재질로 일정한 크기와 두께를 갖는 각 단위편(12)을 구성하되, 상,하면 모서리부에 45°의 경사부(12a)를 형성하고 양면에 옥 또는 세라믹 분말이 함유된 UV 및 우레탄 코팅처리를 하였으며, 네 측면에는 횡방향통공(14a) 및 종방향통공(14b)을 각각 두 개씩 구비하였다.
가장자리편(13)의 경우에는 도3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모서리 45° 경사부 (13a)와, UV 및 우레탄 코팅, 통공(14) 등의 구성은 상기 단위편(12)과 동일하고, 특히, 외측면 중앙에 상기 통공(14) 위치를 포함해 일자로 긴 장홈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각 단위편(12)과 가장자리편(13)은 도4a와 도4b에 도시되어 있는 간격유지편(16,17)과 조합, 일정하게 배열되며, 각 단위편(12) 및 가장자리편(13)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의 통공(14)에 나일론과 같은 합성섬유사로 된 연결끈(15)을 끼워 서로 연결되고, 연결끈(15)의 매듭부(15a)가 상기 가장자리편(13)에 형성된 장홈부(13a)상에 수용된 상태로 결합되어 전체 나무매트(11)의 형태를 구성한다.
도4는 P.E, P.S 또는 P.V.C 등을 재질로 된 다양한 형태의 간격유지편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4a에서와 같이 상기 단위편(12)의 종방향통공(14b)과 일치하는 통공(19)이 형성되어진 일자형간격유지편(16)이 기본형으로 제작되어서, 상기 내측부의 단위편(12)열과 단위편(12)열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일정간격의 공간부(20)를 둔 상태로 연결되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4b 및 도4c에서와 같이, 상기 일자형간격유지편(16)의 양측으로 짧은 날개편(21)이 단위편(12) 길이에 맞춰 구비된 십자형간격유지편(17)과, 최외측 양단부에는 일측에만 날개편(21)이 구비된 마감테두리편(18)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이 때, 이러한 구성을 갖는 단위편 및 가장자리편과 간격유지편으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를 보일 수 있는데, 도5는 제 1실시예로서, 단위편(12) 및 가장자리편(13)들을 횡으로 엮은 열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일자형간격유지편(16)을 배치한 상태에서 단위편(12) 및 가장자리편(13)들의 횡방향통공(14a)에 연결끈(15)을 끼워 연결한 다음, 각 단위편(12)과 가장자리편(13) 사이에 공간부(20)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단위편(12)과 가장자리편(13)의 종방향통공(14b)과 일자형간격유지편(16)의 통공(19)을 일치시켜 연결끈(15)으로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나무매트(11)를 구성한 것이며, 도6은 제 1실시예의 일자형간격유지편(16) 대신 양측 날개편(21)이 구비된 십자형간격유지편(17)을 배치한 제 2실시예이며, 제 3실시예는 도7에 나타난 것과 같이 단위편(12)과 가장자리편(13), 십자형간격유지편(17) 및 일측 날개편 (21)을 형성한 마감테두리편(18)을 모두 구비한 형태이다. 이상의 실시예는 도5a, 도6a 및 도7a의 각 단부 확대 사시도를 보면 그 상이한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살펴본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시원한 느낌의 목재 단위편(12) 및 가장자리편(13)에 구비된 종,횡방향 통공(14)은 각 측면마다 두 개씩 구비되어 있어 조립후에는 단위편들 사이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며, 가장자리편(13) 측면의 장홈부(13b)는 연결끈(15)의 매듭부(15a)를 수용하여 연결끈이 돌출되지 않게 한다. 일자형과 십자형의 간격유지편 (16,17) 및 마감테두리편(18)은 단위편들이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보호하고, 각 단위편들간에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각 단위편 사이의 공간부(20)는 통풍이 원활하도록 한다. 그로 인해, 나무매트(11)를 침대 위에 깔고 사용할 경우, 시원하고 땀이 차지 않으며, 사용자가 누워서 움직일 때 생기는 유동에도 굴곡이 생기지 않아 단위편 사이에 의류,침구 및 신체일부가 끼움되지 않도록 한다.
각각의 단위편의 상,하면 모서리부에 45°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인체하중에 의한 유동으로 생겨나는 굴곡을 최소화하고, 단위편과 단위편 사이에 의류나 침구, 신체의 일부 등이 끼움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상처를 입힐 수 있는 우려를 불식하였으며, 측면에 종,횡 양방향으로 두 개씩의 통공을 구비하여 단위편들 사이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엮었다. 또한, 표면에 옥 또는 세라믹 분말이 함유된 UV 및 우레탄 코팅처리를 하여 양면 모두 사용가능함과 동시에, 색상유지를 비롯해 표면 오염방지와 내수성, 내화학성, 내한성, 내열성 및 내구력이 우수한 제품을 제공한다.
가장자리편의 경우에는 측면테두리측에 연결끈의 매듭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장홈부를 구비하여 연결끈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함을 살리고, 잦은 걸림에 의한 불편을 해소하여 견고성을 배가시켰다.
또한, P.E, P.S, 또는 P.V.C를 재질로 된 간격유지편 및 마감테두리편을 구비하되, 일자형간격유지편 또는 일자형 양측으로 날개편이 형성된 십자형간격유지편과 일자형 일측에만 날개편이 형성된 마감테두리편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사이사이에 공간부를 둠으로써, 각각의 단위편들의 위치를 어느정도 고정시켜 결속을 강화하고,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호간의 통풍효과가 최대화됨과 동시에, 종방향으로 테두리 등을 구비하지 않아 매트를 말아서 보관하기가 용이하다.
따라서, 실용성과 견고함에 외관미까지 부가된 침대용 나무매트를 제공함으로써, 상품가치를 한 차워 높일 뿐만 아니라, 조립 및 작업성에 있어서도 각각 제작된 부품들을 단순조립과정에 의해 완성될 수 있게 되어 인건비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통한 경제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내측부열에는 모서리에 경사부(12a)가 가공되고, 표면에는 옥 또는 세라믹 분말이 함유된 UV 및 우레탄 코팅처리되며, 측면에는 종 또는 횡방향으로 두 열의 통공(14)이 배열된 단위편(12)들을, 또, 가장자리열에는 측면상에 연결끈(15)을 수용하는 장홈부(13a)가 구비된 가장자리편(13)들을 배치하여, 이들을 나무매트(11)의 형태로 배열하되, 배열된 단위편(12)들의 횡방향 각 열 사이에 통공(19)을 구비한 합성수지제 간격유지편(16)을 배치한 후, 상기 단위편(12) 및 가장자리편(13)과 간격유지편(16) 각각의 통공(14,19)을 통하여 연결끈(15)을 연결하여 하절기 통풍효과를 가지는 침대용 나무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내측부의 단위편(12)을 엮은 각 열 사이에는 일자형간격유지편(16)의 양측으로 짧은 날개편(21)이 돌설된 십자형간격유지편(18)을 횡방향으로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나무매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자형간격유지편(16)의 일측에만 짧은 날개편(21)이 돌설된 마감테두리편(18)을 나무매트(11)의 최외측 양단에 횡방향으로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나무매트.
KR2020010003344U 2001-02-12 2001-02-12 침대용 나무매트 KR2002312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344U KR200231237Y1 (ko) 2001-02-12 2001-02-12 침대용 나무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344U KR200231237Y1 (ko) 2001-02-12 2001-02-12 침대용 나무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237Y1 true KR200231237Y1 (ko) 2001-07-19

Family

ID=73096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344U KR200231237Y1 (ko) 2001-02-12 2001-02-12 침대용 나무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2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175U (ko) 2015-03-13 2016-09-21 가우디가구 주식회사 퍼즐형 침대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175U (ko) 2015-03-13 2016-09-21 가우디가구 주식회사 퍼즐형 침대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9934A (en) Multiple component comforter quilt
US5537699A (en) Mattress borde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20117733A1 (en) Pillow construction
US20120159715A1 (en) Mattresses with extended length handles
US6859960B1 (en) Portable nap roll for children
US6954953B2 (en) Novelty cushion
KR200231237Y1 (ko) 침대용 나무매트
US6588035B2 (en) Mattress support system
KR101896010B1 (ko) 에어룸 인견 메쉬 토퍼
CN201150388Y (zh) 一种藤席
KR200416982Y1 (ko) 베개
JPS63143010A (ja) 寝具用敷蒲団
KR200180912Y1 (ko) 침대용 매트리스
US11160390B2 (en) Mattress cover
JP2000051013A (ja) 敷 き 布 団
KR200280477Y1 (ko) 침대용 매트
CN210249275U (zh) 一种应用于气垫床的床笠
JP3124454U (ja) 高さ調整式安眠枕
KR200378450Y1 (ko) 탄성부재가 내장된 통풍시트
JP2006288963A (ja) すのこ
KR930004231Y1 (ko) 침대용 매트리스
DE202007000295U1 (de) Kopfluftkissen Strandhandtuch
KR200303203Y1 (ko) 침대용 깔개
KR20150005821A (ko) 베개 커버
CN100522011C (zh) 横条板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