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946Y1 - 목발 - Google Patents

목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946Y1
KR200230946Y1 KR2020010004138U KR20010004138U KR200230946Y1 KR 200230946 Y1 KR200230946 Y1 KR 200230946Y1 KR 2020010004138 U KR2020010004138 U KR 2020010004138U KR 20010004138 U KR20010004138 U KR 20010004138U KR 200230946 Y1 KR200230946 Y1 KR 200230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rutches
support part
heigh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1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명
Original Assignee
정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명 filed Critical 정동명
Priority to KR20200100041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9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946Y1/ko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발에 관한 것으로,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일정 거리 이격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일단에 함께 고정되고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가지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에 마련되어 목발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 상기 제1지지부에 힌지 고정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가 접혀지도록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연결하는 접이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하단에 고정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제1지지부가 제2지지부에 대하여 접혀지도록 접이부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그 사용 즉,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목발 {a crutches}
본 고안은 목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접어지도록 하여 길이를 조절하도록 하여 휴대가 간편하도록 한 목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의 목발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목발은 나무나 알루미늄 재질로 된 각재나 봉재 또는 관재로 형성된 제1 및 제2지지부재(10)(12)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10)(12)의 상단을 연결하는 지지부(14)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10)(12)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6)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10)(12)의 하단에 고정되는 다리부재(1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14)는 제1 및 제2지지부재(10)(12)의 상단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끼워져 사용자가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6)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10)(12)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사용자가 상기 지지부(14)에 겨드랑이를 끼운 상태에서 손으로 잡기 위한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재(18)는 제1 및 제2지지부재(10)(12)의 하단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며 그 하단이 바닥에 접촉되어 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목발은, 사용자가 자동차 즉, 승용차 등을 타게 되면, 그 길이가 길어서 그 취급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목발을 중앙부분이 접어지도록 하여, 그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그 사용 즉,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한 목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목발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목발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목발의 접힌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목발의 높이 조절부를 보인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고안에 따른 목발의 접이부를 상세하게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제1지지부 101; 제1부재
102; 제2부재 103; 지지부재
104; 높이 조절부 110; 제2지지부
111; 제3부재 112; 제4부재
120; 접이부 122; 지지체
123; 탄성체 130; 다리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목발은,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일정 거리 이격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일단에 함께 고정되고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가지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에 마련되어 목발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 상기 제1지지부에 힌지 고정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가 접혀지도록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연결하는 접이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하단에 고정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제1 및 제2부재의 상부와 하부의 외주를 감싸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제1 및 제2부재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목발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목발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목발을 접은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목발의 높이 조절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고안에 따른 목발의 접이부를 상세하게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목발은,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100)와, 상기 제1지지부(100)에 힌지 고정되는 제2지지부(110)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100)(110)를 연결하고 제1 및 제2지지부(100)(110)가 서로 연동되어 제1지지부(100)가 제2지지부(110)에 대하여 접어지도록 한 접이부(120)와, 상기 제2지지부(110)의 하단에 고정되는 다리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부(10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부재(101)와, 상기 제1부재(101)에 일정 거리 이격되는 제2부재(102)와, 상기 제1부재(101)와 제2부재(102)의 상단에 함께 고정되고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0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부재(101)와 제2부재(102)의 상부에는 목발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104)가 마련된다. 이 높이 조절부(104)는 제1 및 제2부재(101)(102)의 상부와 하부가 그 외주를 감싸는 브라켓(104a)과, 상기 브라켓(104a)과 제1 및 제2부재(101)(102)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104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높이 조절부(104)는 사용자의 키에 따라 목발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및 제2부재(101)(102)의 하부에 고정된 브라켓(104a)의 내주에 끼워지는 제1 및 제2부재(101)(102)의 상부를 일정높이로 올리거나 내린 다음, 브라켓(104a)의 외주에서 고정수단(104b)으로 브라켓(104a)과 제1 및 제2부재(101)(102)의 상부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수단(104b)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지지부(110)는 제1부재(101)와 제2부재(102)의 하단에 접이부(120)에 의해 연결되는 제3 및 제4부재(111)(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이부(120)는 상기 제1지지부(100)가 제2지지부(110)에 대하여 접혀지도록 그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100)의 하단에 제1돌기부(100a)가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110)의 상단에 제2돌기부(110a)가 형성되며, 상기 제1돌기부(100a)와 제2돌기부(110a)에 접이부재(121)의 양단이 힌지 고정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이부재(121)의 양단에는 제1 및 제2돌기부(100a)(110a)가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에 제1 및 제2돌기부(100a)(110a)가 끼워져 고정부재(122)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접이부(120)에는 제2지지부(110)에 대하여 제1지지부(100)가 수직으로 세워질 때 제1지지부(100)가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체(122)가 외주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이 지지체(122)는 제1지지부(100)의 제 1 및 제2부재(101)(102)에 매입되는 탄성체(123)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접이부(120)의 외주에서 이동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목발의 사용 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목발을 처음 구입하게 되면, 먼저 목발의 높이 조절부(104)를 조절하여 자기의 키에 맞추어 목발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브라켓(104a)과 제1 및 제2부재(101)(102)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수단을 푼 다음, 브라켓(104a)의 내주에 끼워진 제1부재(101)를 자신의 키에 맞추어서 올리거나 내린다. 그런 다음, 브라켓(104a)과 제1부재(101)를 고정수단(104b)으로 고정한다.
사용자가 목발을 사용하려면, 제2지지부(110)에 밀착되어 접혀져 있는 제1지지부(100)를 제2지지부(110)와 일직선이 되도록 펼치고, 접이부(120)의 외주에 끼워진 지지체(122)를 내려서 접이부(120)를 완전히 감싸도록 한다. 그러면, 지지체(122)는 제1지지부(100)가 제2지지부(110)에 대하여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자동차를 타기 위하여 휴대하거나 보관하기 위해서는, 제1지지부(100)를 제2지지부(110)에 접촉되도록 접는다. 즉, 접이부(120)를 감싸고 있는 지지체(122)를 올린 다음, 제1지지부(100)를 접어서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03)가 하측으로 향하도록 하고, 제2지지부(110)에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목발의 사용시에는 제1지지부(100)를 펼쳐서 사용자에 맞게 크기를 키우고, 미사용시에는 제1지지부(100)를 접어서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목발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목발의 미사용시에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부분을 접을 수 있으므로, 휴대가 매우 편리하고 보관이 매우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일정 거리 이격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일단에 함께 고정되고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가지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에 마련되어 목발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
    상기 제1지지부에 힌지 고정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가 접혀지도록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연결하는 접이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하단에 고정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제1 및 제2부재의 상부와 하부의 외주를 감싸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제1 및 제2부재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발.
KR2020010004138U 2001-02-19 2001-02-19 목발 KR200230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138U KR200230946Y1 (ko) 2001-02-19 2001-02-19 목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138U KR200230946Y1 (ko) 2001-02-19 2001-02-19 목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946Y1 true KR200230946Y1 (ko) 2001-07-04

Family

ID=73096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138U KR200230946Y1 (ko) 2001-02-19 2001-02-19 목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9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526B1 (ko) 2009-10-05 2011-07-05 박정훈 접철식 목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526B1 (ko) 2009-10-05 2011-07-05 박정훈 접철식 목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5743B2 (en) Folding table
US6182578B1 (en) Portable treatment table
CA2218544A1 (en) Folding table
ITMI980707A1 (it) Bicicletta compattibile nel volume delle due ruote affiancate
KR940702244A (ko) 다단계 절첩식 스테이지(Multi-level folding stage)
US2375225A (en) Portable leg and foot rest
US5979476A (en) Folding walker with multiple configurations
KR102085416B1 (ko) 절첩 가능한 침대 프레임
US6488119B1 (en) Folding sawhorse with locking shelf
KR200230946Y1 (ko) 목발
WO2004049862A2 (en) Picnic table with benches
JPH04129600A (ja) アイロン台
WO1996026339B1 (en) Folding framework and support legs
US11246427B2 (en) Folding walker with wheels
US6625826B1 (en) Safety device for foldable baby bed
KR101045526B1 (ko) 접철식 목발
JP3782408B2 (ja) 折畳みベッド
ES2281469T3 (es) Dispositivo de plancha.
CN220588570U (zh) 一种骨科助行装置
KR100520273B1 (ko) 목발
US6517152B1 (en) Folding chair enabling reduced collapse height and volume
CN220558264U (zh) 一种病人助行推车
CN211623300U (zh) 直梯防滑辅助支架
KR102708481B1 (ko) 접이식 사다리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사다리
JP3650902B2 (ja) 折り畳み式脚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