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306Y1 - Equipment for emergency escape - Google Patents

Equipment for emergency esca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306Y1
KR200230306Y1 KR2020010003786U KR20010003786U KR200230306Y1 KR 200230306 Y1 KR200230306 Y1 KR 200230306Y1 KR 2020010003786 U KR2020010003786 U KR 2020010003786U KR 20010003786 U KR20010003786 U KR 20010003786U KR 200230306 Y1 KR200230306 Y1 KR 2002303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rizontal
section
vertical
vertica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78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상훈
Original Assignee
서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훈 filed Critical 서상훈
Priority to KR20200100037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30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3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306Y1/en

Links

Landscapes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체 무게를 줄여서 운반이 용이하게 하는 한편, 편리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하고, 전체 크기의 부피를 줄여서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하는 한편, 설치후 지나다니는 사람이 부딪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피난 구조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overall weight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while allowing for convenient installation, and reducing the size of the entire volume to occupy less space, while preventing people from passing by after installation. It is about evacuation rescue team to make.

Description

피난 구조대{EQUIPMENT FOR EMERGENCY ESCAPE}Evacuation Rescue Team {EQUIPMENT FOR EMERGENCY ESCAPE}

본 고안은 건물의 복도 등 통로에 설치되어 화재나 비상시 건물내의 계단을 사용할 수 없을 때 지상으로 직접 피난할 수 있도록 하는 피난 구조대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체 무게를 줄여서 운반이 용이하게 하는 한편, 편리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하고, 전체 크기의 부피를 줄여서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하는 한편, 설치후 지나다니는 사람이 부딪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피난 구조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ment of an evacuation team installed in a corridor such as a corridor of a building so that it can evacuate to the ground directly when the stairs in the building cannot be used in a fire or emergenc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cuation rescue team that allows for convenient installation, reduces the volume of the entire size, takes up less space for installation, and prevents people passing by after installation.

종래의 피난 구조대는 전체 틀이 직육면체를 이루면서 형성되고, 그 외부면을 틀과 동일한 형상의 케이스가 씌워지게 하는 것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 화재나 비상시 케이스를 분리한 다음 입구틀이 세워지게 하는 한편, 입구틀에 활강포가 설치되게 하여 활강포를 통해 건물 밖으로 비상 탈출할 수 있게 하고 있었다.Conventional evacuation rescue team is formed while the entire frame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outer surface is covered with the case of the same shape as the frame, in this case, in the event of a fire or emergency, the entrance frame is to be stood up while The slides were installed in the frame so that they could escape from the building through the slides.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경우 케이스의 무게(약 25㎏)가 무거워 분리시 두명 이상의 인원이 필요하게 되고, 분리와 동시에 입구틀 및 활강포를 설치하기 위해 또 다른 인원이 필요하게 되어 신속한 비상 탈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전체 틀의 무게(약 40㎏)가 무거워 설치를 위한 운반 작업시 여러 명이 함께 운반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전체 틀이 직육면체를 이루면서 설치됨으로써, 설치 후 복도 등 통로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지나다니는 사람들이 부딪히게 되어 다치게 되는데, 특히,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인 경우 어린이들이 안전사고를 당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 case the weight of the case (about 25㎏) is heavy, more than two people are required when separating, and at the same time another person is needed to install the entrance frame and sliding canopy to prevent rapid emergency escape. There was a problem. In addition, the weight of the entire frame (about 40kg) is heavy, there was a problem that several people to carry together during the transport operation for installation. And since the entire frame is install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t takes up a lot of space in the aisle, such as a corridor, after installation, and is injured by people passing by it. there wa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체 무게를 줄여서 운반이 용이하게 하는 한편, 편리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하고, 전체 크기의 부피를 줄여서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하는 한편, 설치후 지나다니는 사람이 부딪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피난 구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is to reduce the overall weight to facilitate transport, while being able to be installed conveniently, while reducing the size of the overall size to take up less installation space, It is to provide an evacuation team to prevent people passing by after installation.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직구멍을 갖는 상부수평간과, 하부수평간 및 두 개의 수직간에 의해 사각의 틀체로 형성되는 한편, 상,하부수평간의 사이에 평행하게 중단부수평간이 형성되고, 상부수평간의 양단부에 상부연장간이 후방으로 직교하게 형성되며, 설치벽면에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벽면틀과; 상기 상부연장간에 저면에 설치되는 봉체로, 그 외부면에 회전봉이 설치되는 힌지봉과; 상기 중단수평간에 일단부가 힌지되어 설치되고, 저면에 지지봉이 힌지되어 설치되며, 수평상태로 펼쳐지거나 또는 세워지게 되는 발판과; 양측 정점에 판체로된 브래킷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원형의 링체로, 상기 브래킷의 단부가 상기 회전봉에 직교하게 면접되어 고정되는 한편, 전방측에 상기 상부수평간의 수직구멍과 대응하는 수직구멍을 갖는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힌지봉을 축으로 회전되어 세워지게 되는 한편, 상기 수직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핀에 의해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며, 활강포가 설치되게 되는 입구틀과; 상기 벽면틀과 입구틀 전체를 덮어주게 되는 한편, 직물지로 봉제되어 성형되고, 일 측에 슬라이드파스너가 설치되어 열고 닫음에 의해 벗겨지거나 또는 씌워지게 되는 외장커버로 구성되는 피난 구조대를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by an upper horizontal section having a vertical hole, a lower horizontal section, and two vertical sections, and a middle horizontal section is formed in paralle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ections. A wall frame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with the upper extension perpendicularly to the rear, and fixed to the installation wall by anchor bolts; Hinge rod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between the upper extension, the rotating rod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ne end portion is hinged and installed between the suspended horizontal, the support rod is hinged to the bottom surface is installed, and the scaffold to be extended or erected in a horizontal state; A circular ring body in which plate-shaped brackets are vertically installed at both apexes, the ends of the brackets being orthogonally interviewed and fixed to the rotating rods, and fixed at the front side with vertical holes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holes between the upper horizontal portions. An inlet frame in which a member is installed, the hinge rod is rotated about an axis, and the stand is maintained by a fixing pin inserted through the vertical hole, and the sliding frame is installed; While covering the entire wall frame and the entrance frame, and sewn into a fabric paper, and is molded, a slide fastener is installed on one side to provide an evacuation rescue frame consisting of an outer cover that is peeled off or covered by opening and closing.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구조대에 외장커버가 씌워진 상태의 사시도,Figure 1a and 1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terior cover is covered on the rescu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조대에 다른 실시 예의 외장커버가 씌워진 상태의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terior cover of another embodiment on the rescu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일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FIG. 2;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구조대의 일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rescu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구조대의 설치 구조를 보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대를 벽면의 방향에서 본 예시도,6 is an exemplary view of the structural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en in the direction of a wall;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입구틀이 세워진 상태의 예시도,7 is an exemplary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entrance frame is set up in the state of FIG. 6,

도 8은 도 7의 반대편 방향에서 본 예시도,8 is an exemplary view seen from the opposite direction of FIG. 7;

도 9는 도 8의 측단면도,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8;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대의 벽면틀이 상,하로 가변 되는 상태를 보인 일부 단면도,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ll frame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up and down,

도 11은 도 7의 'A'부 상세단면도,11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A' part of FIG.

도 12는 도 8의 'B'부 상세단면도 이다.12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B' of FIG. 8.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벽면틀 110 ... 상부수평간100 ... wall frame 110 ... upper horizontal

111 ... 고정구멍 112,403,406 ... 수직구멍111 ... fixing hole 112,403,406 ... vertical hole

120 ... 상부연장간 121 ... 가변봉120 ... upper extension 121 ... variable rod

122,161,201 ... 수평구멍122,161,201 ... horizontal hole

123,202,404 ... 고정핀 130 ... 중단수평간123,202,404 ... Locking pin 130 ... Interrupted horizontal

140 ... 하부수평간 150 ... 하부연장간140 ... between horizontal bottom 150 ... between extension

160 ... 수직간 200 ... 지면틀160 ... vertical 200 ... ground frame

203,413 ... 링 300 ... 발판203,413 ... Ring 300 ... Scaffolding

301 ... 지지봉 302 ... 홀더301 ... support rod 302 ... holder

303 ... 스토퍼 304 ... 핀303 ... stopper 304 ... pin

305 ... 힌지 306 ... 멈춤판305 ... hinge 306 ... stop plate

307 ... 가이드 400 ... 입구틀307 ... Guide 400 ... Entrance frame

401 ... 브래킷 402 ... 고정부재401 ... bracket 402 ... fixing member

405 ... 보강원통 410 ... 회전봉405 ... reinforcing cylinder 410 ... rotating rod

411 ... 힌지봉 412 ... 힌지봉홀더411 ... hinge rod 412 ... hinge rod holder

414 ... 로프 500 ... 외장커버414 ... rope 500 ... outer cover

501 ... 슬라이드파스너 510 ... 커버틀체501 ... Slide fastener 510 ... Cover frame

511 ... 힌지핀511 ... hinge pins

다음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Nex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a , 도 1b 및 도 2 그리고 도 3 에는 본 고안에 따른 피난 구조대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피난 구조대는 벽면틀(100), 지면틀(200), 발판(300), 입구틀(400) 및 외장커버(500)로 구성된다.Figures 1a, 1b and 2 and 3 shows an evacuation rescue t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wall frame 100, ground frame 200, scaffolding 300, entrance frame 400 and The outer cover 500 is configured.

상기 벽면틀(100)은 도 6 도시와 같이 상,하부 및 중단부에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평행하게 상부수평간(110), 중단부수평간(130) 및 하부수평간(140)이 형성되고, 상,하부수평간(110)(140)에는 도 5 도시와 같이 설치될 벽면에 앵커볼트를 조임 하기 위한 고정구멍(111)(141)이 형성되며, 중단부수평간(130)에는 발판(30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및 중단부 수평간(110)(140)(130)의 양단부는 각각 수직간(160)에 의해 지지되어 사각의 틀체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수평간(110)에는 도 11 도시와 같이 수직으로 수직구멍(112)이 형성되며, 그 전면에 이 수직구멍(112)과 동일중심의 수직구멍(406)을 갖는 보강원통(405)이 형성된다.The wall frame 100 is formed in a horizontal state in the upper, lower and middle portion as shown in Figure 6 in parallel to the upper horizontal section 110, the horizontal section 130 and the lower horizontal section 140,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ections 110 and 140 are formed with fixing holes 111 and 141 for tightening anchor bolts on the wall surface to be installed as shown in FIG. ) Is installed. Both ends of the upper, lower, and middle portions of the horizontal portion (110, 140, 130) are supported by the vertical portion 160, respectively, to form a rectangular frame. In the upper horizontal section 110, a vertical hole 112 is formed vertically as shown in FIG. 11, and a reinforcing cylinder 405 having a vertical hole 406 at the same center as the vertical hole 112 on its front surface. Is formed.

상기 상부수평간(110)의 양단부에는 도 10 도시와 같이 후방으로 직교하게 연장되는 상부연장간(120)이 설치되고, 이 상부연장간(120)에는 상기 수직간(160)의 내부에서 출몰되는 가변봉(121)이 설치되며, 이 상부연장간(120)에는 입구틀(4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수직간(160)에는 수평으로 관통되는 한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는 수평구멍(161)이 형성되고, 이 수평구멍(161)과 대응하게 상기 가변봉(121)에도 수평구멍(122)이 형성되며, 수평구멍(161)(122)이 일치될 때 고정핀(123)을 삽입하여, 상부수평간(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된다. 상기 하부수평간(140)의 양단부에는 후방으로 직교하게 연장되는 하부연장간(150)이 설치되고, 이 하부연장간(150)에는 수평으로 구멍이 형성된다.Both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section 110 is provided with an upper extension section 120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rear as shown in FIG. 10, the upper extension section 120 is in the interior of the vertical section 160 The variable rod 121 is installed, the inlet frame 40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upper extension 120. A horizontal hole 161 penetrates horizontally and maintains a constant gap in the vertical gap 160. A horizontal hole 122 is also formed in the variable rod 121 to correspond to the horizontal hole 161. When the horizontal holes 161 and 122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fixing pin 123 is insert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upper horizontal section 110. Both ends of the lower horizontal section 140 is provided with a lower extension section 150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rear, the lower extension section 150 is formed with a horizontal hole.

상기 지면틀(200)은 도 4 도시와 같이 하부연장간(150)에서 길이가 가변 되는 'ㄷ'자 형상의 틀체로, 측면에는 다수개의 수평구멍(201)이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후방측에는 링(203)이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수평구멍(201)이 상기 하부연장간(150)의 수평구멍에 일치된 상태에서 수평상태로 고정핀(202)이 삽입되어 지면틀(200)이 하부연장간(150)에 고정된다. 즉, 이 지면틀(200)은 상기 하부연장간(150)으로부터 길이가 가변 된다.The ground frame 200 is a 'c' shaped frame having a variable length in the lower extension section 150, as shown in Figure 4, a plurality of horizontal holes 201 through the side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t the rear side, the ring 203 is installed vertically, and the fixing pin 202 is inserted in the horizontal state while the horizontal hole 201 is aligned with the horizontal hole of the lower extension section 150 so that the ground frame 200 ) Is fixed to the lower extension section 150. That is, the ground frame 200 is variable in length from the lower extension section 150.

상기 발판(300)은 도 8 도시와 같이 중단수평간(130)에 일단부가 힌지(305)되어 도 9 도시와 같이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도 7 도시와 같이 중단수평간(130)에 설치되는 멈춤판(306)에 의해 세워진 상태가 유지된다.As shown in FIG. 8, the scaffold 300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state as shown in FIG. 9 by being hinged 305 at one end of the horizontal interlock 130 as shown in FIG. 8. The standing state is maintained by the stop plate 306 which becomes.

그리고 홀더(302)에 핀(304)으로 축설되는 지지봉(301)의 하단부가 하부수평간(140)에 맞닿게 됨으로써, 발판(300)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상기 지지봉(301)의 상단부는 홀더(302)의 스토퍼(303)에 의해 45°각도 이상 벌어지게 되는 것이 방지되며, 수평상태로 위치할 때, 지지봉(301)의 하단부가 중단수평간(130)과 하부수평간(140)에 걸쳐 설치되는 가이드(307)를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정확하게 45°각도를 유지하게 되어 발판(300)이 항시 수평상태가 되게 한다.And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rod 301 which is constructed as a pin 304 in the holder 302 abuts the lower horizontal section 140, so that the footrest 300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rod 301 Is prevented from opening more than 45 ° angle by the stopper 303 of the holder 302, when the horizontal positio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bar 301 between the horizontal horizontal 130 and the lower horizontal 140 By moving along the guide 307 is installed over, it maintains a precise 45 ° angle so that the footrest 300 is always in a horizontal state.

상기 입구틀(400)은 원형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활강포가 설치되는 것으로, 양단부에 브래킷(401)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이 브래킷(401)은 도 12 도시와 같이 상부연장간(120)에 의해 지지되는 힌지봉(411)의회전봉(410)에 설치되며, 이 힌지봉(411)을 중심으로 180°회전된다. 상기 브래킷(401)에는 수직구멍(403)을 갖는 고정부재(402)가 설치되는데, 상기 수직구멍(403)은 상기 상부수평간(100) 및 보강원통(405)의 수직구멍(112)(406)과 동일중심을 이루게 되며, 고정부재(402)에는 고정핀(404)이 체인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힌지봉(411)은 양단부가 도 10 도시와 같이 상부연장간(120)에 의해 지지되는 한편 힌지봉홀더(412)에 의해 지지되고, 이 힌지봉홀더(412)에는 링(413)이 설치되며, 이 링(413)과 상기 지면틀(200)과 링(203)에는 로프(414)가 설치된다.The inlet frame 40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slide is installed in a vertical state, the bracket 401 is installed at both ends vertically, the bracket 401 is shown in the upper extension (Fig. 12) It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rod 410 of the hinge rod 411 supported by 120, it is rotated 180 ° around the hinge rod 411. The bracket 401 is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402 having a vertical hole 403, the vertical hole 403 is a vertical hole 112, 406 of the upper horizontal section 100 and the reinforcing cylinder 405. ) And the fixing pin 404 is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402 by a chain. Both ends of the hinge rod 411 are supported by the upper extension section 120 as illustrated in FIG. 10, and are supported by the hinge rod holder 412, and a ring 413 is installed in the hinge rod holder 412. The ring 413 and the ground frame 200 and the ring 203 are provided with a rope 414.

상기 외장커버(500)는 직물지로 봉제되어 성형되어 도 1a 및 도 1b 도시와 같이 구조대 전체를 덮어주는 것으로, 어느 일 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드파스너(501)의 열고 닫음에 의해 벗겨지거나 또는 씌워지게 되며, 일 측면에는 주머니가 봉제되어 설치된다. 상기 외장커버(500)는 도 2 및 도 3 도시와 같이 'ㄷ'자 형상을 이루면서 벽면틀(100)의 수직간(160)의 하단부에 힌지핀(511)에 의해 힌지되는 커버틀체(510)의 가변 됨에 따라 벗겨지거나 또는 씌워지게 되는데, 이는 상기 슬라이드파스너(501)에 의해 벗김 및 씌움 동작보다는 한번에 벗겨지게 하거나 또는 씌워지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exterior cover 500 is sewn into fabric and molded to cover the entire structure as shown in FIGS. 1A and 1B, which are peeled off or cover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lide fastener 501 installed on one or both sides. Will be, one side is installed pocket is sewn. The exterior cover 500 has a cover frame body 510 which is hinged by a hinge pin 511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ection 160 of the wall frame 100 while forming a 'c' shape as shown in FIGS. 2 and 3. It is peeled off or covered by being variable, which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peeled off or covered at once rather than peeling and covering by the slide fastener 501.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in this way,

a) 비상탈출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위치의 벽면에 도 5 도시와 같이 벽면틀(100) 및 지면틀(200)이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필요에 따라 벽면틀(100)만을 고정되게 할 수 있다), 그 외부면에는 도 1a, 도 1b 또는 도 2 도시와 같은 직물지로된 외장커버(500)가 씌워진 상태로 보관된다.a) The wall frame 100 and the ground frame 200 are fixedly installed by anchor bolts as shown in FIG. 5 on the wall surface where the emergency escape can be made quickly (fix only the wall frame 100 as necessary). The outer surface thereof is stored in a state in which an outer cover 500 made of a woven paper as shown in FIG. 1A, 1B or 2 is covered.

b) 비상탈출을 위해 사용할 시에는 도 1a 및 도 1b 도시와 같은 외장커버(500)는 슬라이드파스너(501)를 통해 외장커버(500)가 분리되게 하고, 도 2 도시와 같은 외장커버(500)는 커버틀체(510)가 힌지핀(511)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여 지면에 위치되게 하여, 입구틀(400)을 세운 다음, 발판(300)이 수평상태로 위치되게 하며, 입구틀(400)에 활강포가 설치되게 하면 되는 것으로,b) When used for emergency escape, the exterior cover 500 as shown in FIGS. 1A and 1B allows the exterior cover 500 to be separated through the slide fastener 501, and the exterior cover 500 as shown in FIG. 2. The cover frame body 510 is rotated about the hinge pin 511 to be located on the ground, the inlet frame 400 is upright, and then the footrest 300 is positioned in a horizontal state, the inlet frame 400 By having a slide gun installed in

c) b)항목에 있어, 입구틀(400)은 힌지봉(411)을 중심으로 회전봉(410)이 회전되게 하여 세우면 되는데, 이때, 브래킷(401)에 설치되는 고정부재(402)의 수직구멍(403)이 상부수평간(110)의 수직구멍(112)에 일치되게 한 후 고정핀(404)을 삽입하여 고정되게 하고,c) In the item b), the inlet frame 400 may be erected so that the rotating rod 410 is rotated around the hinge rod 411, and at this time, the vertical hole of the fixing member 402 installed in the bracket 401. 403 is aligned with the vertical hole 112 of the upper horizontal section 110, and then the fixing pin 404 is inserted and fixed,

d) b)항목에 있어, 발판(300)은 멈춤판(306)에 의해 세워진 상태에서 상단부를 잡고 아래의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지지봉(301)의 하단부가 가이드(307)를 따라 하강하게 되고 이어서 그 단부가 하부수평간(140)에 걸림 되어 멈춤 되어 발판(300)이 수평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봉(301)은 홀더(302)의 스토퍼(303)에 의해 벌어짐이 방지되며, 항시 45°각도를 유지하게 된다.d) In the item b), when the footrest 300 is held by the stopper plate 306 and the upper end is pull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rod 301 is lowered along the guide 307 and then The end is stopped by the lower horizontal section 140 is stopped so that the footrest 300 is positioned in a horizontal state. At this time, the support rod 301 is prevented from being opened by the stopper 303 of the holder 302, and always maintains an angle of 45 °.

e) 이러한 상태에서 피난자는 상기 발판(300)에 올라간 상태에서 입구틀(400)의 활강포를 통해 지면으로 탈출 할 수 있게 된다.e) In this state, the evacuator is able to escape to the ground through the sliding gun of the inlet frame 400 in the state on the scaffold 300.

상기에 있어, 설치될 벽면의 높이에 따라 벽면틀(100)의 상부수평간(110)을 상부로 조절되게 할 수 있고, 상기 지면틀(200)은 복도의 폭에 따라 분리되게 하거나 또는 그 길이가 가변 되게 하여 폭을 줄일 수 있게 된다.In the abov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upper horizontal section 110 of the wall frame 100 to the top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all surface to be installed, the ground frame 200 to be separat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corridor or its length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idth by making.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벽면틀과 지면틀에 전체틀이 이루어지게 되는 한편, 직물지로된 외장커버에 의해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운반이 용이하게 되고 편리하게 설치하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전체 크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되는 한편, 설치후 지나다니는 사람이 부딪히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ntire frame is made to the wall frame and the ground frame, while being able to reduce the overall weight by the outer cover made of fabric paper, it is easy to carry and convenient to install the effect There i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olume of the overall size to occupy less installation space, and also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people from passing by after installation.

Claims (4)

수직구멍(112)을 갖는 상부수평간(110)과, 하부수평간(110)(140) 및 두 개의 수직간(160)에 의해 사각의 틀체로 형성되는 한편, 상,하부수평간의 사이에 평행하게 중단부수평간(130)이 형성되고, 상부수평간(110)의 양단부에 상부연장간(120)이 후방으로 직교하게 형성되며, 설치벽면에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벽면틀(100)과; 상기 상부연장간(120)에 저면에 설치되는 봉체로, 그 외부면에 회전봉(410)이 설치되는 힌지봉(411)과; 상기 중단수평간(130)에 일단부가 힌지(305)되어 설치되고, 저면에 지지봉(301)이 힌지되어 설치되며, 수평상태로 펼쳐지거나 또는 세워지게 되는 발판(300)과; 양측 정점에 판체로된 브래킷(401)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원형의 링체로, 상기 브래킷(401)의 단부가 상기 회전봉(410)에 직교하게 면접되어 고정되는 한편, 전방측에 상기 상부수평간(100)의 수직구멍(112)과 대응하는 수직구멍(403)을 갖는 고정부재(402)가 설치되고, 상기 힌지봉(411)을 축으로 회전되어 세워지게 되는 한편, 상기 수직구멍(403)(112)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핀(404)에 의해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며, 활강포가 설치되게 되는 입구틀(400)과; 상기 벽면틀(100)과 입구틀(400) 전체를 덮어주게 되는 한편, 직물지로 봉제되어 성형되고, 일 측에 슬라이드파스너(501)가 설치되어 열고 닫음에 의해 벗겨지거나 또는 씌워지게 되는 외장커버(5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구조대.The upper horizontal section 110 having a vertical hole 112, the lower horizontal section 110, 140 and two vertical sections 160 are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while paralle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The horizontal portion 130 is formed to stop, the upper extension section 120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section 110 orthogonally to the rear, the wall frame 100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wall by anchor bolts and; A hinge rod 411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extension section 120 and having a rotating rod 410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One end portion is hinged (305)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horizontal stop 130, the support rod 301 is installed is hinged on the bottom, the footrest 300 to be expanded or erected in a horizontal state; A circular ring body in which plate-shaped brackets 401 are installed vertically on both sides, and the ends of the brackets 401 are interviewed and orthogonally orthogonally fixed to the rotating rod 410, while the upper horizontal section (on the front side) A fixing member 402 having a vertical hole 112 and a vertical hole 403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hole 112 is provided, and the hinge rod 411 is erected on an axis, while the vertical hole 403 ( The inlet frame 400 is maintained by the fixing pin 404 is inserted through the 112, the slide is installed; While covering the entire wall frame 100 and the entrance frame 400, the outer cover is sewn into a textile paper and molded, the slide fastener 501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peeled off or covered by opening and closing ( Evacuation rescue tea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5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커버(500)는 'ㄷ'자 형상을 이루면서벽면틀(100)의 수직간(160)의 하단부에 힌지핀(511)에 의해 힌지되는 커버틀체(510)의 가변 됨에 따라 벗겨지거나 또는 씌워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구조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cover 500 is a variable of the cover frame body 510 is hinged by a hinge pin 511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ection 160 of the wall frame 100 while forming a '' 'shape An evacuation rescue team which is characterized by being peeled off or covered as it i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평간(110)의 양단부에 수직으로 가변봉(121)을 설치하되, 이 가변봉(121)이 수직간(160)의 내부에서 상,하로 가변되게 하여, 상기 상부수평간(110)의 높이가 조절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구조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ariable bar 121 is installed vertically on both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section 110, the variable bar 121 is to be changed up and down inside the vertical section 160, Evacuation rescue t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upper horizontal section 110 is adjus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틀(100)의 수직간(160) 후방측에 길이가 가변되는 지면틀(20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구조대.The evacuation rescue tea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round frame (200) having a variable length is installed at the rear side of the vertical frame (160) of the wall frame (100).
KR2020010003786U 2001-02-15 2001-02-15 Equipment for emergency escape KR20023030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786U KR200230306Y1 (en) 2001-02-15 2001-02-15 Equipment for emergency esca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786U KR200230306Y1 (en) 2001-02-15 2001-02-15 Equipment for emergency esca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306Y1 true KR200230306Y1 (en) 2001-07-19

Family

ID=73096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786U KR200230306Y1 (en) 2001-02-15 2001-02-15 Equipment for emergency esca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306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17722A (en) Tent formation adjacent solid wall
KR101030286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emergency having a boarding structure using exclusively in a balustrade of veranda
US2938525A (en) Auto-tent
US4164991A (en) Fire escape device
KR101976476B1 (en) Eleavting device to prevent disasters such as fire
EP0322942A1 (en) Foldable structure
US5655340A (en) Stable open-sided shelter
US4863126A (en) Theater curtain frame assembly and storage assembly
KR200230306Y1 (en) Equipment for emergency escape
KR20090118141A (en) Equipment for emergency refuge
US5806624A (en) Escape system
US5967257A (en) Folding escape/rescue ladder
KR101648354B1 (en) Folding handrail having slow descending function of apartment house
GB2230813A (en) A collapsible escape ladder
US6994183B2 (en) Fire escape ladder
US2670504A (en) Store enclosure
KR101166319B1 (en) Fire evacuation door with antenna type ladder
KR102006856B1 (en) Screen fence and stretcher is a using the screen fence
CN105888505A (en) Anti-theft window changeable for escape
KR102528446B1 (en) The Parapet of an apartment building for easy assembly
KR102437071B1 (en) A safety banister for emergency evacuation
KR102441597B1 (en) Ladder installed for evacuation between floors in case of fire
CN205663392U (en) Burglary -resisting window of variably fleing
KR102612618B1 (en) Folding typ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KR20140034540A (en) Portable escap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