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174Y1 - 화장용 펜 - Google Patents

화장용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174Y1
KR200230174Y1 KR2020000037090U KR20000037090U KR200230174Y1 KR 200230174 Y1 KR200230174 Y1 KR 200230174Y1 KR 2020000037090 U KR2020000037090 U KR 2020000037090U KR 20000037090 U KR20000037090 U KR 20000037090U KR 200230174 Y1 KR200230174 Y1 KR 2002301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rush
axial
guide channel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70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기
Original Assignee
최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기 filed Critical 최영기
Priority to KR20200000370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1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174Y1/ko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색조화장을 할 때 사용하는 브러시를 하우징의 내부로 출입시킬 수 있게 한 화장용 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하부 및 상부하우징(10)(20)들과, 상기 하부하우징(10)의 상단부근에 설치되는 가이드채널관(30)과, 상기 가이드채널관의 안내를 받아 상하로 이동하는 가압체(40)와, 상기 가압체(40)의 누름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회동하는 회전체(50)와, 상기 가압체(40)의 하부에 연결 고정되는 작동로드(60)와, 상기 작동로드(60)에 연결되어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화장품 도포구(70)와, 상기 작동로드(60)의 외측에 끼워져 회전체(50)를 상부로 밀어 올리고 있는 스프링(80);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본 고안은 브러시가 하우징들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보관되며, 이 상태에서 상부하우징을 아래로 누르면 브러시가 스프링력에 의해 직선으로 하강하면서 하부하우징의 외부로 빠져나가 화장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화장을 마친 후 상부하우징을 아래쪽으로 밀면 상기와 반대로 동작되어 브러시가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하며,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적게 들며, 내구성이 높고, 브러시의 인, 출입 작동이 원활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장용 펜{A Make-Up Pen}
본 고안은 색조화장을 할 때 사용하는 화장용 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러시, 펜슬, 스틱 등의 형태로 된 화장품 도포구가 스프링 구동방식에 의해 하우징의 내,외부로 출입됨으로써, 간편하게 보관하고 사용할 수 있는 화장용 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화장용 브러시는 연지, 분 또는 아이 샤도우 등의 화장품을 묻혀 입술, 볼 또는 눈 주위에 바를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
종래, 일반적인 화장용 브러시는 솔대의 하부에 브러시부가 장착되고, 브러시의 외부에 캡을 씌워 놓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브러시부는 피부에 화장품을 직접적으로 도포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캡은 화장용 브러시의 보관중 브러시부에 잔존하는 화장품이 핸드백 등의 보관장소에 묻거나 브러시부에 먼지가 묻지 않도록 하는 한편, 사용할 때 솔대의 상부에 끼워서 솔대와 함께 손잡이로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화장용 브러시는 화장할 때에는 캡을 솔대의 상부에 끼워서 손잡이로 사용하고, 화장을 마친 후에는 캡을 다시 브러시부 쪽으로 옮겨 끼워서 보관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솔대와 캡이 완전히 분리되기 때문에 캡을 분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상기와 같이 별도로 분리되는 캡을 사용한 종래의 화장용 브러시에서 나타나는 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998-65134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한다), 제1998-72127호(이하 '선행기술 2'라 한다) 및 제1998- 87661호(이하 '선행기술 3'이라 한다)와 같은 화장용 펜이 개시된 바 있다.
이 선행기술 1, 2, 3들은 상,하부 하우징들의 사이에 중간부 하우징을 끼워 놓아 신축시킬 수 있도록 하고, 화장품을 바르기 위한 브러시부를 하부 하우징의 안에 설치하며, 그 브러시부를 출입시키기 위한 신축 구동수단을 상기 하우징들의 내부에 구비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1 및 선행기술 3의 신축 구동수단은 상기 중간부 하우징의 안에 피니언기어를 회동가능하게 핀으로 고정하여 설치하고, 그 피니언기어에 좌,우 랙들을 각각 치합시키고, 그 랙들을 상기 상부 하우징과 브러시부에 각각 연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선행기술 2의 신축 구동수단은 상기 중간부 하우징의 안에 1쌍의 롤러를 회동가능하게 핀으로 고정하여 설치하고, 그 롤러들에 벨트를 걸고, 그 벨트의 좌우에 연결로드들을 각각 고정시키고, 그 연결로드들을 상기 상부 하우징과 브러시에 각각 연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화장용 펜들은 중간부 하우징과 브러시부가 상,하부 하우징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 상,하부 하우징을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중간부 하우징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길게 늘어나고, 이와 동시에 신축 구동수단이 작동하여 브러시부를 하부 하우징의 바깥으로 밀어내어 노출시키게 된다.
반대로, 상,하부 하우징을 중앙측으로 밀면 중간부 하우징이 상,하부 하우징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축소되고, 이와 동시에 신축 구동수단이 작동하여 브러시부를 하부 하우징의 안쪽으로 잡아당겨서 수납시키게 된다.
이러한 선행기술 1, 2, 3에 의한 화장용 펜들은 상기와 같은 작동을 통해 브러시부를 하우징 내부로 출입시키면서 보관시에는 길이가 최소화되고 사용시에는 손으로 잡기 좋게 늘어남으로써, 보관성이 좋고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하우징들이 각각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구성부품이 분실될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 1, 2, 3에 의한 화장용 펜들은 신축 구동수단들의 구성부품들이 복잡, 조밀하게 형성되고, 조립의 정밀성이 요구되는 기어 또는 벨트 구동방식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작이 난해하고, 제조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작동이 불량한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자는 여성들이 색조화장을 할 때 사용하는 화장용 펜에서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을 안출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브러시, 펜슬, 스틱 등의 형태로 된 화장품 도포구를 스프링식에 의해 하우징 내부로 출입시킴으로써, 보관 및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조립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적게 들며 화장품 도포구의 인,출입 작동이 원활하면서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화장용 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펜의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펜의 인입상태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펜의 인출상태 단면도
도4는 도2의 X-X선 단면도
도5는 도3의 Y-Y선 단면도
도6은 도3의 Z-Z선 단면도
도7a~7d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펜의 인출동작을 나타내는 작동도
도8a~8c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펜의 인입동작을 나타내는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하부하우징 20:상부하우징 30:가이드채널관
31:축방향홈 31a:깊은홈 31b:얕은홈
32:축방향턱 40:가압체 41:헤드부
42:푸싱부 43:안내돌기 44:캠부
44a:산 44b:골 50:회전체
51:축선돌기 60:작동로드 70:화장품 도포구
71:솔대 72:브러시부 80: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1 내지 도6에 도시되는 화장용 펜은 하부 및 상부하우징(10)(20)들과, 상기 하부하우징(10)의 상단부근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채널관(30)과, 상기 가이드채널관의 안내를 받아 상하로 이동하는 가압체 (40)와, 상기 가압체(40)의 누름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회동하는 회전체(50)와, 상기 가압체(40)의 하부에 연결 고정되는 작동로드(60)와, 상기 작동로드(60)에 연결되어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화장품 도포구(70)와, 상기 작동로드(60)의 외측에 끼워져 회전체(50)를 상부로 밀어 올리고 있는 스프링(8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하우징(10)은 하부가 뾰족하고 상하면이 개방되는 원통체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하우징(20)은 하면이 개방되고 상면이 막힌 원통체로 형성되어 그 하반부가 상기 상부하우징(20)의 하부 외측에 끼워져 상하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구속된다.
상기 가이드채널관(30)은 하부하우징(10)의 내부에 들어가 상단부근에 꼭 끼워져 고정 설치된다.
이 가이드채널관(30)은 그 상반부 내주벽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치되면서 축선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된 다수의 축방향홈(31)과 축방향턱(3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축방향홈(31)들은 깊은 홈(31a)과 얕은 홈(31b)이 번갈아 형성되고, 상기 축방향턱(32)들과 얕은 홈(31b)들은 그 하단부들이 일측 방향으로 일정하게 경사진 빗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체(40)는 상부하우징(20)의 내부에 들어가 상단부근에 고정되는 헤드부(41)를 갖고, 그 헤드부(4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채널관(30)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푸싱부(42)를 구비한다.
푸싱부(42)의 하부 외주벽면에는 상기 가이드채널관(30)의 축방향홈(31)들에 끼워져 상하 이동시 직선운동하도록 안내받는 안내돌기(43)가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푸싱부(42)의 하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산(44a)과 골(44b)을 반복 형성하여서 된 캠부(4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50)는 상기 하부하우징(10)의 내부에 들어가 상기 가압체(40)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 회전체(50)는 그 몸체의 내부에 수직한 관통홀이 형성되고, 외주벽면에는 상기 가이드채널관(30)의 축방향홈(31)들 중 깊은 홈(31a)에 상하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지면서 직선으로 뻗어 내린 축선돌기(51)가 형성된다.
축선돌기(51)는 얕은 홈(31b)에는 끼워지지 않고 걸리도록 한 돌출두께로 형성된다. 그리고, 축방향홈(31)은 상단면이 상기 가이드채널관(30)의 축방향턱(32)과 얕은 홈(31b)들의 하부 빗면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체(4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캠부(44)에 접지되어 있다.
상기 작동로드(60)는 봉 형상을 가진다.
이 작동로드(60)는 상기 하부하우징(10)의 중심축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체(50)의 관통홀을 여유있게 통과하면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가압체(40)의 하부에 연결 고정된다.
상기 화장품 도포구(70)는 상기 하부하우징(10)의 내측 최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작동로드(60)의 하단에 연결 고정되며, 하부하우징(10)의 하측 입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화장품 도포구(70)는 상기 작동로드(60)의 하단에 고정되는 솔대(71)와 그 솔대(71)의 하부에 구비되는 브러시(72)로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80)은 코일스프링의 형태를 갖고 상기 작동로드(60)의 외측에 끼워진다. 이때 스프링(80)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하우징(10)의 하단 내주벽면에 접지되며 그 상단부는 상기 회전체(50)의 하면에 접지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스프링(80)은 상부에서 접지되어 있는 회전체(50)를 상부로 밀어 올려 줌으로써, 결과적으로 가압체(40), 작동로드(60) 및 화장품 도포구 (70) 등이 항상 상부로 밀려 올라가도록 하는 힘을 작용시켜 준다.
본 고안에 따라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장용 펜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본 고안의 화장용 펜은 도2의 도시와 같이, 화장품 도포구(70)의 브러시부 (72)가 하부 및 상부하우징(10)(20)들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 보관된다.
이때, 상부하우징(20)은 하부하우징(10)의 윗부분에 결합되어 있으며, 가압체(40)와 회전체(50)는 윗부분으로 올라가 그것들의 안내돌기(43)와 축선돌기(51)가 가이드채널관(30)의 축방향홈(31)들 중 깊은 홈(31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게 된다.
스프링(80)은 신장된 상태에서 회전체(50)을 상부로 밀어 올려 줌으로써, 회전체(50)와 맞닿아 있는 가압체(40)와 가압체(40)에 연결된 작동로드(60) 및 작동로드에 연결된 화장품 도포구(70)를 전체적으로 상측으로 밀어 올려서, 화장품 도포구(70)의 브러시부(72)가 하부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보관된 상태에서 하부하우징(10)을 잡고 상부하우징 (20)의 머리부분을 하측으로 밀면, 상부하우징(20)이 하부하우징(10)의 외주면을 타고 하향 이동하면서, 하부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화장품 도포구(70)의 브러시부(72)가 직선으로 하향 이동하면서 하부하우징(10)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인출동작을 행하게 된다.
이 인출동작은 상부하우징(20)을 하측으로 밀어 스프링(80)의 탄발력을 이기고 하부하우징(10)의 아래쪽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부하우징(20)에 고정된 가압체(40)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그것에 연결된 작동로드(60) 및 화장품 도포구(70)가하부로 이동하여 브러시부(72)가 하부하우징(10)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동시에, 가압체(40)가 회전체(50)를 하부로 밀어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가압체(40)의 안내돌기(43)와 회전체(50)의 축선돌기(51)는 도7a의 도시와 같이, 가이드채널관(30)의 축방향홈(31)들 중 깊은 홈(31a)을 타고 하부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일정높이 만큼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회전체(50)의 축선돌기(51)가 깊은 홈(31a)으로부터 완전히 빠져 나오면서 도7b의 도시와 같이 축선돌기(51)의 상단면에 형성된 빗면이 가압체(40)의 하부에 형성된 캠부(44)의 산(44a) 등성이를 타고 골(44b) 부분쪽으로 미끄럼 회동하여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상부하우징(20)에 가한 누름력을 해제하면 도7c의 도시와 같이, 스프링(80)의 탄발력에 의해 회전체(50)가 상부로 약간 이동하여서 가이드채널관 (30)의 축방향턱(32) 하단부에 형성된 빗면에 회전체(50)의 축선돌기(51)에 형성된 상단 빗면이 걸린 후, 도 7d의 도시와 같이 가이드채널관(30)의 빗면을 타고 가이드채널관(30)의 얕은 홈(31b) 쪽으로 미끄럼 회동하여 얕은 홈(31b)의 하단에 형성된 빗면에 걸려 구속된다. 이때, 회전체(50)의 축선돌기(51)는 그 회동력으로 가압체(40)를 상부로 밀어내 골(44b) 부분으로부터 이탈하는 과정을 거친다.
위와 같은 작동과정을 거치면 스프링(80)은 압축된 상태로서, 그 탄발력은 회전체(50)에만 가하게 되고 탄발력을 받는 회전체(50)는 가이드채널관(30)에 의해 상부로 올라가려는 작용이 억제된다.
그리고, 가압체(40)와 그것과 연결된 작동로드(60) 및 화장품 도포구(70)는스프링(80)의 탄발력을 전혀 받지 않고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 화장품 도포구(70)의 브러시부(72)가 도3의 도시와 같이 하부하우징(10)의 밖으로 빠져나와 정지된 상태가 유지된다.
본 고안의 화장용 브러시는 위와 같은 일련의 동작을 통해 브러시부가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화장할 수 있게 된다.
화장을 마친 후, 본 고안에 의한 화장용 펜을 보관코자 할 때에는 상부하우징(20)을 또 다시 하측으로 밀면 도8a의 도시와 같이, 가압체(40)가 하부로 이동하여 회전체(5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하측으로 이동된 회전체(50)는 가이드채널관(30)의 얕은 홈(31b)의 구속으로부터 해제되어 가압체(40)의 산(44a) 등성이를 타고 가압체(40)의 골(44b) 부분으로 미끄럼 회동하여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상부하우징(20)에 가한 누름력을 해제하면 도8b의 도시와 같이, 스프링(80)의 탄발력에 의해 회전체(50)가 상부로 약간 이동하여서 가이드채널관 (30)의 축방향턱(32) 하단부에 형성된 빗면에 축선돌기(51)의 상단 빗면이 걸린 후, 도8c의 도시와 같이 가이드채널관(30)의 빗면을 타고 가이드채널관(30)의 깊은 홈(31a)쪽으로 미끄럼 회동하여 깊은 홈(31a)내로 삽입되면서 가압체(40)를 상부로 밀어낸다.
이때, 회전체(50)에 의해 상부로 밀려 올라가는 가압체(40)는 그것에 연결 고정된 상부하우징(20)과 작동로드(60) 및 화장품 도포구(70)를 위로 잡아 당김으로써, 외부에 노출되어 있던 브러시부(72)를 도2의 도시와 같이 하부하우징(10)의내부로 수납시켜 줌으로써,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화장용 펜은 보관할 때에는 브러시부를 하부하우징의 내부로 수납시켜 주고 사용할 때에는 브러시부를 외부로 인출시켜 줌으로써, 보관성이 좋고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화장품 도포구를 하우징의 내부로 출입시키기 위한 인출입수단의 구성이 스프링구동 방식을 통해 단순화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적게 들며, 내구성이 높고, 화장품 도포구의 인,출입 작동이 원활하면서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등 여러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하부가 뾰족하고 상하면이 개방되는 원통체로 형성되는 하부하우징(10)과;
    하면은 개방되고 상면이 막힌 원통체로 형성되어 그 하반부가 상기 상부하우징(20)의 하부 외측에 끼워져 상하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구속되는 상부하우징 (20)과;
    상기 하부하우징(10)의 내부에 들어가 상단부근에 고정 설치되며, 그 상반부 내주벽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치되면서 축선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된 다수의 축방향홈(31)과 축방향턱(32)을 구비하고 있되, 상기 축방향홈(31)들은 깊은홈(31a)과 얕은홈(31b)이 번갈아 형성되고, 상기 축방향턱(32)들과 얕은홈(31b)들은 그 하단부들이 일측 방향으로 일정하게 경사진 빗면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채널관(30)과;
    상기 상부하우징(20)의 내부에 들어가 상단부근에 고정되는 헤드부(41)를 갖고, 헤드부(4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채널관(30)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푸싱부(42)를 구비하며, 푸싱부(42)의 하부 외주벽면에는 상기 가이드채널관(30)의 축방향홈(31)들에 끼워져 상하 이동시 직선운동하도록 안내받는 안내돌기(43)가 다수 형성되고, 푸싱부(42)의 하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산(44a)과 골(44b)을 반복 형성하여서 된 캠부(44)가 구비되어 있는 가압체(40)와;
    상기 하부하우징(10)의 내부에 들어가 상기 가압체(40)의 하부에 위치하며, 그 몸체의 내부에는 수직한 관통홀이 형성되고, 외주벽면에는 상기 가이드채널관(30)의 축방향홈(31)들 중 깊은 홈(31a)에 상하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지면서 직선으로 뻗어 내린 축선돌기(51)가 형성되며, 축선돌기(51)는 얕은홈(31b)에는 끼워지지 않고 걸리도록 한 돌출두께로 형성되고 그 상단면이 상기 가이드채널관(30)의 축방향턱(32)과 얕은 홈(31b)들의 하부 빗면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체(4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캠부(44)에 접지되어 있는 회전체 (50)와;
    상기 하부하우징(10)의 중심축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체(50)의 관통홀을 여유있게 통과하면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가압체(40)의 하부에 연결 고정되는 작동로드(60)와;
    상기 하부하우징(10)의 내측 최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작동로드(60)의 하단에 연결 고정되며, 하부하우징(10)의 하측 입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화장품 도포구(70)와;
    상기 작동로드(60)의 외측에 끼워지고 그 하단부는 상기 하부하우징(10)의 하단 내주벽면에 접지되며 그 상단부는 상기 회전체(50)의 하면에 접지되어서 그 회전체(50)를 상부로 밀어 올리고 있는 스프링(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도포구(70)는 상기 작동로드(60)의 하단에 고정되는 솔대(71)와 그 솔대(71)의 하부에 구비되는 브러시(7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펜.
KR2020000037090U 2000-12-29 2000-12-29 화장용 펜 KR200230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090U KR200230174Y1 (ko) 2000-12-29 2000-12-29 화장용 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090U KR200230174Y1 (ko) 2000-12-29 2000-12-29 화장용 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174Y1 true KR200230174Y1 (ko) 2001-07-03

Family

ID=73094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090U KR200230174Y1 (ko) 2000-12-29 2000-12-29 화장용 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1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400B1 (ko) 2011-05-30 2012-11-26 이성환 펜타입 화장품 용기
KR101254467B1 (ko) * 2004-02-11 2013-04-12 샤넬 파르퓜 보트 화장품, 클린징 또는 제약 화합물용 디스펜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467B1 (ko) * 2004-02-11 2013-04-12 샤넬 파르퓜 보트 화장품, 클린징 또는 제약 화합물용 디스펜서
KR101269352B1 (ko) 2004-02-11 2013-05-29 샤넬 파르퓜 보트 화장품, 클린징 또는 제약 화합물용 디스펜서
KR101204400B1 (ko) 2011-05-30 2012-11-26 이성환 펜타입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8300A (en) Case for an applicator element
KR20090025175A (ko) 인출식 브러쉬
ES2374676T3 (es) Dispositivo de soporte de un artículo cosmético y procedimiento asociado.
EP0443819B1 (en) Make-up brush device
TWI623284B (zh) Coating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ating container
US4687364A (en) Retractable mascara applicator
KR200230174Y1 (ko) 화장용 펜
JP2016501652A (ja) 化粧品組成物を塗布するための装置
KR200206100Y1 (ko) 화장용 펜
KR100368016B1 (ko) 화장용 펜
KR102067015B1 (ko) 펜슬형 화장 도구
CN109311342A (zh) 带有可借助单个按钮伸缩的两个头部的手动装置
CN108433326B (zh) 一种拉拔式口红包装管
CN1325004C (zh) 多用途外壳
JPH0316567Y2 (ko)
JP2013027557A (ja) 液体化粧料塗布容器
US20200297097A1 (en) Double-spiral lipstick tube
KR200230173Y1 (ko) 화장용 펜
KR101478353B1 (ko) 노크가압식 필기구
KR200248344Y1 (ko) 브러쉬 일체형 속눈썹 성형구
KR19980065134A (ko) 길이 가변식 펜슬
CN218228457U (zh) 按压式笔
CN219962183U (zh) 一种含有膏状化妆物的化妆工具
CN215776143U (zh) 一种按压隐藏式化妆品包装筒
KR20170109734A (ko) 솔대 내부에 출몰식 브러시를 구비한 립글로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