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083Y1 - 견운모를 이용한 벽돌 - Google Patents

견운모를 이용한 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083Y1
KR200230083Y1 KR2020000031934U KR20000031934U KR200230083Y1 KR 200230083 Y1 KR200230083 Y1 KR 200230083Y1 KR 2020000031934 U KR2020000031934 U KR 2020000031934U KR 20000031934 U KR20000031934 U KR 20000031934U KR 200230083 Y1 KR200230083 Y1 KR 200230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brick
present
block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9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위택
이규해
Original Assignee
백위택
이규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위택, 이규해 filed Critical 백위택
Priority to KR20200000319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0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083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견운모를 이용하여 벽돌과 블록을 제조하되, 공지된 표준형의 모양으로 제조된 벽돌에 관한 것이다.
특히 벽돌과 블록을 제조시 천연의 견운모를 잘게 부수어 혼합하여 탈취효과, 방음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벽돌, 블록이다.
종래 시멘트와 골재를 혼합하여 만든 벽돌을 이용하여 건물을 건축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수분이 많은 지역의 경우 건물내에 온도와 양분이 적당하면 곰팡이가 발생한다.
이는 거주자의 건강이나 위생상에도 많은 문제점을 안겨줄 소지가 크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다공성 구조를 가진 견운모를 벽돌이나 블록의 재료로 구성하여 건물내의 냄새, 유해물질의 흡수를 하여 곰팡이가 피지 않도록 하기 위한 벽돌이나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고안을 건축물에 적용할 경우 진동의 흡수 ,소음의 방지, 원적외선의 방출로 인한 혈액순환 촉진등의 유익한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Description

견운모를 이용한 벽돌{Brick}
본 고안은 견운모를 이용하여 벽돌과 블록을 제조하되, 공지된 표준형의 모양으로 제조된 벽돌에 관한 것이다.
특히 벽돌과 블록을 제조시 천연의 견운모를 잘게 부수어 혼합하여 탈취효과, 방음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벽돌과 블록이다.
종래 시멘트와 골재를 혼합하여 만든 벽돌을 이용하여 건물을 건축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된다.
첫째, 일반적으로 수분이 많은 지역의 경우 건물내에 온도와 양분이 적당하면 곰팡이가 발생한다.
이는 거주자의 건강이나 위생상에도 많은 문제점을 안겨줄 소지가 크다.
둘째, 이러한 현상은 저층이나 지하에는 더 커다란 문제점으로 발생된다.
즉, 우리가 오래된 건물의 지하에 설치된 영업소나 영업매장을 방문하게 되면 쉽게 느낄수 있는 것은 그곳에서 피어나는 쾌쾌한 냄새이다.
이는 거의 곰팡이류의 냄새로 위생상에도 좋지 않고, 영업실적도 떨어트리는 결과를 가져온다.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방수공사를 들수 있는데, 이러한 방수공사로는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수는 없었다.
즉, 방수공사가 완벽하게 되기는 너무 힘든작업이고, 수분이 많은 지역에서 발생되는 곰팡이는 해결방안이 전무했다.
본 고안은 다공성 구조를 가진 견운모를 벽돌이나 블록의 재료로 구성하여 건물내의 냄새, 유해물질의 흡수를 하여 곰팡이가 피지 않도록 하기 위한 벽돌이나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원적외선이 발생되는 견운모를 벽돌의 재료로 구성하여 건강에도 도움을 주되, 강도 높은 벽돌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벽돌을 쌓고, 미장을 위한 몰탈을 제공하여 언제든지 손쉽게 작업을 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건축용 벽돌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건축용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견운모입자를 도시한 확대도
본 고안에서 천연견운모는 천연 게르마늄 음이온이 함유된 암석이다.
본 고안은 벽돌(10)이나 블록(20)을 천연견운모를 주 재료로 사용하여 생산하고 이 벽돌(10)이나 블록(20)을 건물의 건축시 내장벽에 이용함에 탈취효과를 강화한 것이다.
이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공지된 표준형의 벽돌과 블록에 있어서,
천연암석인 다공(5)을 보유한 견운모를 지름이 2~5㎜정도로 잘게 갈아 부수어 견운모 입자(1)를 만들고, 이 견운모입자(1)와 시멘트(2)를 고루 섞되 그 질량의 비율이 8:2의 비율로 하여 생산된 건축용 벽돌이다.
천연암석인 다공(5)을 보유한 견운모를 지름이 2~5㎜정도로 잘게 갈아 부수어 견운모 입자(1)를 만들고, 이 견운모입자(1)와 시멘트(2)를 고루 섞되 그 질량의 비율이 8:2의 비율로 하여 생산된 건축용 블록이다.
이상의 벽돌(10)이나 블록(20)을 쌓고, 미장하기 위한 것으로
천연암석인 다공(5)을 보유한 견운모를 지름이 1~2㎜정도로 잘게 갈아 부수고,
시멘트(2)와 첨가제(일반골제, 모래, 방수제등)를 고루 섞되 그 비율이 5:2:3의 비율로 하여 생산하고 이를 적당량 포장한 몰탈이다.
이상이 본 고안의 주요한 골자이고, 더욱 상세한 설명은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벽돌과 블록의 제조과정과 제조방법은 공지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 공지된 제조방법에 의해 공지된 벽돌이나 블록(도 1과 2에 도시된)을 제조하되, 그 구성의 재료를 달리하여 탈취작용에 높은 효과를 가져오는 건축재를 생산하고자 한다.
즉, 천연의 암석인 견운모를 잘게 부수어 약 입자의 지름이 2~5㎜로 만든다.
이 견운모입자(1)를 현미경을 통해 세밀히 보면 도시된 도 3과 같은 무수히 많은 다공(5)이 구성되어 있다.
다공은 탈취작용과 진동, 소음의 흡수를 용이하게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견운모입자(1)를 시멘트(2)와 섞되 질량의 비율이 8;2이 되게 한다.
섞어진 견운모입자(1)와 시멘트(2)를 공지의 벽돌과 블럭을 만드는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한다.
이 제조된 벽돌(10)과 블록(20)의 입자들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 도 2의 일점쇄선안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벽돌(10)과 블록(20)을 쌓고, 미장을 하기위한 몰탈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천연의 암석인 견운모를 잘게 부수어 약 견운모입자(1)의 지름이 1~2㎜로 만든다.
미장을 위한 몰탈의 경우 그 입자가 고와야 하기에 당연하다.
이 입자에 시멘트(2)와 첨가제를 섞되 질량의 비율이 5:2:3이 되게 한다.
여기서 첨가제는 색소,일반골제, 모래, 방수제등이 포함된다.
이렇게 생산된 몰탈는 본고안의 벽돌과 블록을 쌓고, 미장을 할때 사용된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몰탈을 일정량 포대에 담아 판매함으로 산업상 이용하려 한다.
그럼 여기서 본 고안이 건축물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지하나 수분이 많은 건물의 내장벽으로 이용되는 본 고안의 벽돌이나 블록을 쌓되 본 고안의 견운모입자(1)가 포함된 몰탈를 이용하여 쌓고, 미장도 본 고안의 몰탈를 이용하여 쌓는다.
이렇게 구성된 건물의 내벽은 다공을 보유한 견운모의 입자에 의해 놀라운 탈취작용이 이루어져 곰팡이의 발생을 근원적으로 차단한다.
따라서 본 고안품인 벽돌,블록,몰탈은 건축중인 건물의 지하실이나 수분이 높은 지역의 건물의 내벽으로 사용되어 높은 탈취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품인 벽돌,블록,몰탈는 수분이 높아 곰팡이가 핀 기존의 건축된 건축물의 수리용재료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벽돌과 몰탈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지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져온다.
탈취효과 : 견운모가 다공성구조를 가지고 있기에 냄새, 유해물질등을 흡수, 흡착력이 강하여 이를 재료로 만든 벽돌로 지은 집은 곰팡이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항상 실내 공간을 쾌적하게 유지해 준다.
소음과 진동의 차단효과 : 다공성 구조를 가진 견운모는 그 무수한 기공의 영향으로 소음, 진동을 차단시킬 수 있다.
축열효과 : 상태에 따라 대류 및 복사에 의한 열이동이 적기 때문에 기존 콘크리트 건물에 비하여 축혈효과가 뛰어 나다.
시멘트 독성의 중화효과 : 견운모가 시멘트와 섞이어 벽돌, 블록, 몰탈을 이루면 시멘트의 고착작용을 방해함이 없이 그 독성만을 중화 시킨다.
전자파 방지효과 : 견운모가 방사능을 차단하고 전자파를 방지할 수 있다.
원적외선 효과 : 말초모세혈관의 운동을 강화시킴에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고안을 사우나실이나 찜질방의 벽면으로 사용한다면 보다 높은 효과를 볼 수 있다.

Claims (1)

  1. 표준형의 벽돌과 블럭에 있어서,
    천연암석이며, 다공(5)을 보유한 약2~5mm정도의 크기로 형성된 견운모 입자(1)와;
    첨가물들을 단단히 고착시키는 고운 가루인 공지의 시멘트(2)가;
    서로 물과 섞이고 조합하되 약 질량 비율이 8:2로 결합되고, 고착된 견운모를 이용한 벽돌.
KR2020000031934U 2000-11-15 2000-11-15 견운모를 이용한 벽돌 KR2002300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934U KR200230083Y1 (ko) 2000-11-15 2000-11-15 견운모를 이용한 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934U KR200230083Y1 (ko) 2000-11-15 2000-11-15 견운모를 이용한 벽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456A Division KR20020037513A (ko) 2000-11-14 2000-11-14 견운모를 이용한 벽돌 및 포장용 몰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083Y1 true KR200230083Y1 (ko) 2001-07-03

Family

ID=73091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934U KR200230083Y1 (ko) 2000-11-15 2000-11-15 견운모를 이용한 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0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N180060B (ko)
KR20060134839A (ko) 흙집
KR200230083Y1 (ko) 견운모를 이용한 벽돌
KR100237363B1 (ko) 황토(黃土)를 주재료로 한 건축용 미장재와 그 제조방법
KR20020037513A (ko) 견운모를 이용한 벽돌 및 포장용 몰탈
KR100798096B1 (ko) 건축자재용 모르타르 및 그 제조방법
KR100389945B1 (ko) 건강주택 시공방법 및 건축자재
KR100463377B1 (ko) 사문옥석을 이용한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건물시공방법
KR200328912Y1 (ko) 기능성 문양과 이중경도로 이루어진 건강성 층간 소음저감재
KR200286072Y1 (ko) 건축용 숯패널
KR100503641B1 (ko) 세라믹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용 자재의 제조방법 및그를 이용한 건축용 자재
KR200335136Y1 (ko) 조립식 기능성 조적용 건축자재
KR20050093265A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다층 건물의 층간진동 및 소음저감재
KR100547954B1 (ko) 불연, 단열, 보온, 흡 . 차음 기능을 갖는 기포 콘크리트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02713Y1 (ko) 황토가옥 벽체 구조
KR20090126660A (ko) 허니컴판재와 그를 이용한 황토몰탈의 시공방법
KR20020018921A (ko)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물질을 함유하는 황토흙의 제조방법및 그 황토흙으로 시공하는 방법.
KR100532540B1 (ko) 불연, 단열, 보온, 흡차음 기능을 갖는 뜬바닥 구조층용기포 콘크리트 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80665A (ko) 불연, 단열, 보온, 흡 . 차음 기능을 갖는 기포 콘크리트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77211B1 (ko) 건축용 판넬
KR100547952B1 (ko) 불연, 단열, 보온, 흡 . 차음 기능을 갖는 기포 콘크리트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67262B1 (ko) 황토벽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77153Y1 (ko) 난방구조를 갖는 방바닥에 시공되는 시멘트 몰탈
KR100532541B1 (ko) 불연, 단열, 보온, 흡차음 기능을 갖는 뜬바닥 구조층용기포 콘크리트 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193429A (zh) 一种基于速生草的功能砌块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