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506Y1 -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 - Google Patents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506Y1
KR200229506Y1 KR2019990005931U KR19990005931U KR200229506Y1 KR 200229506 Y1 KR200229506 Y1 KR 200229506Y1 KR 2019990005931 U KR2019990005931 U KR 2019990005931U KR 19990005931 U KR19990005931 U KR 19990005931U KR 200229506 Y1 KR200229506 Y1 KR 200229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fireplace
visual effect
fan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9426U (ko
Inventor
박상근
Original Assignee
한완수
한성에너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완수, 한성에너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완수
Priority to KR2019990005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506Y1/ko
Publication of KR200000194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4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506Y1/ko

Links

Landscapes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난로와 같은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장식용 벽난로에 적용되는 불꽃장치를 온풍기의 전면부로 부착시켜, 온풍기의 작동과 함께 난방이 이루어지는 시각효과를 동시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시각에 호소하는 벽난로 불꽃장치를 온풍기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온풍기의 작동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함과 동시에 체감되는 난방온도가 상승되도록함에 있으며, 온풍기 자체에 공간활용도를 증진시킨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연료의 연소열을 송풍팬에 의해 강제송풍하여 난방을 행하며 전면부로 송풍구가 구성되는 온풍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과 동시에 작동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다수개의 반사구를 갖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하부 중앙으로 설치되며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적색빛을 발하는 광원이 뚜껑을 갖는 케이스로 내설되는 불꽃장치를 상기 전면부로 구성되는 설치홈에 삽설시켜, 상기 송풍팬에 의한 열풍작용과 함께 불꽃장치에 의한 벽난로 시각효과를 공유하는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를 갖는 온풍기를 구체적인 수단으로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HOT AIR HEATER}
본 고안은 벽난로와 같은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장식용 벽난로에 적용되는 불꽃장치를 온풍기의 전면부로 부착시켜, 온풍기의 작동과 함께 난방이 이루어지는 시각효과를 동시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 난방수단으로 사용되는 연료를 연소열을 강제송풍방식ㄷ르오 외부배출하여 실내를 난방하는 온풍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바, 이와같은 온풍기는 취급이 용이하여 일반가정뿐만아니라 소규모 사무실에서도 그 사용이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상기한 종래 온풍기의 구성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이는 크게 사각형체를 취하는 본체케이스와 연료공급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인데, 여기서 상기 본체 케이스는 전면부로 온풍을 배출하는 통로인 송풍구와, 표시장치와 제어버튼으로 구성되는 제어부가 형성되는 것이며, 이와같은 전면부는 온풍기의 실내설치시 사용자가 상기 제어부 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송풍구를 통해 실내 전역으로 온풍이 순환되도록 하기위해 그 전면부가 정면으로 설치되는 것이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온풍기는 제어부의 표시장치, 즉 연소상태 및 열풍의 강제송풍상태를 나타내는 LCD표시장치 또는 발광다이오드 등이사용자가 인식하기에는 너무 작은 형태로서 구성됨에 따라 온풍기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온풍기의 근접한 위치로 이동한 후 표시장치를 확인해야하는 번거로움을 갖는 것이었다.
한편, 가정 또는 위락시설 등지에는 실내난방 및 실내장식물로서 벽난로를 설치하는바, 이와같은 벽난로 중에는 시각효과만을 갖는 벽난로, 즉 전구의 불빛을 이용해 불꽃이 타는 것처럼 보이게하는 불꽃장치가 설치되는 벽난로가 그 일례로서 사용되는데.
이와같은 불꽃장치를 이용한 벽난로는 활용도가 낮은 실내공간인 실내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불꽃이 피어오르는 시각효과를 제공하므로서 훈훈함을 느끼게하는 것으로, 이는 별도로 연통을 구성시키지 않고도 벽난로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서 공간활용도를 향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위와같이 시각효과를 갖는 불꽃장치는 벽난로 뿐만아니라 기타 난방기기에도 적용하므로서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온풍기에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온풍기자체에 공간활용도를 부여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시각에 호소하는 벽난로 불꽃장치를 온풍기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온풍기의 작동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함과 동시에 체감되는 난방온도가 상승되도록함에 있으며, 온풍기 자체에 공간활용도를 증진시킨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연료의 연소열을 송풍팬에 의해 강제송풍하여 난방을 행하며 전면부로 송풍구가 구성되는 온풍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과 동시에 작동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다수개의 반사구를 갖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하부 중앙으로 설치되며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적색빛을 발하는 광원이 뚜껑을 갖는 케이스로 내설되는 불꽃장치를 상기 전면부로 구성되는 설치홈에 삽설시켜, 상기 송풍팬에 의한 열풍작용과 함께 불꽃장치에 의한 벽난로 시각효과를 공유하는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를 갖는 온풍기를 구체적인 수단으로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의 작용상태도
도 4는본 고안에 따른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면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온풍기 본체 2 : 불꽃장치 3 : 구동모터 4 : 회전축
5 : 광원 6 : 케이스 7 : 뚜껑 11 : 연소장치
12 : 송풍팬 13 : 전면부 14 : 설치홈 31 : 고정구
41 : 반사구 42 : 베어링고정구 51 : 전구 52 : 소켓
61 : 결합공 62 : 소켓설치공 63 : 나사공 71 : 힌지결합구
H : 온풍기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의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의 결합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의 작용상태도이고, 도 4는본 고안에 따른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로서, 그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도형체를 취하는 본체(1)의 내부로 연소장치(11)와 송풍팬(12)이 구성되며 전면부로는 송풍구(131)와 설치홈(14)이 형성되는 온풍기(H)와, 구동모터(3)와 길이를 갖는 회전축(4)과 광원(5)이 케이스(6)에 내설되는 불꽃장치(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온풍기(H)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형체를 취하되, 대개가 직사각형체를 취하며 내부로 연료의 연소장치(11)와 송풍팬(12)이 구성되고, 전면부(13)로는 송풍구(131) 및 제어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온풍기(H)에 있어, 상기 송풍구(131)는 전면부 상단에 위치하게 되는 것인데, 이러한 송풍구(131)의 하부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은 설치홈(14)을 구성시키되, 설치홈(14)의 입구는 사각형으로 구성되고, 내부 상,하면과 측면은 후술하는 불꽃장치 케이스(6)를 지지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와같은 설치홈(14)의 구성위치는 온풍기(H)의 전면 중앙부로 구성시켜, 후술하게 될 불꽃장치(2)의 설치시 불꽃장치(2)가 작동되는 것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설치홈(14)의 내부 상,하면은 그 끝단으로 나사결합공을 갖는 연장편(141)을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꽃장치(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사면을 갖는 뚜껑(7)이 상부면으로 힌지결합되는 케이스(6)의 내부로 구동모터(3)와 회전축(4)과 광원(5)이 설치되므로서 구성되는 것으로,
여기서, 불꽃장치(2)의 뚜껑(7)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라스틱 사출물로서, 그 상부면으로는 나무형상을 구성시킴이 바람직한데, 이와같은 뚜껑(7)은 상기 케이스(6)의 상부면으로 결합되어지되, 일측 끝단이 힌지결합구(71)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스(6)는 상부면이 개방되는 삼각형체를 취하되, 상부측으로는 전술한 뚜껑(7)의 힌지결합구(71)가 결합되도록 결합공(61)이 구성되고, 바닥면중앙으로는 원형통공으로서의 소켓설치공(62)이 형성되며, 배면 각 모서리로는 나사공(63)이 형셩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케이스(6)는 전술한 설치홈(14)에 삽입될 수 있도록 그 크기를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3)는 통상의 전동모터와 상이함이 없이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유발하는 기기로서 일측으로는 고정공(311)을 갖는 고정구(31)가 결합고정되는 것인데, 이와같은 구동모터(3)의 축을 연장구성시키므로서 구성되는 회전축(4)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형봉상체를 취하되, 그 외둘레로는 가닥형태의 반사구(41)가 묶음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교차되는 형식으로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회전축(4)의 끝단으로는 축 고정수단으로서 베어링고정구(42)를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사구(41)는 빛을 반사하는 재질(은박지 등)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광원(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케이스(6)의 바닥면 중앙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통상의 발광수단인 전구(51)와 이 전구(51)가 설치되도록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소켓(52)으로 구성되는 것인데, 위와같이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전구(51)는 외둘레로 적색막을 피복시켜, 발하는 빛이 적색을 띠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온풍기(H)의 결합상태와 이에따른 각 구성요소간의 상호 작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면;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우선 상기 케이스(6)의 내측벽 중앙으로 상기구동모터(3)와 회전축(4)을 결합고정시키되, 이는 구동모터(3)의 고정구(31)와 회전축(4)의 베어링고정구(42)를 통한 나사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고, 케이스(6)의 소켓설치공(62)으로는 전구(51)가 결합된 소켓(52)을 설치하며, 이 케이스(6)의 상부면으로는 힌지결합구(71)에 의해 상기 뚜껑(7)을 힌지결합하므로서 불꽃장치(2)를 조립한 후,
상기 온풍기(H)의 전면부(13)로 구성되는 설치홈(14)으로 상기 불꽃장치(2)를 삽설하되, 설치홈(14)의 연장편(141)으로 구성된 나사공(142)과 케이스(6)의 나사공(63)을 통한 나사결합으로 고정하므로서 그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축(4)은 광원(光源)인 상기 전구(51)의 상부면으로 고정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구동모터(3)와 소켓(52)은 각각의 외부전원선이 상기 온풍기(H)의 송풍팬(12)과 동시에 작동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H)는 전면부(13)가 정면에 위치되도록 일반가정 또는 사무실 등지에 설치되어 실내난방을 행하게 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별도로 구성되는 제어부를 조작하여 온풍기(H)를 작동시키게 되면, 송풍구(131)를 통해 열풍이 배출되어 실내를 난방케 되는데,
이때, 열풍을 강제송풍하기 위해 송풍팬(12)이 작동되면, 이 송풍팬(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모터(3)와 소켓(52)으로의 통전이 이루어져 회전축(4)이 회전함과 동시에 전구(51)가 점등되고,
이후, 광원(光源)으로부터 발하는 빛은 회전축(4)으로 구성되는 반사구(41)에 의한 반사작용으로 뚜껑(7)의 외부에서 불꽃이 활활 타오르는 시각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즉, 상기 광원(光源)이 발하는 빛은 적색을 띠게 되므로 반사구(41)를 통해 반사되는 빛은 불꽃과 유사하게 되며, 이렇게 반사되는 적색빛이 뚜껑(7)으로 형성되는 통나무형상과 어우러져 벽난로에서 나무가 타는 시각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와같은 불꽃장치(2)의 작동은 송풍팬(12)의 강제송풍과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시각과 촉각을 통해 훈훈함을 동시에 체감하게 되며, 사용자의 시각을 통해 용이하게 감지되어지는 불꽃장치(2)의 작동유,무에 따라 온풍기(H)의 작동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불꽃장치(2)의 광원을 교체할 경우에는 힌지결합된 뚜껑(2)을 개방한 후, 교체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온풍기(H)는 전면부를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돌출되는 형태로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는 종래 벽난로 불꽃장치를 온풍기 본체의 전면부에 설치하여 온풍기 자체가 갖는 난방기능에 벽난로가 갖는 시각효과를 부여하므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체감되는 난방온도의 상승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공간활용도를 증진시킨 것이며,
특히, 불꽃장치가 온풍기의 송풍팬과 동시에 작동되므로 온풍기의 작동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생산자 및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연료의 연소열을 송풍팬(12)에 의해 강제송풍하여 난방을 행하며 전면부(13)로 송풍구(131)가 구성되는 온풍기(H)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12)과 동시에 작동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모터(3)와, 이 구동모터(3)에 의해 회전하며 다수개의 반사구(41)를 갖는 회전축(4)과, 이 회전축(4)의 하부 중앙으로 설치되며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적색빛을 발하는 광원(5)이 뚜껑(7)을 갖는 케이스(6)로 내설되는 불꽃장치(2)를 상기 전면부(13)로 구성되는 설치홈(14)에 삽설시켜, 상기 송풍팬(12)에 의한 열풍작용과 함께 불꽃장치(2)에 의한 벽난로 시각효과를 공유토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
KR2019990005931U 1999-04-12 1999-04-12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 KR200229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931U KR200229506Y1 (ko) 1999-04-12 1999-04-12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931U KR200229506Y1 (ko) 1999-04-12 1999-04-12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426U KR20000019426U (ko) 2000-11-15
KR200229506Y1 true KR200229506Y1 (ko) 2001-07-19

Family

ID=54761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931U KR200229506Y1 (ko) 1999-04-12 1999-04-12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50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339B1 (ko) * 2004-12-14 2006-05-22 윤신덕 모형 벽난로
KR101034028B1 (ko) * 2011-02-16 2011-05-11 가온테크(주) 숯부작 온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426U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1253B2 (en) Multiple functions LED night light with air freshener
US10890331B2 (en) Cooking appliance
US5909534A (en) Ventilator with far infrared generators
JP4327100B2 (ja) 視覚上の効果を示すための装置
EP3449186B1 (en) Electric fire apparatus
US20180098382A1 (en) Electric fireplace
KR200229506Y1 (ko) 벽난로 시각효과를 갖는 온풍기
KR200219902Y1 (ko) 히터겸용 선풍기
KR100620457B1 (ko) 취침등
CN212252810U (zh) 电壁炉
KR200271694Y1 (ko) 시각적 효과를 갖는 전기 벽난로
CN214223217U (zh) 具有仿真火焰的取暖器
CN212565953U (zh) 电壁炉
CN217030998U (zh) 天花灯支架及天花灯
WO2019114300A1 (zh) 一种彩光便携式风扇
JP3220981U (ja) 照明装置
CN217540854U (zh) 一种带仿真效果的取暖器
KR101964198B1 (ko) 엘이디가 구비된 쿨링 팬
KR200304506Y1 (ko) 팬히터
KR200316314Y1 (ko) 온풍기
KR200194145Y1 (ko) 히터 겸용 선풍기
KR200213903Y1 (ko) 다중가변갓을 구비한 스탠드
KR19980029335U (ko) 송풍이 가능한 양면 전기히터
KR200214852Y1 (ko) 할로겐램프가 장착된 난방장치
KR200312517Y1 (ko) 온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