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492Y1 - 보정렌즈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안경 - Google Patents

보정렌즈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492Y1
KR200229492Y1 KR2020010003412U KR20010003412U KR200229492Y1 KR 200229492 Y1 KR200229492 Y1 KR 200229492Y1 KR 2020010003412 U KR2020010003412 U KR 2020010003412U KR 20010003412 U KR20010003412 U KR 20010003412U KR 200229492 Y1 KR200229492 Y1 KR 200229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rame
hinge
correction
spec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학
Original Assignee
이창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창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3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4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492Y1/ko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에 있어서 표준 렌즈와 보정 렌즈가 하나의 안경 렌즈에 위치하여 형성된 안경이며 특히, 보정 렌즈의 위치를 사용자의 조건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안경인데, 이는 안경테에 힌지 구조를 형성하고, 표준렌즈와 보정 렌즈가 구획되어 형성된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테의 중앙에 힌지핀을 설치하여 안경테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어 보정 렌즈의 위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변경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안경이다.

Description

보정렌즈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안경{Spectacles enabling the change of positoin of correction lenz}
본 고안은 통상의 시력 보정용 안경에 있어서 표준 렌즈의 일 측에 보조용 보정렌즈를 일체로 형성한 안경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보정렌즈의 위치를 상, 하방향으로 전환 할 수 있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즉, 표준 렌즈의 상측에 보정 렌즈를 형성한 렌즈테의 수평방향 중앙에 회전되는 힌지를 부설하여 시각에 따라 보정렌즈의 위치를 하부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통상적인 종래의 보정렌즈가 형성된 안경은 주로 하측에 보정렌즈를 형성하여 안경테에 렌즈가 고정되어 있는 구조여서 시각에 관계없이 항상 보정렌즈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안경의 착용상태 또는 사용환경에 따라 보정렌즈의 위치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일반렌즈와 보정렌즈가 렌즈의 굴절률에 따른 착시 현상을 일으키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보행시나 계단 통행시 안전사고를 유발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시각에 따라 보정렌즈의 위치를 적절하게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안경의 안경테 내부에서 상, 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수단을 형성하고 그 회전수단에 의하여 회전된 렌즈테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안경테에 부설하여 변경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안경을 제공하는 목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 위치고정 수단의 주요부 확대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 위치고정수단의 주요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위치고정 수단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안경 2 ; 안경테
2c ; 다리힌지 2d ; 결합편
3 ; 안경다리 4 ; 록커
5 ; 렌즈테 6a ; 표준렌즈
6 ; 렌즈 6b ; 보정렌즈
7b ; 연결힌지핀 7a ; 힌지핀
8a ; 연결힌지홀 8 ; 연결암
9 ; 힌지홀 10 ; 코걸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체적인 구성은 일반적인 안경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 것이며 안경테의 내부에 렌즈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을 부설하고 회전된 렌즈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주요부 분해사시도로서, 안경테(2)는 상하로 분리되는 안경테A(2a)와 안경테B(2b)로 이루어진 독립된 부품으로서 공통적으로 연결암(8)으로 연결되어 있고 서로 결합되는 접촉부에 힌지홀(9)과 연결 힌지홀(8a)을 형성하되 안경테A(2a)의 양측 끝단에는 결합편(2d)을 형성하고 중간에는 코걸이(10)를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안경테B(2b)의 양단에는 다리힌지(2c)를 형성하여 안경다리(3)를 조립함과 아울러 전후방으로 협지하는 ??편(4a)을 일체로 형성한 록커(4)가 부설된다.
한편, 상기 안경테A, B(2a, 2b)의 내측으로는 표준 렌즈(6a)와 보정렌즈(6b)를 일체로 가공한 두 개의 렌즈(6)를 고정한 렌즈테(5)를 연결힌지핀(7b)으로 연결하고 양 측 끝단에는 힌지핀(7a)을 일체로 부설하여 상기 안경테A, B(2a, 2b)에 형성한 힌지홀(9)과 연결힌지홀(8a)에 끼운 후 나사로 체결한 구성의 안경(1)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표준렌즈(6a)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일정영역을 보정렌즈(6b)로 가공된 일체형 렌즈(6)이며 그 보정렌즈(6b)의 위치는 상부 또는 하부의 위치에 관계없이 놓이게 되는 것이나 본 고안에서는 상측에 형성된 것을 기본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첨부도면 도 4에 표현된 바와 같이 렌즈(6)를 고정한 렌즈테(5)는 중앙에 부설된 힌지핀(7a)이 안경테(2)에 형성된 힌지홀(9)에 삽입되어 있고 두 개의 렌즈(6)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힌지핀(7b)은 안경테(2)의 연결힌지홀(8a)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그 힌지홀들(8a, 9)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360°회전하게 됨으로 보정렌즈(6b)의 위치는 상하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되게 된다.
이때, 회전하는 렌즈테(5)가 안경테(2)에서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여 주는 작용을 하는 록커(4)는 안경테B(2b)에 일체로 형성된 다리힌지(2c)에 부설되어 첨부도면 도5와 같이 전후의 록편(4a)으로 협지 되어 있다.
따라서, 렌즈테(5)를 회전시키려면 상기 록커(4)를 외측방향으로 젖혀 록편(4a)을 이탈시켜 준 다음에 회전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되는 렌즈(6)는 상부에 위치한 보정렌즈(6b)가 하부로 이동됨으로 사용자는 독서 등과 같이 사물이 가깝고 아래에 놓여 있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생활에서와 같이 비교적 거리가 먼 사물을 보게 되는 경우 하부에 위치한 보정렌즈(6b)가 시각에 간섭을 주는 경우 록커(4)를 해제한 다음 렌즈테(5)를 회전시켜 보정렌즈(6b)를 상부에 위치시킨 후 록커(4)를 다시 접으면 렌즈(6)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은 사용자의 사용환경에 따라 보정렌즈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됨으로 시각에 방해가 되는 경우와 필요하게 되는 경우에 적절하게 보정렌즈의 위치를 변경하여 시각의 범위에 놓이도록 하여 시각을 보다 편하게 하여줌으로 눈의 피로를 최소화 하여주는 장점의 매우 진보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하나의 렌즈에 표준 렌즈와 보정 렌즈를 일체로 형성한 안경에 있어서,
    표준 렌즈의 일부 영역에 보정 렌즈를 일체로 형성한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테의 외측에 힌지핀을 형성하고;
    안경의 골격을 이루는 안경테의 내측에 힌지홀을 형성하여 상기 렌즈테의 힌지핀을 결합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 렌즈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안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안경테A(2a)와 안경테B(2b)로 분리되는 안경테(2)는 연결암(8)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안경테(2)의 결합되는 접촉부에 힌지홀(9)과 연결 힌지홀(8a)을 형성하고;
    상기 안경테(2)에서 안경테A(2a)의 양측 끝단에 결합편(2d)을 형성하고 중간에는 코걸이(10)를 일체로 형성하였고;
    안경테B(2b)의 양단에는 다리힌지(2c)를 형성하여 안경 다리(3)를 조립함과 아울러 록편(4a)을 일체로 형성한 록커(4)가 부설되고;
    두 개의 렌즈(6)를 고정한 렌즈테(5)를 연결 힌지핀(7b)으로 연결하고 양 측 끝단에 힌지핀(7a)을 일체로 부설하여 상기 안경테(2)에 형성한 힌지홀(9)과 연결힌지홀(8a)에 끼운 후 나사로 체결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 렌즈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안경.
KR2020010003412U 2001-02-12 2001-02-12 보정렌즈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안경 KR2002294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412U KR200229492Y1 (ko) 2001-02-12 2001-02-12 보정렌즈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412U KR200229492Y1 (ko) 2001-02-12 2001-02-12 보정렌즈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492Y1 true KR200229492Y1 (ko) 2001-07-19

Family

ID=73062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412U KR200229492Y1 (ko) 2001-02-12 2001-02-12 보정렌즈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4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063B1 (ko) * 2019-06-19 2020-11-12 주식회사 에이치투씨디자인 안경장식띠 고정구조
KR102274507B1 (ko) * 2020-10-15 2021-07-06 서주연 상하 조립형 안경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063B1 (ko) * 2019-06-19 2020-11-12 주식회사 에이치투씨디자인 안경장식띠 고정구조
WO2020256532A1 (ko) * 2019-06-19 2020-12-24 주식회사 에이치투씨디자인 안경장식띠 고정구조
KR102274507B1 (ko) * 2020-10-15 2021-07-06 서주연 상하 조립형 안경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2262B1 (ko) 접는 안경
KR101154691B1 (ko) 안경테용 안경다리 결합 구조
CN100582870C (zh) 眼镜
KR100252450B1 (ko) 안경
KR200229492Y1 (ko) 보정렌즈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안경
TWM633893U (zh) 眼鏡
JP2006030807A (ja) 眼鏡フレームおよびレンズハンガー
US6494573B1 (en) Foldable spectacle frame with engag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spectacle frame in unfolded state while wearing
KR20090092948A (ko) 안경 조립체
JP3167304U (ja) 老眼鏡兼用拡大鏡
KR101648408B1 (ko) 측부고정구가 구비된 안경
KR200250321Y1 (ko) 복층렌즈를 가지는 안경
KR200188390Y1 (ko) 안경테의 힌지 구조
KR102455587B1 (ko) 안경 다리 어셈블리
KR100293308B1 (ko) 절첩가능한케이스수납형안경
JP2952482B1 (ja) フロント傾動可能な眼鏡フレーム
KR200276616Y1 (ko) 안경다리 연결구조
KR200251364Y1 (ko) 공구없이 분해 조립이 가능한 안경
KR0131290Y1 (ko) 신축 조절식 안경
JP2000122002A (ja) フロント傾動式眼鏡フレーム
KR200239012Y1 (ko) 길이조정이 가능한 안경테
KR100201801B1 (ko) 안경용 보조 렌즈
TWI609210B (zh) Eyeglasses for easy replacement of temples
JP3616081B2 (ja) 補助眼鏡及び眼鏡
KR200294138Y1 (ko) 보조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