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298Y1 - 과일보호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과일보호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298Y1
KR200229298Y1 KR2020010000438U KR20010000438U KR200229298Y1 KR 200229298 Y1 KR200229298 Y1 KR 200229298Y1 KR 2020010000438 U KR2020010000438 U KR 2020010000438U KR 20010000438 U KR20010000438 U KR 20010000438U KR 200229298 Y1 KR200229298 Y1 KR 2002292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ruit
case
coupling
cov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4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성
Original Assignee
김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성 filed Critical 김완성
Priority to KR20200100004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2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2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298Y1/ko

Links

Landscapes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 연결구와 커버결합수단을 구비하는 한 쌍의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공지의 과일보호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과일을 내장할 수 있도록 움푹 패여 과일내장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한 쌍의 커버와, 상기 커버 상단에 돌출 되어 형성되어지되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어 꼭지끼움구멍을 형성하므로써 빗물이 고이고 케이스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일보호용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에 환형 요부와 환형돌부를 형성하므로써 커버가 겹쳐 결합되도록 하므로써 빗물이 커버의 맞닿은 틈사이로 스며드는 것을 최소화하고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또 커버결합구의 상단에 일체로 유연하면서 상부는 직경이 좁고 하부는 직경이 넓은 원뿔형상의 꼭지밀착구를 형성하므로써 과일 꼭지의 크기에 상관없이 꼭지밀착구가 꼭지를 중심으로 밀착되도록 구성하므로써 빗물을 흘려보낼 수 있게 되어 빗물을 타고 꼭지와 케이스 틈을 이용해 침입하는 균과 벌레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은 커버의 상단에 일체로 가지결속수단을 형성하므로써 본고안 케이스를 나뭇가지에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속시키므로써 낙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커버의 하부 통기공을 형성하되 통기공을 돌기의 중앙에 형성하므로써 농약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과일보호용 케이스{Protective case for fruits}
본 고안은 과일보호용 케이스(cap)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외부의 물리적인 영향으로 부터 과일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하고, 낙과(落果)를 방지하기 위한 과일보호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농가에서는 조류 및 병충해, 우박 등과 같은 기후조건, 일조량 및 농약의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오래전 부터 종이를 씌워 과일을 보호하여 왔다.
그러나 종이와 같이 연질의 재질로 제조된 과일보호용구는 기후의 영향에 의해 쉬 훼손될 뿐만 아니라 조류나 산짐승에 의한 피해는 방지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조류나 우박, 병충해 등과 같은 물리적 영향으로부터 과일을 보호하기 위하여 플라스틱을 재질로 반구형의 커버를 결합시켜 구형의 케이스를 만들어 과일을 씌우는 고안이 실용신안등록출원 20-1998-0018165호 및 20-1998-0019601호, 20-1999-0016644호 등으로 국내에 다수건 출원된 바 있다.
그러나 이들 과일보호용 케이스(이하 과일케이스이라 한다)들은 모두 과일의 표피를 감싸 외부의 물리적인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는 것만을 주안점을 두고 고안된 것들로, 과일의 생장과 상품성을 극대화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과일의 낙과 및 케이스의 결합,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농약 및 병해충 방지를 위한 수단들이 신중하게 고려되어 있지 못한 단점을 갖는 것이다.
즉 종래의 과일케이스는 과일의 낙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스의 일측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에 끈이나 스프링을 끼워 나뭇가지에 단순히 걸어두는 것에 불과한 것이어서 케이스가 강풍에 좌우로 심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과일과 가지가 손상을 입기도 하고 심한 경우 케이스 안에서 낙과(落果)가 발생하기도 하는 폐단을 갖는다.
특히 종래의 과일케이스는 케이스와 나뭇가지를 결속하기 위한 끈이나 스프링을 별도로 준비하여야 할뿐만 아니라, 한손으로는 케이스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 케이스의 구멍에 나뭇가지 결속수단(끈, 스프링)을 끼운 다음 다시 이를 나뭇가지에 걸거나 묶어야 하므로 사다리에 올라서서 결속작업을 하여야 하는 작업자들에게 이는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고, 이 과정에서 어린 과일은 쉬 손상되어 상품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폐단을 갖게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과일케이스는 케이스를 형성함에 있어 두개의 반구형 커버가 서로 가장자리를 밀착한 상태로 결합돌기 및 결합공에 의해 끼워맞춤형태로 결합되어지는데, 이는 커버의 가장자리에 결합돌기 및 결합공이 다수개 형성되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공이 서로 일치하여야 하는데 작업자들이 짧은 순간에 이들을 하나하나 끼워 맞추기란 용이한 일이 아니고 결합 또한 견고하지 못한 폐단을 갖는 것이다. 특히 병균과 벌레들은 하늘에서 내리는 빗물을 타고 케이스 내부로 침투하게 되는데 종래의 과일케이스는 상단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빗물이 고이도록 구성되어 있거나 과일꼭지와 케이스 사이나 커버와 커버의 맞닿아 있는 사이 에 큰 틈이 형성되므로 병충해로부터 거의 무방비상태로 노출되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이처럼 종래의 과일케이스는 플라스틱재질로 사출금형에 의해 성형제작되어지므로 예전에 사용되던 종이나 비닐봉지에 비해 매우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작업이 곤란하고, 과일의 낙과방지에 대한 신중한 고려가 없으며, 케이스의 용이한 결합 및 빗물을 타고 유입되는 병충해와 농약 살포시 유입되는 농약에 대해 만족할 만한 방지수단을 가지고 있지 못한 것이어서 작업인력이 태부족하고 상품성이 뛰어난 과일의 수확을 원하는 농가에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종래의 과일케이스이 갖는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연결구와 커버결합수단을 구비하는 한 쌍의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공지의 과일보호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과일을 내장할 수 있도록 움푹 패여 과일내장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한 쌍의 커버와, 상기 커버 상단에 돌출 되어 형성되어지되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어 꼭지끼움구멍을 형성하므로써 빗물이 고이고 케이스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일보호용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에 환형 요부와 환형돌부를 형성하므로써 커버가 겹쳐 결합되도록 하므로써 빗물이 커버의 맞닿은 틈사이로 스며드는 것을 최소화하고, 커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결합구의 상단에 일체로 유연하면서 상부는 직경이 좁고 하부는 직경이 넓은 원뿔형상의 꼭지밀착구를 형성하므로써 과일 꼭지의 크기에 상관없이 꼭지밀착구가 꼭지를 중심으로 밀착되도록 구성하므로써 빗물을 흘려보낼 수 있게 되어 빗물을 타고 꼭지와 케이스 틈을 이용해 침입하는 균과 벌레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의 상단에 일체로 가지결속수단을 형성하므로써 본고안 케이스를 나뭇가지에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의 하부에만 통기공을 형성하되 상기 통기공을 돌기의 중앙에 형성하므로써 농약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 - 본 고안에 있어서 커버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있어서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 -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 - 본 고안에 있어서 꼭지밀착구가 가는 과일꼭지를 감싸고 있는 상
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5 - 본 고안에 있어서 꼭지밀착구가 굵은 과일꼭지를 감싸고 있는 상
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6 -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7 - 본 고안 제 일실시예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 8 -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9 - 도 8의 C-C선 단면도.
도 10 -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과일보호용 케이스(case)
100,100a: 커버(cap) 200: 연결구
300: 커버결합수단 310: 환형(環形) 요부(凹部)
320: 환형(環形) 돌부(突部)
400,400a: 커버결합구 410: 꼭지끼움구멍
420: 결합돌기 421: 결합공
430: 결합공 431: 걸림돌기
500: 나뭇가지 결속(結束)수단(이하 가지결속수단이라 한다)
510: 결속밴드 511: 걸림턱
520: 결속 철(鐵)끈 521: 철사
700,700a: 꼭지밀착구
A: 과일 B: 꼭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크게 연결구와 커버결합수단을 구비하는 한 쌍의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공지의 과일보호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과일을 내장할 수 있도록 움푹 패여 과일내장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한 쌍의 커버(100,100a)와, 상기 커버(100,100a) 상단에 돌출 되어 형성되어지되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어 꼭지끼움구멍(410)을 형성하게 되는 커버결합구(400,400a)로 구성되어진 것이다.
상기 커버결합구(400,400a)의 결합은 커버결합구(40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기(420)와, 커버결합구(400a)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421)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결합구(400,400a)의 상단에는 상기 커버결합구(400,400a)와 일체로 연성(軟性)이 좋도록 얇게 성형한 상부의 직경은 좁고 하부의 직경이 넓은 원뿔형상의 꼭지밀착구(700,700a)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꼭지밀착구(700,700a)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는 과일꼭지(B)를 감싸게 될 경우에는 직경이 좁은 꼭지밀착구(700,700a)의 상부만 과일꼭지를 감싸게 되므로 빗물이 꼭지밀착구(700,700a)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되어 케이스(1) 내부로 스며들지 않게 되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꼭지밀착구(700,700a)가 굵은 과일꼭지(B)를 감싸게 될 경우에는 직경이 좁은 꼭지밀착구(700,700a)의 상부는 벌어진 상태로 꼭지의 외주면에 밀착되며꼭지밀착구(700,700a)의 하부가 꼭지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감싸게 된다.
물론 가지의 굵기에 따라 꼭지밀착구(700,700a)의 밀착위치는 달라질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어느 부분이 밀착되더라도 꼭지밀착구(700,700a)는 꼭지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게 되므로 빗물은 꼭지밀착구(700,700a)와 케이스(1)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은 꼭지밀착구(700,700a)에 의해 과일꼭지(B)를 중심으로 외주면을 밀착하게 되어 빗물이 케이스(1)의 표면으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하고, 비를 타고 침입하는 병충해의 유입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일측의 커버(100)에는 환형 요부(310)를 형성하되 타측의 커버(100a)에는 환형돌부(320)를 형성하므로써 상기 환형 요부(310)에 환형돌부(320)가 겹쳐져 결합되어 빗물이 케이스(1)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흘러내리도록 하였으며, 또한 커버(100,100a)의 양쪽에서 눌러주는 것만으로도 커버(100,100a)가 결합되도록 하여 작업자들의 커버결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환형돌부(320)는 완만한 구릉(丘陵)형상을 가지므로 환형 요부(310)에 겹쳐짐이 매우 용이해진다.
이처럼 환형돌부(320)와 환형 요부(310)의 겹침에 의해 결합된 커버(100,100a)는 구릉형상의 요부와 돌부에 의해 턱을 형성하게 되므로 빗물의 스며듦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커버결합구(400,400a)의 상단 또는 커버(100,100a)의 상단에 가지결속수단(500)을 커버결합구(400,400a)와 일체(一體)로 형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 가지결속수단(5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결합구(400,400a)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한 파형(波形)의 걸림턱(511)이 형성된 결속밴드(511)와, 상기 결속밴드(511)을 끼워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걸림돌기(431)를 구비하는 결합공(430)으로 구성될수도 있으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사(521)가 내장된 결속철끈(520)이 역시 커버결합구(400,400a)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결속철끈(520)은 결합공(430)에 끼워서 결합하는 결속밴드(511)와는 달리 나뭇가지에 감거나 묶어서 결속할 수 있어 매우 결속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결속철끈(520)은 양측 커버결합구(400,400a)의 상단에 2개씩 형성하여 일단 서로 꼬게되면 커버결합구(400,400a)가 결합되어지며, 이후 남은 부분만을 나뭇가지에 결속할 수도 있다. 이는 커버결합구(400,400a)에 결합수단인 결합돌기(420)와 결합공(421)을 형성하지 않아도 커버결합구(400,400a)를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스(1) 내로 유입되는 농약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커버(100,100a)의 하부에만 다수개의 통기공(610)을 형성하되 상기 통기공(610)을 측면으로 부터의 농약의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한 돌기(600)의 중앙에 형성한 것이다.
물론 상기 통기공(610)은 케이스(1) 내부와 관통된 상태로 상기 통기공(610)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진다.
또 본 고안 커버(100,100a)는 반투명 플라스틱재질로 성형제작되어지는데 과일의 생장에 있어 태양광의 투광율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이때 커버(100,100a)를 통한 투광량의 정도를 과일의 종류에 따라 차별화하되 30~40%의 범위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은 과일을 감싸서 보호하게 되는 한 쌍의 커버 상단에 커버결합구를 돌출 되고 밀착되도록 형성하므로써 빗물의 고임과 유입을 최소화하였으며, 연성이 좋고 원뿔형상의 꼭지밀착구에 의해 굵기에 상관없이 과일꼭지를 감싸게 되므로 어린 과일 때는 꼭지와 케이스 사이에 큰 틈이 생기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은 한 쌍의 커버 각각의 가장자리에 환형 요부와 환형돌부를 형성하므로써 커버가 겹쳐 결합되도록 하되 커버의 좌우에서 한번 눌러주는 것만으로도 커버가 결합되도록 하여 보다 편리한 커버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며, 커버의 맞닿은 틈사이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가지결속수단이 커버의 상단에 일체로 성형되어 형성되어지므로 따로 결속수단을 휴대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결속수단은 매우 견고하게 나뭇가지에 본 고안 과일보호용 케이스를 붙들어 맬 수 있는 것이므로 강한 바람에도 충분히 과일을 보호할 수 있어 낙과를 방지할 수 있고, 나뭇가지에 결속수단을 감기만 하면 결속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자들의 작업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은 커버의 하부에 통기공을 구비하는 돌기를 형성하므로써 상부와 측방향에서 분사되는 농약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9)

  1. 연결구와 커버결합수단이 형성된 한쌍의 커버를 구비하는 과일보호용 케이스에 있어서 반투명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는 한쌍의 커버(100,100a)와, 상기 커버(100,100a) 상단에 돌출되어 형성되어지되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어 꼭지끼움구멍(410)을 형성하게 되는 커버결합구(400,400a)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보호용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결합구(400,400a)의 결합은 커버결합구(40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기(420)와, 커버결합구(400a)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421)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보호용 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결합구(400,400a)의 상단에 연성이 좋도록 얇게 성형한 원뿔형상의 꼭지밀착구(700,700a)가 일체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보호용 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결합구(400,400a)의 상단에 일체로가지결속수단(500)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보호용 케이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결속수단(500)은 파형의 걸림턱(511)이 형성된 결속밴드(511)와, 상기 결속밴드(511)을 끼워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걸림돌기(431)를 구비하는 결합공(430)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보호용 케이스.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결속수단(500)은 철사(521)가 내장된 결속철끈(520)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보호용 케이스.
  7. 제 1항의 한쌍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일측의 커버(100)에는 환형요부(310)를 형성하되 타측의 커버(100a)에는 환형돌부(320)를 형성하므로써 상기 환형요부(310)에 환형돌부(320)가 겹쳐져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보호용 케이스.
  8. 제 1항 한쌍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100,100a)의 하부에 다수개의 돌기(600)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600)의 중앙에 케이스 내부로 관통되도록통기공(610)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보호용 케이스.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30~40%범위의 투광량을 갖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보호용 케이스.
KR2020010000438U 2001-01-08 2001-01-08 과일보호용 케이스 KR2002292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438U KR200229298Y1 (ko) 2001-01-08 2001-01-08 과일보호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438U KR200229298Y1 (ko) 2001-01-08 2001-01-08 과일보호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298Y1 true KR200229298Y1 (ko) 2001-07-04

Family

ID=7306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438U KR200229298Y1 (ko) 2001-01-08 2001-01-08 과일보호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29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315B1 (ko) * 2001-11-06 2004-02-19 김주섭 과일 보호구
KR101282106B1 (ko) 2012-10-16 2013-07-04 이승준 과일 보호캡과 체결수단을 갖는 낙과방지용 보호주머니
KR20220001452U (ko) * 2020-12-15 2022-06-22 김남걸 낙과 방지용 커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315B1 (ko) * 2001-11-06 2004-02-19 김주섭 과일 보호구
KR101282106B1 (ko) 2012-10-16 2013-07-04 이승준 과일 보호캡과 체결수단을 갖는 낙과방지용 보호주머니
KR20220001452U (ko) * 2020-12-15 2022-06-22 김남걸 낙과 방지용 커버
KR200496328Y1 (ko) * 2020-12-15 2023-01-04 김남걸 낙과 방지용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7255B2 (en) Fence post protector
KR20200043140A (ko) 다기능 가로수 보호 기구
KR200229298Y1 (ko) 과일보호용 케이스
US20100180537A1 (en) Method for Protecting a Plant Structure Against Wind Damage
JP2881601B2 (ja) 葡萄用果実袋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40083002A1 (en) Garden plant protector
KR200251517Y1 (ko) 과수용 과일봉지
KR200214086Y1 (ko)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
KR200429381Y1 (ko) 낙과 방지용 과일 보호구
KR100398667B1 (ko) 생육중의 과일 보호용 플라스틱 케이스
KR200166863Y1 (ko) 과일보호구
KR200217212Y1 (ko) 과수원용 과일 보호케이스
KR20150003885U (ko) 재배중인 과일 보호커버
KR200221038Y1 (ko) 과수용 과일봉지
KR200166783Y1 (ko) 과수용과일봉지
KR102611607B1 (ko) 작물지주 결착용 클립
CN211047995U (zh) 一种防治蜗牛上下树的阻隔器
KR200348616Y1 (ko) 과일 보호 덮개
CN208300495U (zh) 街道树木杆部保护栅
KR200266986Y1 (ko) 과수원용과일보호커버
KR100281438B1 (ko) 수확기의 과실을 야생조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용기
KR200317680Y1 (ko) 과일낙과 방지구
CA2150726A1 (en) Lawn trimmer protector
KR200186126Y1 (ko) 망을 구비한 과실보호용 커버
KR200206683Y1 (ko) 과일 보호용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