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086Y1 -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086Y1
KR200214086Y1 KR2020000022620U KR20000022620U KR200214086Y1 KR 200214086 Y1 KR200214086 Y1 KR 200214086Y1 KR 2020000022620 U KR2020000022620 U KR 2020000022620U KR 20000022620 U KR20000022620 U KR 20000022620U KR 200214086 Y1 KR200214086 Y1 KR 200214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case
tie
fixed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6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재
Original Assignee
이석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재 filed Critical 이석재
Priority to KR20200000226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0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086Y1/ko

Link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과일수확 전의 생장시에 각종 병충해나 조류로부터 과일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비-바람에 의해 나뭇가지(32)에서 과일(30)이 떨어지는 것을 구조적으로 막아 정상적인 과일생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반원구형태로 중간에 케이스이음부(16)를 두고 접힘동작되면서 일정 가압으로 상호 주연부위가 끼움결합되는 좌우 한쌍의 케이스몸체(11)(12)가 형성되며, 이들 케이스몸체(11)(12)의 하단부위에는 빗물이나 수분이 자연배수될 수 있도록 다수의 빗물낙수공(13)이 일정간격으로 관통형성되고, 반대편 위쪽의 상단중앙에는 서로 끼움접면시에 과일(30)의 과일꼭지(31)가 통과될 수 있도록 꼭지통과공(17)이 관통형성되며, 아울러 해당 나뭇가지(32)에 이들 케이스몸체(11)(12)가 묶어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꼭지통과공(17)을 중심으로 이들 양쪽의 케이스몸체(11)(12) 상단에 각각 고정묶기구(20)와 묶기고정편(25)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A fruit protected case for preventive fall}
본 고안은 과수나무의 과일을 보호하면서 자연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일수확 전의 생장시에 각종병충해나 조류로부터 과일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비-바람에 의해 나뭇가지에서 과일이 떨어지는 것을 구조적으로 막아 정상적인 과일생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은 비옥한 토양으로부터의 영향공급과 함께 적당한 기온 및 강우량 그리고 햇빛을 통해 싱싱하게 생장할 수 있으며, 아울러 과일수확에 있어 정상적인 생장기간이 지나 자연적으로 떨어지기 전에 나뭇가지에 열린 이들 과일들을 따서 서늘한 장소에 보관하게 된다.
그런데, 과일수확 전의 생장시기에 각종 병충해나 조류로부터 이들 과일들이 정상적으로 보존 생장되지 못하고 훼손되기 쉽고, 아울러 자연의 비-바람에 의해 미처 완숙되기도 전에 나뭇가지에서 떨어질 수도 있어, 이들 과일들을 각종 저해요소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수단이 강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지금까지는 도 6의 부직포를 이용한 과일보호봉지에서 보는 바와같이, 과일 생장시에 과일(130)을 각종 병충해로부터 보호하고 과일(130)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반 종이봉지에 비해 투과성이 좋아 병해의 발생이 적고, 아울러 적당한 투광도가 있어 과일 숙성에 별다른 장해가 없는 부직포를 이용한 과일보호봉지(110)를 많이 이용하고 있으나, 각종 조류로부터 확실하게 보호되기 어렵고 비-바람에 의해 나뭇가지(132)에서 과일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특히 그 사용이 1회성에 그쳐 다음 사용시에 새로 구입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은 물론 1회 사용되고 버려지는 자원낭비로 인한 환경오염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지금까지의 과일보호용지를 사용함에 따른 제반 불편한 점을 해결하는 것은 물론 1회성이 아닌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면서도 조류도부터 과일이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창안된 것으로, 과일수확 전의 생장시에 각종 병충해나 조류로부터 과일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비-바람에 의해 나뭇가지에서 과일이 떨어지는 것을 구조적으로 막아 정상적인 과일생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좋은 생장환경에서 과일이 생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 요부절결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 열림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 저면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의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 안에 과일이 넣어진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를 해당 과일의 나뭇가지에 묶어 고정시킨 사용상태도.
도 6은 종래의 부직포를 이용한 과일보호봉지로 나뭇가지의 과일을 덮어씌워 보호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과일보호케이스 11,12 : 케이스몸체
13 : 빗물낙수공 14 : 끼움단홈
15 : 결합돌기 16 : 케이스이음부
17 : 꼭지통과공 20 : 고정묶기구
21 : 걸림돌단 22 : 삽입유도단
25 : 묶기고정편 26 : 묶기끼움공
27 : 끼움안내홈 30 : 과일
31 : 과일꼭지 32 : 나뭇가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는, 반원구 형태로 중간에 케이스이음부를 두고 접힘동작되면서 일정 가압으로 상호 주연부위가 끼움결합되는 좌우 한쌍의 케이스몸체가 형성되며, 이들 케이스몸체의 하단부위에는 빗물이나 수분이 자연배수될 수 있도록 다수의 빗물낙수공이 일정간격으로 관통형성되고, 반대편 위쪽의 상단중앙에는 서로 끼움접면시에 과일의 과일꼭지가 통과될 수 있도록 꼭지통과공이 관통형성되며, 아울러 해당 나뭇가지에 이들 케이스몸체가 묶어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꼭지통과공을 중심으로 이들 양쪽의 케이스몸체상단에 각각 고정묶기구와 묶기고정편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양쪽의 케이스몸체는 열가소성의 폴리에틸렌수지로 성형되면서 중간의 케이스이음부를 중심으로 접힘동작되어 서로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그 주연단부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결합돌기와 그에 대응조립되는 끼움단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묶기구는 묶기끼움공이 관통되고 그 중앙 양쪽으로 끼움안내홈이 확장절결된 상기 묶기고정편을 통해 끼워져서 잡아당기지는 해당 길이에서 상기 묶기고정편에 끼움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마다 걸림돌단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10)의 접힘상태 닫힘구조 및 펼침상태를 열림구조를 각각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본체케이스(11)(12)의 하단부위에 다수의 빗물낙수공(13)이 관통형성된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10)의 저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아울러, 도 4는 본 고안의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10) 안에 나뭇가지(32)의 과일(30)을 집어넣은 예시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10) 안에 집어넣어진 과일(30)로부터의 과일꼭지(31)가 케이스몸체(11)(12)의 꼭지통과공(17)을 통해 통과되면서 고정묶기구(20)와 묶기고정편(25)으로 나뭇가지(32)에 과일보호케이스(10)가 안정되게 묶어고정된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10)는 과수나무의 과일(30)을 각종 병충해나 조류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하면서 과일(30) 자체의 하중이나 비-바람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구조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압출성형이 우수하면서 내산, 내수성이 양호하여 자연속에서도 장기간 훼손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열가소성의 폴리에틸렌수지로 접힘동작이 가능하면서 결합닫힘시에 원형구형태가 이루어지게 성형제작된다.
즉,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같이 원형구형태의 과일(30)이 양쪽으로 접힘동작되는 케이스몸체(11)(12) 안에 집어넣어질 수 있도록, 이들 양쪽의 케이스몸체(11)(12)는 각각 반원구형태로 형성되어 접힘동작되는 중간부위인 케이스이음부(16)가 유연재질로 확장형성되며, 이는 이들 양쪽의 케이스몸체(11)(12)가 하나의 몸체로서 접힘결합되어 원형구형태로 닫혀되거나 또는 펼침분리되어 각각 반원구형태로 열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이들 양쪽의 케이스몸체(11)(12)는 중간의 케이스이음부(16)를 중심으로 접힘동작되면서 서로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한쪽의 케이스몸체(11)의 주연단부가 전체적으로 끼움돌부를 형성하면서 다른 한쪽의 케이스몸체(12)의 주연단부는 끼움요부를 형성할 수도 있고,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같이 이들 양쪽의 케이스몸체(11)(12)의 주연단부에 각각 부분적으로 끼움단홈(14)와 그에 대응조립되는 결합돌기(15)가 형성되어 상호 끼움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양쪽의 케이스몸체(11)(12)의 하단부위에는 빗물이나 수분이 자연배수될 수 있도록 다수의 빗물낙수공(13)이 일정간격으로 관통형성되며, 이들 각각의 빗물낙수공(13)들은 케이스몸체(11)(12) 내부로부터의 빗물이나 수분이 아래쪽으로 용이하게 낙하 배수되면서 외부와의 공기통풍이 원활하도록 원형형태로 30-40개 정도 관통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케이스몸체(11)(12)의 상단부위 중앙에는 서로 끼움접면시에 과일(30)의 과일꼭지(31)가 통과될 수 있도록 각각 반원형태의 꼭지통과공(17)이 관통형성되며, 아울러 해당 나뭇가지(32)에 이들 케이스몸체(11)(12)가 묶어고정될 수 있도록 원형태로 관통형성되는 상기 꼭지통과공(17)을 중심으로 이들 양쪽의 케이스몸체(11)(12) 상단에 각각 고정묶기구(20)와 묶기고정편(25)이 돌출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묶기구(20)는 반대편 케이스몸체(12)에 돌출형성되는 묶기고정편(25)에 끼워져서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길게 돌출형성되면서 앞쪽으로 좁아지는 삽입유도단(22) 뒤쪽에 일정간격으로 걸림돌단(21)이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고정묶기구(20)가 체결고정되는 묶기고정편(25)은 관통형성되는 묶기끼움공(26)의 중앙 양쪽으로 상기 고정묶기구(20)의 해당 걸림돌단(21)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끼움안내홈(27)이 확장절결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1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같이, 양쪽의 케이스몸체(11)(12)를 서로 펼쳐열어 나뭇가지(32)에 달려있는 해당 과일(30)을 한쪽의 케이스몸체(12) 안에 집어넣은 후에 다른 한쪽의 케이스몸체(11)를 일정가압으로 살짝 눌러 반대편의 상기 케이스몸체(12)와 상호 체결시키게 되면, 도 5에서 보는 바와같이 양쪽의 케이스몸체(11)(12)가 끼움단홈(14)과 결합돌기(15)를 통해 하나의 몸체로서 상호 결합되면서, 이들 케이스몸체(11)(12)의 상단중앙의 꼭지통과공(17)을 통해서는 해당 과일(30)의 과일꼭지(31)가 별다른 어려움없이 통과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꼭지통과공(17)을 중심으로 케이스몸체(11)(12) 상단부위에 일체형성된 고정묶기구(20)를 해당 나뭇가지(32)에 걸어 그 앞쪽의 삽입유도단(22)을 반대편 묶기고정편(25)의 묶기끼움공(26)으로 삽입시켜서 잡아당겨 나뭇가지(32)에 과일보호케이스(10)가 흔들리지 않게 지지고정되도록 하며, 이때 해당 나뭇가지(32)를 중심으로 상기 고정묶기구(20)가 상기 묶기고정편(25)에 단단하게 체결지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묶기구(20)의 해당 걸림돌단(21)이 상기 묶기고정편(25)의 묶기끼움공(26)에 확실하게 체결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나뭇가지(32)에 달린 과일(30)이 과일보호케이스(10)의 케이스몸체(11)(12)를 통해 각종 병충해나 조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으면서, 동시에 고정묶기구(20)와 묶기고정편(25)을 통한 나뭇가지(32)와의 케이스몸체(11)(12)의 지지고정을 통해 과일(30) 자체의 하중이나 비-바람에 의해 과일(30)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구조적으로 막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에 의하면, 과일수확 전의 생장시에 각종 병충해나 조류로부터 과일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비-바람에 의해 나뭇가지에서 과일이 떨어지는 것을 구조적으로 막아 정상적인 과일생장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과일이 보존되는 케이스몸체 내부에 유입될 수 있는 빗물이나 수분이 케이스몸체 하단부위에 관통형성된 다수의 빗물낙수공을 통해 용이하게 낙하 배수될 수 있으면서 외부와의 공기통풍도 원활하게 이루어져 과일숙성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그 사용에 있어 재질특성상 1회성에 그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기존과 같이 1회 사용하고 버려지면서 발생될 수 있는 자원낭비와 그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더나아가 과일보호케이스에 구별될 수 있는 색상을 입혀 특정 과일이나 기타 구별이 요구되는 과일에 선별 결합시킴으로서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더나아가 케이스몸체 내부에 과일생장에 유익한 영양물질을 도포시켜 과일풍작을 배가시킬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3)

  1. 반원구형태로 중간에 케이스이음부(16)를 두고 접힘동작되면서 일정 가압으로 상호 주연부위가 끼움결합되는 좌우 한쌍의 케이스몸체(11)(12)가 형성되며, 이들 케이스몸체(11)(12)의 하단부위에는 빗물이나 수분이 자연배수될 수 있도록 다수의 빗물낙수공(13)이 일정간격으로 관통형성되고, 반대편 위쪽의 상단중앙에는 서로 끼움접면시에 과일(30)의 과일꼭지(31)가 통과될 수 있도록 꼭지통과공(17)이 관통형성되며, 아울러 해당 나뭇가지(32)에 이들 케이스몸체(11)(12)가 묶어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꼭지통과공(17)을 중심으로 이들 양쪽의 케이스몸체(11)(12) 상단에 각각 고정묶기구(20)와 묶기고정편(25)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의 케이스몸체(11)(12)는 열가소성의 폴리에틸렌수지로 성형되면서 중간의 케이스이음부(16)를 중심으로 접힘동작되어 서로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그 주연단부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결합돌기(15)와 그에 대응조립되는 끼움단홈(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묶기구(20)는 묶기끼움공(26)이 관통되고 그 중앙 양쪽으로 끼움안내홈(27)이 확장절결된 상기 묶기고정편(25)을 통해 끼워져서 잡아당기지는 해당 길이에서 상기 묶기고정편(25)에 끼움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마다 걸림돌단(21)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
KR2020000022620U 2000-08-08 2000-08-08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 KR2002140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620U KR200214086Y1 (ko) 2000-08-08 2000-08-08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620U KR200214086Y1 (ko) 2000-08-08 2000-08-08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086Y1 true KR200214086Y1 (ko) 2001-02-15

Family

ID=73057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620U KR200214086Y1 (ko) 2000-08-08 2000-08-08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0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058A (ko) * 2000-11-29 2002-06-05 박기완 낙과 방지용 과일 보호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058A (ko) * 2000-11-29 2002-06-05 박기완 낙과 방지용 과일 보호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5543A (en) Means and a method for thermally protecting fruits and vegetables while maturing
KR101513261B1 (ko) 수목용 방초매트
KR200214086Y1 (ko) 낙하방지 과일보호케이스
US20160286786A1 (en) Method of Preventing Snails from Accessing the Upper Portions of a Tree
KR200229298Y1 (ko) 과일보호용 케이스
KR200221038Y1 (ko) 과수용 과일봉지
KR200251517Y1 (ko) 과수용 과일봉지
KR200237410Y1 (ko) 과실 보호용 케이스
KR100398667B1 (ko) 생육중의 과일 보호용 플라스틱 케이스
KR20150003885U (ko) 재배중인 과일 보호커버
KR200266986Y1 (ko) 과수원용과일보호커버
KR200166783Y1 (ko) 과수용과일봉지
KR100712444B1 (ko) 과실보호용 봉투
KR200272844Y1 (ko) 낙과 방지용 과일성장 보호구
KR200221028Y1 (ko) 식물의 열매 보호체
KR200348616Y1 (ko) 과일 보호 덮개
KR19990014474U (ko) 과수용 과일커버
KR200186126Y1 (ko) 망을 구비한 과실보호용 커버
KR200227391Y1 (ko) 낙과 방지용 과일 보호캡
KR101670935B1 (ko) 참외 보호 및 포장케이스
KR200175548Y1 (ko) 과실(果實)피해방지 팩
KR100500307B1 (ko) 다공성 과일보호케이스
KR200245669Y1 (ko) 과일 보호 덮개
KR200166863Y1 (ko) 과일보호구
KR200175069Y1 (ko) 과일재배용 보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