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167Y1 - 선바이저 - Google Patents

선바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167Y1
KR200229167Y1 KR2020010000103U KR20010000103U KR200229167Y1 KR 200229167 Y1 KR200229167 Y1 KR 200229167Y1 KR 2020010000103 U KR2020010000103 U KR 2020010000103U KR 20010000103 U KR20010000103 U KR 20010000103U KR 200229167 Y1 KR200229167 Y1 KR 2002291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 visor
sunshade
present
coil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주
Original Assignee
김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주 filed Critical 김창주
Priority to KR2020010000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1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1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167Y1/ko

Link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얼굴의 안면을 태양광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차양만으로 된 선바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머리둘레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고 착용감이 우수하며 제조공정이 간단한 선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선바이저는 탄력이 없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되어 있으며 양측 후단부에 각각 끼움구멍(11)이 형성되어 있는 차양(10)과, 상기 차양(10)의 양측 끼움구멍(11)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양측 끝단부에 직선형상의 단단한 끼움구(21)가 구성되어 있는 코일형 신축부재(20)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선바이저{SUN VISOR}
본 고안은 얼굴의 안면을 태양광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차양만으로 된 선바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머리둘레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고 착용감이 우수하며 제조공정이 간단한 선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선바이저는 머리를 보호하는 부분은 없고 차양만에 의하여 태양광선으로부터 안면을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종래의 선바이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1)의 내측가장자리에, 탄성을 갖으며 후방부는 개방되어 있는 테두리(2)를 부착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 선바이저는 테두리(2)의 탄성에 의하여 착용자의 머리 측부에 압력을 가하여 착용하는 것이고, 상기 탄성을 갖는 테두리(2)는 견고한 일정형태를 갖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선바이저는 착용자의 머리 측부분에 과도하게 압박을 가하여 장시간 착용시 테두리(2)와 접촉하는 머리부분이 아프게 되고 이러한 현상은 머리둘레가 큰 사람에게 더욱 두드러진다. 또한 테두리(2)는 견고한 일정형태를 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머리둘레를 갖는 모든 사람이 편안하게 착용할 수 없다.
그리고 종래에 차양의 양 후단부를 밴드로 연결한 선바이저가 있으나, 이 선바이저는 밴드의 신축성이 뛰어나지 않고 밴드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선바이저도 역시 다양한 크기의 머리둘레를 갖는 모든 사람이 편안하게 착용할 수 없으며, 밴드와 차양의 양 후단부의 연결은 재봉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선바이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크기의 머리둘레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고 착용감이 우수하며 제조공정이 간단한 선바이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선바이저는 탄력이 없고 플렉시블하게 일정형태를 갖게 하는 재질로 되어 있으며 양측 후단부에 각각 끼움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차양과, 상기 차양의 양측 끼움구멍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양측 끝단부에 직선형상의 단단한 끼움구가 구성되어 있는 코일형 신축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일예의 선바이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바이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바이저의 차양과 코일형 신축부재의 일측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선바이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양 2: 테두리
10: 차양 11: 끼움구멍
20: 코일형 신축부재 21: 끼움구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바이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바이저의 차양과 코일형 신축부재의 일측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선바이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선바이저는 탄력이 없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되어 있으며 양측 후단부에 각각 끼움구멍(11)이 형성되어 있는 차양(10)과, 상기 차양(10)의 양측 끼움구멍(11)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양측 끝단부에 직선형상의 단단한 끼움구(21)가 구성되어 있는 코일형 신축부재(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차양(10)은 일정형태를 갖도록 되어 있으나 탄성을 갖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머리에 골고루 부드럽게 접촉하도록 플레시블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코일형 신축부재(20)는 그 양측 끝단부를 차양(10)의 끼움구멍(11)에용이하게 끼워 연결할 수 있도록 단단한 재질로 된 끼움구(21)가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선바이저는 차양(10)과 코일형 신축부재(2)를 별도로 각각 제조하여 코일형 신축부재(20)의 양측 끝단부에 각각 형성된 끼움구(21)를 차양(10)의 끼움구멍(11)에 끼움으로써 그 제조가 완료되므로 그 제조공정이 간단하다.
그리고 코일형 신축부재(10)는 밴드형태의 신축부재보다 그 신축성이 뛰어 나므로 본 고안의 선바이저는 다양한 크기의 머리둘레를 갖는 모든 사람에게 적합하고 머리를 압박하지 않고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코일형 신축부재(10)를 양측 끝단부가 차양(10)의 끼움구멍(21)을 통과하는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자의 머리크기에 맞도록 그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머리둘레가 작은 사람은 코일형 신축부재(10)의 양측 끝단부를 차양(10)의 끼움구멍(21) 외부로 많이 돌출되도록 하고 머리둘레가 큰 사람은 적게 돌출하도록 하여 코일형 신축부재(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선바이저는 더욱 모든 사람이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선바이저는 다양한 크기의 머리둘레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고 착용감이 우수하며 조립공정이 간단하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탄력이 없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되어 있으며 양측 후단부에 각각 끼움구멍(11)이 형성되어 있는 차양(10)과,
    상기 차양(10)의 양측 끼움구멍(11)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양측 끝단부에 직선형상의 단단한 끼움구(21)가 구성되어 있는 코일형 신축부재(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KR2020010000103U 2001-01-03 2001-01-03 선바이저 KR2002291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103U KR200229167Y1 (ko) 2001-01-03 2001-01-03 선바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103U KR200229167Y1 (ko) 2001-01-03 2001-01-03 선바이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167Y1 true KR200229167Y1 (ko) 2001-07-03

Family

ID=73080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103U KR200229167Y1 (ko) 2001-01-03 2001-01-03 선바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1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46161B2 (en) Bone conduction headset
CN101820786B (zh) 头悬式头带
US20040093655A1 (en) Visor
US5440355A (en) Comfortable eyeglass cover
US6745397B2 (en) Eye shade
KR200229167Y1 (ko) 선바이저
EP3673322A1 (en) Glare reducer
CN212036089U (zh) 一种口罩辅助带
CN209828144U (zh) 泳镜
KR200366134Y1 (ko) 위생모자
KR200201476Y1 (ko) 사이즈 조절 모자
KR200342829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귀마개
KR20200128923A (ko) 끈 조절 마스크
KR200237389Y1 (ko) 귀마개가 달린 물안경.
KR100408105B1 (ko) 차양모자
KR200281389Y1 (ko) 귀마개
JP2007191847A (ja) バイザーのカール型着用バンド用弾性部材
KR102276375B1 (ko) 경사 조절 부위를 가진 귀마개
CN220631192U (zh) 一种帽子
CN2448141Y (zh) 具尺寸调节功能的弹性帽
KR200248795Y1 (ko) 차양모자
KR200189062Y1 (ko) 원통형 인조모피 목도리
KR200268676Y1 (ko) 차양모자
KR200347720Y1 (ko) 실내용 썬캡
KR200268706Y1 (ko) 변형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