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997Y1 - 전주 애자용 고장 표시판 - Google Patents

전주 애자용 고장 표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997Y1
KR200228997Y1 KR2019990004566U KR19990004566U KR200228997Y1 KR 200228997 Y1 KR200228997 Y1 KR 200228997Y1 KR 2019990004566 U KR2019990004566 U KR 2019990004566U KR 19990004566 U KR19990004566 U KR 19990004566U KR 200228997 Y1 KR200228997 Y1 KR 2002289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plate
recognition
insertion groove
f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2571U (ko
Inventor
권세원
Original Assignee
권세원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세원, 대원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세원
Priority to KR2019990004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997Y1/ko
Publication of KR199900225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5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9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997Y1/ko

Link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류둥지의 확산을 방지키 위한 차단판에 있어서, 표시판의 하부에 삽탈홈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고장 또는 위험등의 경고문구가 인쇄된 인식판이 삽탈되게 하며, 그 인식판의 상부 일측을 퓨즈선에 의해 연결되게 하므로서 애자에 고열이 발생하게 되면 퓨즈선이 단선되며 인식판이 하부로 떨어지게 하므로서 애자의 파손여부를 원거리에서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전주 애자용 고장표시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주 애자용 고장표시판{Fault Indication Board for Insulator of Electric Pole}
본 고안은 조류둥지의 확산을 방지키 위한 차단판에 있어서, 특히 하부의 양측에 인식판이 삽탈되게 하되, 그 상부를 퓨즈선으로 연결하므로서 애자부에 절연성이 저하되어 고열이 발생하게 되면 그 퓨즈선이 단선되고 이와 연결된 인식판이 하부로 떨어지게 되므로서 원거리에서도 그 애자의 이상유무를 알 수 있게 하는 전주 애자용 고장표시판에 관한 것이다.
전력 케이블은 각 수용가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공중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케이블의 처짐과 인장에 의한 사고를 예방키위해 일정구간에 전주를 설치하여 전력케이블을 지지케 하고 있다.
전주는 고압의 전력 케이블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작업자 또는 주위환경을 보호키 위해 전력케이블을 지지하는 고정대 또는 고정금구등이 전력 케이블과 절연상태를 유지하도록 다수의 절연애자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한 절연 애자는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절연성이 저하되거나, 벼락등에 의해서도 파손되며, 빗물이나 조류의 오물에 의해서 합선 및 누전이 발생하는 경우 그 고압전류를 견디지 못하고 고장인 애자에 순간적인 고열이 발생하며 파손되는 것이다.
이러한 애자의 파손은 감전의 위험이 있어 작업자의 생명을 위협하거나, 주위환경을 해치는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누전에 의한 전력의 소모가 심하게 되면 변전소에서 보호계전기가 작동하여 고장의 원인제거시까지 전력공급이 중단되어 각종공장과 일반 가정에 전력이 차단되어 큰 불편을 감수해야 하므로 고장난 애자를 신속히 교체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절연 애자의 교체 작업은 대부분 누전이 발생되는 지점에 작업자가 직접 올라가서 육안으로 애자의 파괴상태를 확인하여 교체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위험하며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야 하며, 특히 통상적으로 애자의 파손이 대부분 크랙에 의한 것이어서 그 파괴의 육안확인이 매우 어려우므로 신속한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고 불필요한 애자까지 교체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져 안출된 것으로서, 애자의 파괴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고장표시판을 애자와 애자의 사이에 삽입하므로서 원거리에서도 애자의 파괴 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차단판은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해 실용신안등록 제143014호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1998년 26278호와 같이 출원된바 있는 조류둥지 확산방지용 차단판의 하부에 삽탈홈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고장 또는 위험등의 경고문구가 인쇄된 인식판이 삽탈되게 하며, 그 인식판의 상부 일측을 퓨즈선에 의해 연결되게 하므로서 고장시 애자에 고열이 발생하게 되면 퓨즈선이 단선되며 인식판이 하부로 떨어지게하므로서 애자의 파손여부를 원거리에서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전주 애자용 고장표시판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일부절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일부절개한 정면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이 사용된 상태의 측단면설명도
도 4는 본 고안 인식판이 작동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판체 2 : 결합공
3 : 변부 4 : 삽입홈
5 : 단턱 6 : 삽탈홈
7,7' : 인식판 8 : 퓨즈선
9,9' : 장공 10,10' : 핀
15,15' : 애자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원형 또는 각형의 절연재질 판체(1) 중앙에 결합공(2)을 형성하고, 그 결합공(2)으로부터 일측 변부(3)에 이르기까지 삽입홈(4)을 절개 형성한 표시판에 있어서,
결합공(2)의 상부로부터 변부(3)에 이르기까지 단턱(5)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삽탈홈(6)을 형성하며, 삽입홈(4)을 중심으로 양측에 장공(9)(9')을 형성하고, 삽탈홈(6)의 내부에는 인식판(7)(7')을 삽입하되, 그 상부에 핀(10)(10')을 삽입하여 전기한 장공(9)(9')에 삽입되게 하고, 각각의 인식판(7)(7') 상단 일측에는 퓨즈선(8)에 의해 연결하되, 전기한 핀(10)(10')에 삽입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5,15'는 애자, 16은 전선, 17은 전주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표시판의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의 도시와 같이 전주(17)의 상단부에 전선(16)을 지지 연결키 위한 애자(15)(15')는 파손을 대비하여 다수의 애자(15)(15')를 복수로 병렬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애자(15)(15')는 전선(16)으로부터 과다한 전력이 공급되거나, 빗물 또는 조류등의 오물에 의해 합선되는 경우, 또는 누후 및 벼락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 고압의 전류를 이기지 못하여 파괴되므로 이에 의해 절연성이 저하되어 고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고열은 누전의 원인이 되는 것이며, 이를 신속히 찾아내기 위해 본 고안이 안출된 것이다.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표시판의 삽입홈(4)을 애자(15)와 애자(15')의 사이공간에 삽입하여 결합공(2)에 안착시키면 그 설치가 완료되는 것인데, 이때 두개의 인식판(7)(7')을 연결하고 있는 퓨즈선(8)은 애자(15)와 애자(15)의 사이 철재에 걸쳐져 있는 상태가 되고, 이에 의해 인식판(7)(7') 및 그 핀(10)(10')은 장공(9)(9')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애자(15)와 애자(15')의 사이에 결합된 표시판은, 일측 애자(15)에 균열 및 파괴가 발생하여 고열이 발생하는 경우 그 열이 전도되어 애자(15)(15')의 사이 철재에 접촉되어 있는 퓨즈선(8)을 가열하게 되고, 그 열에 의해 퓨즈선(8)이 단선되면 인식판(7)(7')을 결속하는 힘이 사라지게 되므로 양측의 인식판(7)(7')이 하부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인식판(7)(7')에 삽입된 핀(10)(10')은 그 장공(9)(9')을 따라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이며, 장공(9)(9')이 마감되는 지점까지 떨어져내려 멈추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전기한 퓨즈선(8)은 납선을 사용하여 만들거나, 열에 약한 합성수지 밴드를 사용하는등 일정온도에서 용해 또는 단선되는 물질이면 아느것이든 사용가능하다.
본 고안 표시판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그 인식판(7)(7')이 하부로 떨어짐에 따라 그 인식판(7)(7')에 인쇄된 고장 또는 위험등의 각종 경고문구에 의해 원거리에서도 육안으로 쉽게 인식이 가능하며, 퓨즈선(8)의 단선 온도를 조정하므로서 절연한계범위를 지정할 수도 있어, 노후 및 오손에 의한 절연의 저하 현상 또한 점검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작용의 본 고안 전선 애자용 고장표시판은 고장난 애자에 고열이 발생하게 되면 퓨즈선이 단선되며 인식판이 하부로 떨어지게 하므로서 애자의 파손여부를 원거리에서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절연재질의 판체(1) 중앙에 결합공(2)을 형성하고, 그 결합공(2)으로부터 일측 변부(3)에 이르기까지 삽입홈(4)을 절개 형성한 표시판에 있어서,
    결합공(2)의 상부로부터 변부(3)에 이르기까지 단턱(5)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삽탈홈(6)을 형성하며, 삽입홈(4)을 중심으로 양측에 장공(9)(9')을 형성하고, 삽탈홈(6)의 내부에는 인식판(7)(7')을 삽입하되, 그 상부에 핀(10)(10')을 삽입하여 전기한 장공(9)(9')에 삽입되게 하고, 각각의 인식판(7)(7')을 퓨즈선(8)에 의해 연결하되, 전기한 핀(10)(10')에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애자용 고장표시판.
KR2019990004566U 1999-03-22 1999-03-22 전주 애자용 고장 표시판 KR2002289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566U KR200228997Y1 (ko) 1999-03-22 1999-03-22 전주 애자용 고장 표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566U KR200228997Y1 (ko) 1999-03-22 1999-03-22 전주 애자용 고장 표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571U KR19990022571U (ko) 1999-07-05
KR200228997Y1 true KR200228997Y1 (ko) 2001-07-19

Family

ID=5475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566U KR200228997Y1 (ko) 1999-03-22 1999-03-22 전주 애자용 고장 표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9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571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81243C (en) Electric fuse with torque restricting terminals
KR101566069B1 (ko) 부스덕트용 분기장치
US20200287364A1 (en) 7-Way Crab Joint
JPS58500543A (ja) 家庭用電気機器の過電圧保護装置
KR200228997Y1 (ko) 전주 애자용 고장 표시판
MX166087B (es) Aparato para hacer conexiones electricas en una maquina dinamoelectrica
RU2507656C2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коробк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осветительных кабелей в туннелях
KR200399368Y1 (ko) 단로기 인디케이터
BR112017006545B1 (pt) Dispositivo de proteção de isolador
KR101047879B1 (ko) 전력 기기의 충전부 내장형 장치
KR101915256B1 (ko) 가공배전을 위한 피뢰장치
CN101038806B (zh) 具有简化设计和增加的可靠性的过压保护装置
CN216672569U (zh) 电缆护层双保护接地箱
KR20210006194A (ko) 발향 기능이 구비된 전력시설 이상상태 감지장치
JP2023125391A (ja) ケッチホルダ及び屋外用ヒューズ装置
KR102673016B1 (ko) 전기선 누설전류 감시유닛
KR200273405Y1 (ko) 접속슬리브를 내입할 수 있는 전선 고정용 클램프의 절연보호커버
KR200411052Y1 (ko) 옥내용 분전반
CN204289332U (zh) 一种新型的熔断器底座
KR200443613Y1 (ko)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KR200341119Y1 (ko) 피뢰기의 상부 캡 단자구조
KR19980028240U (ko) 전주 애자용 이격설치구
KR20230149545A (ko) 전기선 누설전류 감시유닛
KR100884562B1 (ko) 무선방식을 이용한 전력용 피뢰기의 이상 유무 확인장치
KR20230111834A (ko) 서지 어레스팅 컷아우트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