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321Y1 - 핫-코일 권취용 코어 - Google Patents

핫-코일 권취용 코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321Y1
KR200228321Y1 KR2020010001526U KR20010001526U KR200228321Y1 KR 200228321 Y1 KR200228321 Y1 KR 200228321Y1 KR 2020010001526 U KR2020010001526 U KR 2020010001526U KR 20010001526 U KR20010001526 U KR 20010001526U KR 200228321 Y1 KR200228321 Y1 KR 200228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coil
resin
nonwoven fabric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달
Original Assignee
조용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달 filed Critical 조용달
Priority to KR2020010001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3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321Y1/ko

Links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핫-코일의 권취시 권취되는 핫-코일이 코일의 두께 만큼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지피복층을 무단차의 엔드리스 수지피복층으로 강성원통에 피복하는 핫-코일 권취용 코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핫-코일 권취용 코어는, 폴리우레탄수지와 같은 합성수지의 전부 또는 일부가 단면이 원형인 부직포에 함침된 채 경화되어 이루어지는 수지피복층(2)으로 강성원통(1)을 피복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권취되는 핫-코일의 두께에 의하여 권취시 발생할 수 있는 코일 자체의 굴곡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코어의 수지피복층(2) 자체가 부직포에 의하여 내인열성을 갖기 때문에 수지피복층(2)에 갈라짐이나 손상 등을 예방하여 코어에 권취되는 핫-코일의 손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핫-코일 권취용 코어 {Core for hot-coil winding}
본 고안은 핫-코일 권취용 코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핫-코일의 권취시 권취되는 핫-코일이 코일의 두께 만큼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지피복층을 무단차의 엔드리스 수지피복층으로 강성원통에 피복하는 핫-코일 권취용 코어에 관한 것이다.
핫-코일 권취용 코어는 제철소나 제강소에서 제조된 핫-코일을 권취하여 운송, 저장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핫-코일은 철판이나 강판으로서 보통 2차제품의 생산을 위하여 일정한 폭과 긴 길이를 갖는 판상으로 제조되며, 길이가 긴 판상의 핫-코일은 그 취급이 불편하기 때문에 이를 수회 내지 수십회 권취되어 취급된다.
핫-코일을 권취하는 데 사용되는 핫-코일 권취용 코어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금속재의 강성원통으로 성형되며, 특히 핫-코일의 1회, 즉 처음에 권취되는 부분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하여 강성원통의 표면에 고무나 합성수지 등 탄성을 갖는 보호층을 피복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핫-코일 권취용 코어는 보통 금속재의 강성원통 상에 직접 고무나 합성수지를 피복하여 보호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강성원통과 보호층 간의 친화력이 약하여 쉽게 박리될 수 있으며, 보호층 자체도 내인열성이 낮아 쉽게 갈라지거나 또는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권취되는 핫-코일 자체의 중량 및 그에 따른 압력으로 보호층이 강성원통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밀려나올 수 있으며, 이렇게 밀려나온 보호층 부분은 쉽게 파손되게 되고, 권취된 핫-코일이 제거된 후에 보호층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도 손상된 부분이 그대로 복귀되기 때문에 후속되는 핫-코일의 권취시 그대로 핫-코일에 손상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핫-코일 권취용 코어의 가장 큰 문제점은 보호층을 형성함에 있어 보호층의 탄성이 낮아 핫-코일을 권취함에 있어 최초 권취되는 부분이나 적어도 2회 내지 3회 권취되는 부분까지 최초의 핫-코일 권취부분의 코일 두께 만큼의 단차가 형성되어 핫-코일이 부분적으로 절곡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전체 제품의 약 15% 이상을 불량품으로 만드는 원인이 된다.
한편, 일부 핫-코일 권취용 코어로서, 강성원통에 3겹의 고무층을 형성시킨 핫-코일 권취용 코어가 일본에서 제작, 판매되고 있으며, 고무층을 3겹으로 하여 고무층을 보다 긴밀하게 하고 있으나, 고무의 특성상, 특히 최외층의 고무층에서 고무가 일부 밀려나오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하였으며, 경질고무의 사용으로 핫-코일의 권취시 여전히 일부 절곡되는 문제점은 남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권취되는 핫-코일의 두께에 의하여 핫-코일의 일부가 절곡되지 않도록 하는 탄성을 갖는 수지피복층으로 피복된 핫-코일 권취용 코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핫-코일 권취용 코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핫-코일 권취용 코어의 수지피복층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핫-코일 권취용 코어의 수지피복층의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강성원통 2 : 수지피복층
21 : 엔드리스 기재 22 : 제1부직포-수지층
23 : 제2부직포-수지층 24 : 제3부직포-수지층
본 고안에 따른 핫-코일 권취용 코어는, 폴리우레탄수지와 같은 합성수지의 전부 또는 일부가 단면이 원형인 부직포에 함침된 채 경화되어 이루어지는 수지피복층으로 강성원통을 피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면이 원형인 부직포는 단면이 원형인 엔드리스 기재의 양면 모두에 단섬유들을 니들 펀칭 등의 방법으로 집적시켜 부직포화한 것이 사용된다.
상기 수지피복층과 강성원통의 표면 사이에는 제3부직포-수지층이 더 개재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핫-코일 권취용 코어는 폴리우레탄수지와 같은 합성수지의 전부 또는 일부가 단면이 원형인 부직포에 함침된 채 경화되어 이루어지는 수지피복층(2)으로 강성원통(1)을 피복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성원통(1)은 종래의 핫-코일 권취용 코어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이 될 수 있으며, 주로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강성원통(1) 표면에 피복되는 수지피복층(2)은 폴리우레탄수지와 같은 합성수지의 전부 또는 일부가 단면이 원형인 부직포에 함침된 채 경화되어 수지피복층(2)으로 이루어지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단면이 원형인 부직포는 단면이 원형인 엔드리스 기재(21)의 양면 모두에 단섬유들을 니들 펀칭 등의 방법으로 집적시켜 부직포화한 것이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면이 원형인 부직포에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수지와 같은 합성수지를 함침시키고, 경화시키면 단면이 원형인 엔드리스 기재(21)의 양면에 각각 제1부직포-수지층(22)과 제2부직포-수지층(23)이 형성된다. 부직포는 씨줄과 날줄 등으로 직조되어 방향성을 갖는 직포와는 달리 단섬유들을 니들펀칭 등의 방법으로 가공한 것으로서, 직물과 같은 방향성이 없기 때문에 어느 임의의 방향에 대하여도 내인열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내인열성을 갖는 부직포에 폴리우레탄과 같은 수지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함침되어 경화되는 수지피복층(2)은 상기 부직포의 내인열성에 의하여 어느 임의의 방향에 대하여도 내인열성을 갖게 디며, 기계적 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핫-코일이 권취되는 권취방향은 물론 권취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도 내인열성을 갖게 되어 수지피복층(2)이 갈라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크게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지피복층(2)은 직조된 엔드리스 기재(21)를 중심으로 엔드리스 기재(21)의 양면에 모두 부직포-수지층이 형성되며, 이들 각각이 모두 우수한 탄성을 갖기 때문에 핫-코일이 권취되는 경우에, 최초 권취시의 핫-코일의 두께 만큼의 단차도 상기 수지피복층(2)이 흡수할 수 있으며, 여전히 충분한 지지력으로 핫-코일을 코어에 권취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핫-코일의 최초 권취 부분과 그에 중첩되는 2 내지 3회의 권취부분에서조차 단차가 생기지 않게 되며, 그에 따라 핫-코일에 핫-코일의 두께만큼 단차가 생겨 핫-코일의 일부가 굴곡되는 현상을 원인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 단섬유 또는 폴리에스터 단섬유와 폴리에스터 장섬유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상기 수지피복층(2)과 강성원통(1)의 표면 사이에는 제3부직포-수지층(24)이 더 개재된다. 이 제3부직포-수지층(24)은 상기 수지피복층(2)과 강성원통(1) 사이의 접착력의 증대 및 두께의 조절 등을 위하여 상기 강성원통(1)의 표면에 더 피복된다. 따라서, 상기 제3부직포-수지층(24)의 피복량에 따라 전체 수지피복층(2)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피복층(2)을 2층 이상으로 형성시켜 전체 수지피복층(2)의 두께를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권취되는 핫-코일의 두께에 의하여 권취시 발생할 수 있는 코일 자체의 굴곡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핫-코일 권취용 코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어의 수지피복층(2) 자체가 부직포에 의하여 내인열성을 갖기 때문에 수지피복층(2)에 갈라짐이나 손상 등을 예방하여 코어에 권취되는 핫-코일의 손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폴리우레탄수지와 같은 합성수지의 전부 또는 일부가 단면이 원형인 부직포에 함침된 채 경화되어 이루어지는 수지피복층으로 강성원통을 피복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핫-코일 권취용 코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이 원형인 부직포는 단면이 원형인 엔드리스 기재의 양면 모두에 단섬유들을 니들 펀칭 등의 방법으로 집적시켜 부직포화한 것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핫-코일 권취용 코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피복층과 강성원통의 표면 사이에는 제3부직포-수지층이 더 개재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핫-코일 권취용 코어.
KR2020010001526U 2001-01-19 2001-01-19 핫-코일 권취용 코어 KR200228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526U KR200228321Y1 (ko) 2001-01-19 2001-01-19 핫-코일 권취용 코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526U KR200228321Y1 (ko) 2001-01-19 2001-01-19 핫-코일 권취용 코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321Y1 true KR200228321Y1 (ko) 2001-06-15

Family

ID=73095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526U KR200228321Y1 (ko) 2001-01-19 2001-01-19 핫-코일 권취용 코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3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604B1 (ko) 2010-10-05 2012-11-08 (주)쌍림멀티택 강판의 엔드마크 방지용 슬리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604B1 (ko) 2010-10-05 2012-11-08 (주)쌍림멀티택 강판의 엔드마크 방지용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3188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hape from a composite material and shapes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KR100201359B1 (ko) 낚싯대재및그제조방법
US4555113A (en) Shaft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1540059A4 (en) COMPOSITE MATERIAL WITH MULTIPLE ORIENTATIONS IMPREGNATED WITH RESIN
AU2002367127B2 (en) Fiber-reinforced resin ro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oll
EP1199493A3 (en) Hybrid composite flywheel ri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228321Y1 (ko) 핫-코일 권취용 코어
US20060162163A1 (en) Process for producing resin roll
JPH05168375A (ja) 釣り竿用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10450A (ja) 低抵抗コロナ防止テープまたはシートおよび回転電機の固定子コイル
JPH04183612A (ja) タイヤ用ハイブリッドビード
EP3290176A1 (en) Ultrathin concrete composite pipe with oriented and localized fiber
JPH08207166A (ja) 管状体とその製造方法
CA2084352A1 (en) Insulated magnet wire, method of forming the same, and insulation therefor
JP2637778B2 (ja) 釣竿等の竿杵の製造方法
JPH0278532A (ja) 釣竿の成形方法
JPH01179406A (ja) モールドコイルの製造方法
US10343307B2 (en) Method of making interlocking joint for pile encapsulation jackets
JPH0564019B2 (ko)
JPS6145701Y2 (ko)
JP2551169B2 (ja) 樹脂モールドコイルの防水構造および防水処理方法
ATE222622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alenderwalze mit einem elastischen bezug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 kalenderwalze
US6319350B1 (en) Method of manufacture for flexible hose
JPS5831903Y2 (ja) 横巻糸
JP2002192623A (ja) 管状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