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050Y1 - 검단기용 말대 - Google Patents

검단기용 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050Y1
KR200228050Y1 KR2020000030232U KR20000030232U KR200228050Y1 KR 200228050 Y1 KR200228050 Y1 KR 200228050Y1 KR 2020000030232 U KR2020000030232 U KR 2020000030232U KR 20000030232 U KR20000030232 U KR 20000030232U KR 200228050 Y1 KR200228050 Y1 KR 200228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oller
support piece
fixing member
roll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수
Original Assignee
강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수 filed Critical 강희수
Priority to KR2020000030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0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050Y1/ko

Links

Landscapes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물 검사기에서 검사된 원단을 두루마리형태로 감거나 직물원단을 권취할 때 사용하는 말대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말대의 직경이 축소되고 복원될 수 있게 구성하여 원단권취시에 사용하는 말대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망원통체로 되는 말대(1)를 3등분하여 중간고정부재(101) 양측에 양측부재 (102)(103)의 내측단을 힌지이음(H1)(H2)하고 양측부재(102)(103)의 끝이 서로 포개어져 원형이 유지되게 한 다음 중간고정부재(101)의 끝에서 고정판(2)을 부착하여 그 내향돌출봉(201)(202)에 양측부재(102)(103)의 내측걸편(102a)(103a)이 결합되게하고 중간고정부재(101) 내측 중앙선상에 일정간격으로 수개의 지지편(3)을 세워 각 지지편에 로울러 지지편(4)의 하단을 축(5)으로 연결한 후 로울러 지지편(4)의 상단에 로울러(6)을 끼워 축봉(7)으로 지지킨 다음 각 로울러지지편 (4)을 연결횡간(8)으로 연결하여 연결횡간(8)과 중간고정부재(101) 사이에 코일스프링(9)을 설치하여 연결횡간(8)의 끝이 고정판(2)의 내측돌기(203)에 접촉되면 로울러(6) 상단이 가장 높은 위치에 오도록 로울러지지편(4)이 기립상태로 유지되게 구성하고 연결횡간(8)의 반대측에 손잡이(801)를 부착하여 손잡이의 끝이 말대 외측으로 일정량 돌출되게 하여 연결횡간을 당겨 말대 외경을 축소시키고 연결횡간을 복원시켜 말대 외경이 복원되게 하므로서 축소복원이 가능한 말대를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검단기용 말대{Fabric inspecting roll}
본 고안은 직물 검사기에서 검사된 원단을 두루마리형태로 감거나 직물원단을 권취할 때 사용하는 말대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말대의 직경이 축소되고 복원될 수 있게 구성하여 원단권취시에 사용하는 말대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의 말대는 지관으로 제도되어서 원단을 권취하면 직물의 수축력으로 말대가 중심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뽑아낼 수가 없어 지관을 꽂은 상태로 출하를 하므로 원단 한필 한필마다 하나의 지관을 준비해야하는 불편이 있고 이를 관리해야하는 등의 부담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형 예시도
도 2는 도 1의 가-가'선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내부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작동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끝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말대 101 : 중간고정부재
102,103 : 양측부재 102a,103a : 내측걸편
2 : 고정판 201,202 : 내향돌출봉
203 : 내측돌기 3 : 지지편
4 ; 로울러지지편 5 : 축
6 : 로울러 7 : 축봉
8 : 연결횡간 801 : 손잡이
9 : 코일스프링
망원통체로 되는 말대(1)를 3등분하여 중간고정부재(101) 양측에 양측부재 (102)(103)의 내측단을 힌지이음(H1)(H2)하고 양측부재(102)(103)의 끝이 서로 포개어져 원형이 유지되게 한 다음 중간고정부재(101)의 끝에서 고정판(2)을 부착하여 그 내향돌출봉(201)(202)에 양측부재(102)(103)의 내측걸편(102a)(103a)이 결합되게하고 중간고정부재(101) 내측 중앙선상에 일정간격으로 수개의 지지편(3)을 세워 각 지지편에 로울러 지지편(4)의 하단을 축(5)으로 연결한 후 로울러 지지편(4)의 상단에 로울러(6)을 끼워 축봉(7)으로 지지킨 다음 각 로울러지지편(4)을 연결횡간(8)으로 연결하여 연결횡간(8)과 중간고정부재(101) 사이에 코일스프링(9)을 설치하여 연결횡간(8)의 끝이 고정판(2)의 내측돌기(203)에 접촉되면 로울러(6) 상단이 가장 높은 위치에 오도록 로울러지지편(4)이 기립되게 구성하고 연결횡간(8)의 반대측에 손잡이(801)를 부착하여 손잡이의 끝이 말대 외측으로 일정량 돌출되게 하여 손잡이를 당겨 말대 외경을 축소시킬 수 있게한 구성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말대(1) 외부에 원단이 감기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4와 같이 중심고정부재(101) 양측에 힌지이음된 양측부재(102)(103)가 최대로 벌어져서 정원을 유지하는 상태가 되고 이때 내부의 로울러(6)는 연결횡간(8)이 내향하여 그 끝이 고정판(2)의 내측돌기(203)에 접촉된 상태이므로 코일스프링(9)의 힘이 제한되어 로울러지지편(4)이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가 유지되게 코일스프링(9)이 장진되기 때문에 로울러(6) 상단부가 양측부재(102)(103)가 포개어지는 내측을 받치고 있는 상태가 되고 고정판의 내향돌기(201)(202)에 양측부재의 걸편(102a)(103a)이 걸려 양측부재가 더 이상 벌어지지않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도 2참조) 이 상태에서 직물원단을 감게되면 원통으로 유지된 말대에 직물원단을 감게되는 것과 같이되어 지관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고 원단이 가득 감겨 권취작업이 끝이나면 연결횡간(8)의 손잡이(801)를 쥐고 연결횡간(8)을 당겨내어 로울러지지편(4)을 옆으로 눕히면 로울러(6)의 위치가 나장지면서 직물지의 수축력으로 양측부재(102)(103)가 힌지(H1)(H2)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접혀져서 말대 외경이 축소되는 상태가 된다. (도 3참조)
이 때 말대(1)를 원단중심에서 뽑아내면 원단과 말대가 분리되므로 말대를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원단을 감을 때만 말대가 필요하고 원단이 감겨진 후에는 말대(1)를 뽑아내어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되므로 말대의 재사용이 가능케되어 말대수량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지관처럼 많은량의 말대를 준비하지 않고 권취작업이 가능케되어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낼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망원통체로 되는 말대(1)를 3등분하여 중간고정부재(101) 양측에 양측부재 (102)(103)의 내측단을 힌지이음(H1)(H2)하고 양측부재(102)(103)의 끝이 서로 포개어져 원형이 유지되게 구성한 다음 중간고정부재(101)의 끝에서 고정판(2)을 부착하여 그 내향돌출봉(201)(202)에 양측부재(102)(103)의 내측걸편(102a)(103a)을 결합하고 중간고정부재(101) 내측 중앙선상에 일정간격으로 수개의 지지편(3)을 세워 각 지지편에 로울러 지지편(4)의 하단을 축(5)으로 연결한 후 로울러 지지편(4)의 상단에 로울러(6)을 끼워 축봉(7)으로 지지킨 다음 각 로울러지지편(4)을 연결횡간(8)으로 연결하여 연결횡간(8)과 중간고정부재(101) 사이에 코일스프링(9)을 설치하여 연결횡간(8)의 끝이 고정판(2)의 내측돌기(203)쪽으로 접촉되면 로울러(6) 상단이 가장 높은 위치를 유지하게 구성하고 연결횡간(8)의 반대측에 손잡이(801)를 부착하여 손잡이의 끝이 말대 외측으로 일정량 돌출되게 하여 손잡이를 잡고 연결횡간(8)을 당겨 로울러(6) 높이를 낮출 수 있게하여 말대 외경을 축소시킬 수 있게한 검단기용 말대
KR2020000030232U 2000-10-30 2000-10-30 검단기용 말대 KR200228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232U KR200228050Y1 (ko) 2000-10-30 2000-10-30 검단기용 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232U KR200228050Y1 (ko) 2000-10-30 2000-10-30 검단기용 말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116A Division KR20020033346A (ko) 2000-10-31 2000-10-31 검단기용 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050Y1 true KR200228050Y1 (ko) 2001-06-15

Family

ID=73061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232U KR200228050Y1 (ko) 2000-10-30 2000-10-30 검단기용 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0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987A (ko) * 2001-10-05 2002-03-09 이재근 빼낼 수 있는 신축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987A (ko) * 2001-10-05 2002-03-09 이재근 빼낼 수 있는 신축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8050Y1 (ko) 검단기용 말대
US3058688A (en) Reel for wire
CN108866983A (zh) 晾被杆转动组件和晾被杆组件及晾衣架
KR20020033346A (ko) 검단기용 말대
KR101056777B1 (ko) 스팀다리미용 의류 고정대
KR200287319Y1 (ko) 현수막 설치구조
KR200399434Y1 (ko) 펼침고정수단을 갖는 연등
JP7154345B2 (ja) 折り畳みスツール
KR200293331Y1 (ko) 스프링을 갖는 원사 염색용 보빈
KR100757301B1 (ko)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CN211393419U (zh) 一种折叠式电缆线盘
CN211419166U (zh) 一种纺织机械用卷布筒
US2439238A (en) Safety soap and washcloth hanger
EP0795660A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curtain, provided with a resilient element coupled to a first arm and a high toughness polyester fibre belt
CN2238233Y (zh) 抻线装置
JPH0141436Y2 (ko)
CN214230596U (zh) 收折吊篮
CN209010788U (zh) 一种具有折叠结构的自动化晾衣设备
KR200197609Y1 (ko) 원단 권취용 원통관
JPS5938898Y2 (ja) テ−ブルにおける支脚の折りたたみ展開装置
CN212223408U (zh) 一种便于使用的挂烫机架
CN110811181B (zh) 一种可折叠收缩的多功能置物架
US2897519A (en) Folding bed
JPS59133Y2 (ja) ベッドの横柵
JP5236616B2 (ja) 物干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