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859Y1 - 버저의 요크 구조 - Google Patents
버저의 요크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27859Y1 KR200227859Y1 KR2019990009292U KR19990009292U KR200227859Y1 KR 200227859 Y1 KR200227859 Y1 KR 200227859Y1 KR 2019990009292 U KR2019990009292 U KR 2019990009292U KR 19990009292 U KR19990009292 U KR 19990009292U KR 200227859 Y1 KR200227859 Y1 KR 20022785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yoke
- coil
- buzzer
- present
- bas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저의 요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기회로부의 자기장의 범위를 좁은면에 집중시켜 전자석 효과를 증대하고 코일을 요크와 베이스 사이에 장착시 이탈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버저 내부의 베이스 중심부에 끼워 고정시키고, 그 외주면에 코일을 권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상단부에 코일 권취부 보다 넓은 걸림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요크를 3단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버저의 요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호출기 또는 무선 휴대전화기 등에는 기기내부의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호출신호 또는 수신신호를 발생시키는 버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버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1)및 베이스(2)와 상기 베이스(2)의 중앙부에 구성된 요크(3)와, 상기 요크(3)에 권취된 코일(4)과, 그 외주에 설치된 마그네트(5)로 구성된 자기회로부와, 상기자기회로부 상부에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여 자기공극을 갖도록 하는 진동판(6)과, 상기 진동판(6)의 중심부에 용착된 자편(7)으로 구성하여 일정전압의 신호 주파수가 인가되면 요크(3)외주의 코일(4)과 마그네트(5) 상호간에 발생하는 자기장의 변화에 의하여 진동판(6) 중심의 자편(7)을 흡입 또는 반발토록 함으로써, 진동판(6)이 상하로 진동하여 소정의 음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 설명하면, 상기 음은 진동판(6)의 반발력을 조정하는 자편(7)에 의해 설정되는데, 진동판(6)이 가지고 있는 탄성력과 진동판(6)이 휘어질때 발생하는 작용, 반작용에 의한 반발력과 내부의 공기탄성에 의한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진동판(6)이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원활한 진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음이 발생한다. 도면중 8은 케이스, 9는 받침판이다.
이와 같이 음을 발생시키는 버저에 있어서, 요크(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은 직경이 큰 코일 권취부(3')와 하단은 직경이 작은 중심축(3')을 가진 2단의 요크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요크(3)는 코일(4)이 상기 코일 권취부(3')에 권취되어 자기회로부가 작동되어질 때 베이스(2)와 상기 코일 권취부(3')사이의 간격이 넓어 자기장이 코일 권취부(3')의 바같측으로 넓게 퍼지게 되므로 코일(4)에서 발생하는 전자석 효과의 효율이 크게 저하되어 음발생을 크게할 수 없고, 코일(4)이 단순히 코일 권취부(3')의 외주면에 걸쳐져 권취된 상태이므로 코일(4)의 동작시 발생하는 열팽창 또는 버저 내부에 장착시 공정상에 있어서 이탈 또는 변형되어져 버저의 기능수행을 제대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본 고안은 요크에 권취되는 코일을 이탈 또는 변형 없이 장착하게 하고, 전자석 효과를 상승 시켜 진동효과가 탁월한 품질향상의 버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범위를 집중시켜 전자석 효과를 높이고, 코일의 이탈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본 고안은 버저 내부의 베이스 중심부에 끼워 고정 시키고, 그 외주면에 코일을 권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상단부에 코일 권취부 보다 넓은 걸림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요크를 3단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크를 사용한 버저의 단면도
도 4는 종래 요크를 사용한 버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회로기판 2 : 베이스 3 : 요크
3' : 코일 권취부 3A : 걸림편 4 : 코일
5 : 마그네트 6 : 진동판 7 : 자편
도 2및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본 고안은 회로기판(1)및 베이스(2)와 상기 베이스(2)의 중앙부에 구성된 요크(3)와, 상기 요크(3)에 권취된 코일(4)과, 그 외주에 설치된 마그네트(5)로 구성된 자기회로부와, 상기 자기회로부 상부에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여 자기공극을 갖도록 하는 진동판(6)과, 상기 진동판(6)의 중심부에 용착된 자편(7)으로 구성하고 버저 내부의 베이스(2) 중심부에 끼워 고정 시키고, 그 외주면에 코일(4)을 권취하는 요크(3)에 있어서, 상기 요크(3)의 상단부에 코일 권취부(3') 보다 넓은 걸림편 (3A)을 일체로 형성하여 요크(3)를 3단으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코일 권취부(3')보다 그 직경이 넓은 걸림편(3A)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걸림편(3A)는 일정의 두께를 가지게 되므로 베이스(2)와 상기 걸림편(3A)사이는 종래 보다 그 간격이 좁게 되어 자기장이 좁은 면에 집중되게 되므로 코일(4)에서 발생하는 전자석 효과가 높아져 진동효과 역시 향상 되므로 음의 크기가 크게 되고, 코일(4)의 권취시 걸림편(3A)에 의해 견고하게 요크(3)외주면에 장착되어 코일(4)의 동작시 발생하는 열팽창 또는 제작공정 중 코일(4)이 요크(3)로 부터 이탈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은 전자석 효과의 효율을 향상 시키고, 코일이 요크로 부터 이탈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버저의 품질향상을 꾀하고 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 버저 내부의 베이스(2) 중심부에 끼워 고정 시키고, 그 외주면에 코일(4)을 권취하는 요크(3)에 있어서, 상기 요크(3)의 상단부에 코일 권취부(3') 보다 넓은 걸림편(3A)을 일체로 형성하여 요크(3)를 3단으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저의 요크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9292U KR200227859Y1 (ko) | 1999-05-28 | 1999-05-28 | 버저의 요크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9292U KR200227859Y1 (ko) | 1999-05-28 | 1999-05-28 | 버저의 요크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21484U KR20000021484U (ko) | 2000-12-26 |
KR200227859Y1 true KR200227859Y1 (ko) | 2001-06-15 |
Family
ID=54763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09292U KR200227859Y1 (ko) | 1999-05-28 | 1999-05-28 | 버저의 요크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27859Y1 (ko) |
-
1999
- 1999-05-28 KR KR2019990009292U patent/KR20022785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21484U (ko) | 2000-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492983B2 (ja) | 振動スピーカ | |
EP1066736B1 (en) | Vibration actuator having magnetic circuit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iral damper with increased compliance | |
KR100381440B1 (ko) | 진동 스피커 | |
JPH11355883A (ja) | スピーカ装置 | |
KR100412221B1 (ko) | 휴대 전화기용 소형 스피커 | |
EP0836362A3 (en) | Loudspeaker | |
US6754363B2 (en) | Structure of dual magnetic loop type receiver | |
KR100439583B1 (ko) | 진동 및 음향 발생 스피커 | |
KR200227859Y1 (ko) | 버저의 요크 구조 | |
US10986448B2 (en) | Sound vibration actuator | |
KR100751212B1 (ko) |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
JP3578244B2 (ja) | 電磁型発音体 | |
KR200188945Y1 (ko) | 평판형 스피커 | |
KR19990041872A (ko) | 이중 보이스코일을 가지는 스피커 구조 | |
KR200171845Y1 (ko) | 버저의 진동판 | |
KR100299862B1 (ko) | 이중구조의 버저 | |
KR20010047380A (ko) |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 | |
KR20040079709A (ko) | 공간효율성 댐퍼를 구비하는 스피커 | |
KR200214535Y1 (ko) | 버저의 자기회로부 구조 | |
KR200207889Y1 (ko) | 다기능 전자 음향 변환기 구조 | |
KR200171846Y1 (ko) | 버저의 구조 | |
KR200210746Y1 (ko) | 스피커 조립체 | |
JPH05137194A (ja) | ドーム型スピーカ | |
JP3047233U (ja) | ハンドホン/無線呼出器用振動及び呼出音発生装置 | |
JPH09215091A (ja) | 電磁型発音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401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