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301Y1 - 텐트용 포울 - Google Patents

텐트용 포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301Y1
KR200227301Y1 KR2020010001430U KR20010001430U KR200227301Y1 KR 200227301 Y1 KR200227301 Y1 KR 200227301Y1 KR 2020010001430 U KR2020010001430 U KR 2020010001430U KR 20010001430 U KR20010001430 U KR 20010001430U KR 200227301 Y1 KR200227301 Y1 KR 2002273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vacuum deposition
coating
tent
deposi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홍섭
Original Assignee
임홍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홍섭 filed Critical 임홍섭
Priority to KR2020010001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3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3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301Y1/ko

Link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속성 광택을 나타내는 금속 진공증착층을 구비하여, 외관이 우수하고,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텐트용 포울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텐트용 포울은, 보강섬유사를 복수본 집속하여 이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되는 섬유보강심재와; 상기 섬유보강심재의 외주에 피복되는 피복포층과; 상기 피복포층의 외주에 형성되는 금속 진공증착층과; 상기 금속 진공증착층의 외주에 형성되는 피복 수지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알루미늄이나 구리, 니켈, 티타늄, 아연 등의 금속 진공증착층이 친화력이 우수한 피복포에 진공증착되며, 피복포는 열경화성수지의 경화전에 먼저 수지함침 섬유집속체 외주에 둘러싸여져 함께 경화됨으로, 결과적으로 섬유보강심재의 외주에 박리없이 안정된 금속 진공증착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텐트용 포울 {Tent Pole}
본 고안은 텐트용 포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성 광택을 나타내는 금속 진공증착층을 구비하여, 외관이 우수하고,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텐트용 포울에 관한 것이다.
예전에는 텐트용 포울의 재질로 강이나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파이프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금속 파이프로 제조된 텐트용 포울은 그 가격이 고가이며, 경량화에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유리섬유 등의 보강섬유가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합성수지재의 포울이 금속재 파이프를 대체하여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섬유보강포울은, 경량이고, 휨이나 전단에 대해서 충분한 강도를 지닌다는 장점이 있으나, 지외선에 의해 물성이 변해 열화되거나, 금속성 반사광택이 없는 관계로 그 자체가 약해 보여 상품성이 떨어진다는 결점이 있어, 표면에 금속도금층 또는 진공증착층을 형성하거나 알루미늄 색상의 도장층을 형성한 섬유보강 텐트용 포울이 제안된 바 있으나, 플라스틱은 상기한 바와 같은 도금층이나 증착층 또는 도장층 등과의 친화력이 부족하여, 플라스틱 표면에의 피복층형성 공정 자체가 곤란함은 물론이고, 연속 생산이 곤란하고 후가공을 필요로 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며, 제품으로 출하된 후에도 박리가 쉽게 일어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섬유보강포울의 표면에 금속피복층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종래 절단된 포울에 대해 단속 작업으로 이루어지던 금속 피복층의 형성 공정을 연속 공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텐트용 포울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텐트용 포울의 단면 및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텐트용 포울의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섬유보강심재 2 : 피복포층
3 : 금속 진공증착층 4 : 피복 수지층
2a : 피복 문양부 3a : 문양부
41 : 피복포 집속판 42 : 섬유집속체통과 다이
43 : 섬유집속체 통과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텐트용 포울은, 보강섬유사를 복수본 집속하여 이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되는 섬유보강심재와; 상기 섬유보강심재의 외주에 피복되는 피복포층과; 상기 피복포층의 외주에 형성되는 금속 진공증착층과; 상기 금속 진공증착층의 외주에 형성되는 피복 수지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알루미늄이나 구리, 니켈 티타늄 등의 금속 진공증착층이 친화력이 우수한 피복포에 진공증착되며, 피복포는 열경화성수지의 경화전에 먼저 수지함침 섬유집속체 외주에 둘러싸여져 함께 경화됨으로, 결과적으로 섬유보강심재의 외주에 박리없이 안정된 금속 진공증착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피복 수지층은 섬유집속체에 함침되어 있는 열경화성 수지가 피복포층 및 금속 진공증착층의 미세공을 통과하여 형성되게 되며, 경화된 피복 수지층의 외주에 유리섬유가 포함되지 않은 다른 재질의 수지층을 더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피복포층은, 직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시험결과에 의하면, 부직포로 형성할 때 진공증착층의 금속성 광택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얻을 수 있었으며, 부직포는 그 제조시 로울러나 프레스에 의한 압착공정이 따르게 되며, 압착용 로울러 등에 양각 문양을 두어 부직포에 압입 문양부를 형성한 후 진공증착을 하면, 압입부는 미세요철이 있는 타 부분에 비해 매끈한 평면을 갖게 되고, 압입부에 형성된 증착층은 요철없이 매끈하게 형성되므로, 타부분에 비해 금속 광택을 더 발하는 문양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함침 열경화성 수지에 조색제를 첨가하는 경우 조색제의 색상을 바탕으로 하는 금속성 광택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텐트용 포울의 단면 및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텐트용 포울의 제조 장치 및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본 고안에 따른 텐트용 포울은, 보강섬유사(12)를 복수본 집속하여 이에 열경화성 수지(31)를 함침시켜 형성되는 섬유보강심재(1)와, 섬유보강심재(1)의 외주에 피복되는 피복포층(2)과, 피복포층(2)의 외주에 형성되는 금속 진공증착층(3)과, 금속 진공증착층(3)의 외주에 형성되는 피복 수지층(4);으로 구성된다.
피복포층(2)은 금속 진공증착층(3)을 섬유보강심재(1)의 외주에 형성시키기 위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루미늄이나 구리, 니켈, 티타늄, 아연 등의 금속 진공증착층을 친화력이 우수한 피복포에 먼저 형성한 후, 피복포를 열경화성수지 경화전의 수지함침 섬유집속체(13)의 외주에 둘러쌈으로서 섬유보강심재(1), 피복포층(2), 금속 진공증착층(3)이 구획되며, 피복 수지층(4)은 섬유집속체에 함침되어 있는 열경화성 수지가 피복포층 및 금속 진공증착층의 미세공을 통과하여 형성되게 되며, 최외층의 피복 수지층(4)은 무수한 미세공을 통해 섬유보강심재(1)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인해, 박리가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으며, 따라서, 피복포층이나 금속 진공증착층 역시 피복 수지층에 의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피복포층이나 경화된 피복 수지층의 외주에 유리섬유가 포함되지 않은 다른 재질의 수지층을 더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피복포층(2)으로는, 직물이나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는 바, 직물을 사용하는 경우, 직조완료된 직물의 표면에 진공증착을 하여 이를 섬유집속체(13)의 외주에 둘러싸는 것도 가능하나, 위사나 경사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먼저 진공증착을 시킨 후 이를 직조하여 섬유집속체(13)의 외주에 둘러싸는 방법도 가능하다.
그러나, 시험결과에 의하면, 피복포층(2)을 부직포로 형성할 때 진공증착층의 금속성 광택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얻을 수 있었으며, 부직포는 그 제조시 로울러나 프레스에 의한 압착공정이 따르게 되며, 압착용 로울러 등에 양각 문양을 두어 부직포에 압입 문양부(2a)를 형성한 후 진공증착을 하게 되면, 압입 문양부(2a)는 미세요철이 있는 타 부분에 비해 매끈한 평면을 갖게 되고, 따라서 압입부에 형성된 진공증착층은 타 부분에 비해 요철없이 매끈하게 형성되므로, 타부분에 비해 금속 반사 광택을 더 발하는 문양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함침 열경화성 수지에 조색제를 첨가하는 경우 조색제의 색상을 바탕으로 하는 금속성 광택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미설명 부호5는 섬유보강심재(1) 내부의 중공부를 나타낸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텐트용 포울의 제조 장치 및 공정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설명하기로 한다.
보빈(11)에서 공급된 보강섬유사(12)가 복수본 집속되어 함침조(32)로 투입됨으로써 열경화성수지(31)가 함침된 수지함침 섬유집속체(13)가 형성되고, 수지가 함침된 섬유집속체(13)는 안내용 스틸봉(19, 33)을 거쳐 섬유집속체 통과다이(42)의 섬유집속체 통과공(43) 내부로 투입된다. 한편, 섬유집속체 통과다이(42)의 외주부에는 피복포 집속판(41)이 설치돠어 있어, 표면에 진공증착층이 형성되어 피복포롤(20)에 감겨있는 진공증착피복포(23)가 섬유집속체 통과다이(42)의 외주와 피속포 집속판(41) 사이로 투입된다.
섬유집속체 통과다이(42)로 투입된 섬유집속체(13)가 출구측으로 배출되기 전에 피복포 집속판(41)에 투입된 진공증착피복포(23)는 양측 자유단이 피복포 집속판의 내측면을 따라 서서히 겹쳐져 피복포 집속판(41)의 출구측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진공증착 피복포(23)가 섬유집속체(13)의 외주면을 완전히 감싼 상태로 배출되게 되며, 이 과정 중에 섬유집속체(13)에 함침되어 있는 열경화성 수지가 진공증착피복포(23)의 피복포 및 금속 진공증착층의 미세공을 통과하여 그 외주에 일정 두께로 베어나와 피복 수지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피복포층, 금속 진공증착층, 피복 수지층이 형성된 피복체(14)가 몰드(34)의 내부로 투입되어 가열경화됨으로써 텐트용 포울의 성형공정이 완료되게 되며, 이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텐트용 포울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텐트용 포울에 의하면,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금속 진공증착층이 친화력이 우수한 피복포에 진공증착되며, 피복포는 열경화성수지의 경화전에 먼저 수지함침 섬유집속체 외주에 둘러싸여져 함께 경화됨으로서, 결과적으로 섬유보강심재의 외주에 박리없이 안정된 금속 진공증착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되며, 부직포에 압입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금속 반사광을 띠는 문양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픔의 상품성을 고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섬유보강심재의 외주에 안정된 안정된 금속 진공증착층을 연속작업에 의해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따라서, 제조 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 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보강섬유사를 복수본 집속하여 이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되는 섬유보강심재와;
    상기 섬유보강심재의 외주에 피복되는 피복포층과;
    상기 피복포층의 외주에 형성되는 금속 진공증착층과;
    상기 금속 진공증착층의 외주에 형성되는 피복 수지층;을 구비하는 텐트용 포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수지층은 상기 섬유보강로드에 함침되는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상기 피복포층 및 상기 금속 진공증착층의 미세공을 통과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포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포층은, 부직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포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에는, 상기 금속 진공증착층이 미세 요철이 있는 타부분 보다 평활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압입 문양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포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에는 조색제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포울.
KR2020010001430U 2001-01-18 2001-01-18 텐트용 포울 KR2002273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430U KR200227301Y1 (ko) 2001-01-18 2001-01-18 텐트용 포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430U KR200227301Y1 (ko) 2001-01-18 2001-01-18 텐트용 포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965A Division KR100427223B1 (ko) 2001-01-18 2001-01-18 포울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301Y1 true KR200227301Y1 (ko) 2001-06-15

Family

ID=73062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430U KR200227301Y1 (ko) 2001-01-18 2001-01-18 텐트용 포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3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321B1 (ko) * 2002-07-05 2004-11-16 김국진 텐트경량폴 및 그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321B1 (ko) * 2002-07-05 2004-11-16 김국진 텐트경량폴 및 그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57757A (en) Elastomeric material covered rolls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JP5730287B2 (ja) 繊維複合材料および該繊維複合材料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CA1287716C (en) Resin transfer molding core, preform and process
JP5774465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製テープ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製造装置
US4330016A (en) Pipe part provided with a flange
AU759263B2 (en) Method for fabricating composite pressure vessels and products fabricated by the method
JPH0544908B2 (ko)
KR101499474B1 (ko) 파이프 제조방법
AU2002367127A1 (en) Fiber-reinforced resin ro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oll
US7547371B2 (en) Composite architectural column
KR100427223B1 (ko) 포울 및 그 제조 방법
JP2000303377A (ja) シュープレス用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27301Y1 (ko) 텐트용 포울
US7669331B2 (en) Roll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such a roll
US20080241446A1 (en)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s of filament winding, pultrusion and open molding that material
JPH06278216A (ja) ゴルフシャフト、釣り竿等の管状体の製造方法
KR920002908B1 (ko) 낚싯대
JPH06510250A (ja) 繊維強化合成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H0323887B2 (ko)
JP3289783B2 (ja) 熱可塑性樹脂含浸型複合補強繊維材料
JP3666743B2 (ja) 管状体
CN104416914B (zh) 一种碳纤维预浸料卷筒的制备方法
KR100341857B1 (ko) 복합형 낚싯대 성형물 및 그 제조장치
JPH10193466A (ja) Frp製管体の成形方法
JPS615740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