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218Y1 - 김 양식용 부통 - Google Patents

김 양식용 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218Y1
KR200227218Y1 KR2020000032346U KR20000032346U KR200227218Y1 KR 200227218 Y1 KR200227218 Y1 KR 200227218Y1 KR 2020000032346 U KR2020000032346 U KR 2020000032346U KR 20000032346 U KR20000032346 U KR 20000032346U KR 200227218 Y1 KR200227218 Y1 KR 200227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ring
support
cylindrical body
fla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병주
최정주
Original Assignee
우병주
최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병주, 최정주 filed Critical 우병주
Priority to KR2020000032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2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218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김 양식용 발을 해면에 뜨게하는 부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조는 저면을 평면부(1')로 성형한 통체(1)의 원통 둘레에 환요구(2)(2')를 형성하고, 좌우 원면의 ''자형 요구(3)와 연속된 중요구(4)를 통체 상면에 형성하며, 평면부(1') 양측에 두줄의 대요구(5)(5')를 형성하여서 통체의 원면에 덮개(6)와 고리(8)를 형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대요구 사이에 지지대 2개가 나란이 통체 저면에 결착되어 있어서 지지대와 통체 사이의 결착력이 우수하고 통체 저면은 넓은 사각형 평면부로 이루워졌으므로 심한 파도나 운항중인 선박의 쌘물결에도 발의 평형을 유지할 뿐더러 선박에 부딧쳐도 잘 파손되지 않은 것이다.

Description

김 양식용 부통 { FLOATING PAIL FOR THE LAVEL CULTIVATION }
본 고안은 김 양식용 발을 해면에 뜨게하는 합성수지재로 성형한 유사 원통형의 부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출원인이 선출원 선등록한 실용신안 등록 제20-0179178호 고안의 명칭 '김 양식용 부통'(이하 인용고안 1이라 함)의 요지 구조는 통체의 외벽에 공기 주입구와 연걸끈을 묶는 고리를 성형하고 벽면에 작은 요구를, 상하면에는 큰 요구를 형성한 통체인데 이 통체 상면 요구에 굵은 지지대 1개만을 끼워 묶에 되어 있고,통체에 끼워진 지지대의 접촉 길이가 짧아서 결착력이 약하여 통체의 해면상의 평형유지에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량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출원인이 선출원 등록한 실용신안 등록 제 20-0186340호 고안의 명칭 '김 양식용 부통'의 요지 구조는 사각 입방체의 통체의 상면에 대요구와 그 양편에는 중요구를 세로로 나란이 형성하고 별도로 두줄의 소요구에 고리를 성형하여서 이 양 고리에 묶은 끈으로 대요구나 중요구에 가로로 걸친 발 지지대에 부통을 결착하여 발을 해면에 뜨게하는 것이나 이 등록 고안은 부통과 지지대 사이의 결착력은 인용고안 1 보다는 높아졌으나 사각 입방 통체나 원주형 입방체의 이부통은 굵은 지지대를 묶이 위해 형성한 대요구는 1개 뿐이고, 가는 지지대를 묶기 위해 형성한 중요구는 2개이지만 지지대가 이 중요구에 결착되는 지지력이 약해서 부통을 고정시키는데에 한계가 있었으며, 끈을 묶는 양측의 고리도 약하여 고리가 쉽게 파손되어 부통을 사용할 수 없게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출원인이 선출원 선등록한 위와 같은 고안의 문제들인 부통의 불안정한 해면의 평형유지와 부통과 지지대 사이의 약한 결착 및 고리 등의 파손을 배제하기 위하여 종래 원통체인 부통의 저면을 평형 유지에 알맞게 평면으로 형성하고 이 평면의 저면 양측에 굵은 지지대 2개를 끼울수 있게 두줄의 대요구를 형성하였으며 부통과 2개의 지지대를 끈만으로도 강하게 묶을수 이도록 여러개의 환요구(環凹溝)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결점을 해결코자 하였을 분만 아니라 많은 부통을 함께 묶어서 운반하기 위하여 부통 옆면에 부통끼리 묶는 고리를 부착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 가-가'선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지지봉을 끈으로 결착한 실시도
도 4는 다수의 본 고안을 김 양식용 발의 지지봉에 묶어서 해면에 뜨게하는 실시도
도 5는 도 1의 본 고안의 일부 구조를 변경한 우측면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좌측면의 사시도
도 7은 도 6 나-나'선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1 및 도5의 본 고안의 일부 구조를 변경한 좌측면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측측면의 사시도
본 고안의 구조를 각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2호 도시한 고안에 있어서는,
합성수지제로 내부를 중공되게 성형한 유사 원통형의 통체(1)의 저면을 평면부(1')로 성형하고 원통 들레에는 나란히 두줄의 오목한 환요구(環凹溝)(2)(2')를 형성한다. 좌우 원면에 형성한 ''자형 요구(3)와 서로 연속되는 두줄의 중요구(中凹溝)(4)(4')를 상면에 형성하고 원통 저면의 평면부(1')에는 나란이 두줄의 대요구(大凹溝)(5)(5')를 ''자형 요구(3)와 연속되게 형성한다. 통체(1)의 좌측 원면인 ''자형 요구(3) 사이에 덮개(6)를, 통체(1)의 환요구(2)(2')사이의 오목한 요입부(7)에 평판형의 고리(8)를 형성하여 본 고안을 구성한다.
도 5, 6, 7로 도시한 고안에 있어서는,
통체(1)의 저면을 평면부(1')로 성형하고 원통 둘레에는 나란이 두줄의 오목한 환요구(9)(9')를 형성한다. 좌우의 원면에 나란이 형성한 두줄의 오목한 직선 요구(10)(10')와 서로 연속되는 두줄의 중요구(11)(11')를 상면에 형성하고, 통체(1)의 저면의 평면부(1')에는 두줄의 대요구(12)(12')를 직선 요구(10)(10')와 연속적으로 형성한다. 통체(1)의 우측 원면의 환요구(9)(9') 사이에는 덮개(13)를, 좌측 원통면의 환요구(9)(9') 사이의 오목한 요입부(14)에는 평판형의 고리(15)를 형성하여 고안을 구성한다.
도 8, 9로 도시한 고안에 있어서는,
통체(1)의 저면을 평면부(1')로 형성하고, 원통 둘레에는 나란이 두줄의 모목한 환요구(16)(16')를 형성하며 통체(1)의 저면의 평면부(1')에는 두줄의 대요구(17)(17')를 형성한다. 통체(1)의 우측 원면의 환요구(16)(16') 사이에는 덮개(18)를, 좌측 원통면의 환요구(16)(16') 사이의 오목한 요입부(19)에는 평판형의 고리(20)를 형성하여 고안을 구성한다.
도면중 미설명부 호 21은 김 양식용 발이고 22,22'는 부통과 발의 지지대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도 3의 실시도와 같이 발(21)을 지지하는 두개의 지지대(22)(22')의 일단을 통체(1)의 저면부의 대요구(5)(5')에 각각 끼워서 끈으로 묶고 통체(1)의 요구 사이에 지지대를 묶은 끈을 둘러서 통체에 결착하며, 이와 같이 지지대에 결착한 다수의 부구들을 도 4의 실시도와 같이 발의 좌우에 간격을 띄어서 나란이 연결하여 김 양식용 발을 해면에 뜨게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평면부 양측의 큰 홈인 대요구 사이에 지지대 2개가 나란이 통체 저면에 결착되어 있어서 지지대와 통체간의 결착력이 우수하고 통체 저면은 넓은 사각형 평면부로 이루워졌으므로 심한 파도나 운항중인 선박의 쌘물결에도 발의 평형을 유지할 뿐더러 선박에 부딧쳐도 잘 파손되지 않은 장점이 있는 고안인 것이다.
본고안은 통체와 지지대를 묶는 고리 없이 서로를 끈만으로 결착하므로 지극히 결착이 용이하며 원통면에 형성한 고리는 많은 부통을 고리와 고리 사이에 끈으로 연결하여 운반시에 펼리하도록 한 것이다.

Claims (3)

  1. 저면을 평면부(1')로 성형한 통체(1)의 원통 둘레에 환요구(2)(2')를 형성하고, 좌우 원면의 ''자형 요구(3)와 연속된 중요구(4)를 통체 상면에 형성하며, 평면부(1') 양측에 두줄의 대요구(5)(5')를 형성하여서 통체의 원면에 덮개(6)와 고리(8)를 형성한 김 양식용 부통.
  2. 제 1항에 있어서,
    저면을 평면부(1')로 성형한 통체(1)의 원통 둘레에 환요구(9)(9')를 형성하고, 좌우 원면에 두줄의 직선 요구(10)(10')와 연속되는 중요구(11)(11')를 통체 상면에 형성하며, 평면부(1') 양측에 두줄의 대요구(12)(12')를 형성하여 통체의 원면에 덮개(13)와 고리(15)를 형성한 김 양식용 부통.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저면을 평면부(1')로 성형한 통체(1)의 원통 둘레에 환요구(16)(16')를 형성하고, 평면부(1')의 양측에 두줄의 대요구(17(17')를 형성하여서 통체의 원면에 덮개(18)와 고리(20)를 형성한 김 양식용 부통.
KR2020000032346U 2000-11-18 2000-11-18 김 양식용 부통 KR200227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346U KR200227218Y1 (ko) 2000-11-18 2000-11-18 김 양식용 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346U KR200227218Y1 (ko) 2000-11-18 2000-11-18 김 양식용 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218Y1 true KR200227218Y1 (ko) 2001-06-15

Family

ID=73080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346U KR200227218Y1 (ko) 2000-11-18 2000-11-18 김 양식용 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2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515B1 (ko) * 2007-08-17 2009-05-08 이보형 수산양식용 부구의 제조방법
KR101789797B1 (ko) * 2017-02-22 2017-10-25 주식회사 코부이테크 양식용 친환경 부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515B1 (ko) * 2007-08-17 2009-05-08 이보형 수산양식용 부구의 제조방법
KR101789797B1 (ko) * 2017-02-22 2017-10-25 주식회사 코부이테크 양식용 친환경 부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7218Y1 (ko) 김 양식용 부통
US6321481B1 (en) Triangular fishing float
KR200186340Y1 (ko) 김 양식용 부통
WO2020199107A1 (zh) 海产品养殖浮漂和海产品水产养殖装置
JPS6213158U (ko)
KR101265692B1 (ko) 물놀이용 튜브
JPS6137018Y2 (ko)
KR200179178Y1 (ko) 김 양식용 부통(浮筒)
JPH0331849U (ko)
JP2007089526A (ja) ルアー
CN207885517U (zh) 一种垂钓用主线盒
JPH0319729Y2 (ko)
CN207461238U (zh) 一种虾形仿生鱼饵
KR930006354Y1 (ko) 부구연결관이 일체로 고정된 양식용 부구
KR200377363Y1 (ko) 어망용 부구.
US20010032408A1 (en) Triangular fishing float
JPH03122121U (ko)
JP4298855B2 (ja) ルアー
TWM632398U (zh) 浮標結構
TWM624616U (zh) 沉水中通浮標
KR200424335Y1 (ko) 분리형 막대찌
TWM581369U (zh) Fishing tackle buoy
JPH0515762U (ja) 鑑賞用飼育魚の餌受け具
TWM437619U (en) Buoy
JP3042944U (ja) 浮 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