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293Y1 - 미닫이식 도어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식 도어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293Y1
KR200226293Y1 KR2020000035978U KR20000035978U KR200226293Y1 KR 200226293 Y1 KR200226293 Y1 KR 200226293Y1 KR 2020000035978 U KR2020000035978 U KR 2020000035978U KR 20000035978 U KR20000035978 U KR 20000035978U KR 200226293 Y1 KR200226293 Y1 KR 200226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oor
hole
door frame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연
Original Assignee
유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연 filed Critical 유지연
Priority to KR2020000035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2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293Y1/ko

Link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닫이식 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며 설치 또한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도어를 닫음에 따라 자동적으로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구성을 미닫이식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맞닿는 일측 도어프레임으로 록킹홈을, 그와 대응되는 위치의 타측 도어프레임에는 설치홀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홀에는 내부 일측으로 삽입공이 형성된 지지격판이 형성되는 고정관과, 상기 지지격판의 일측으로 끝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록킹부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나선체결부가 형성된 지지봉이 형성되어 스프링과 같이 삽입되는 록킹구와, 상기 지지격판의 타측으로 상기 지지봉의 나선체결부와 나사결합되는 나선홈과 장공형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삽입되는 작동부재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닫이식 도어용 잠금장치{a locking device for slide door}
본 고안은 미닫이식 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며 설치 또한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도어를 닫음에 따라 자동적으로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미닫이식 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도어의 잠금장치는 각 도어프레임이 맞닿는 일측 도어프레임의 단부에 걸림고리를 설치하고 그와 대응되는 위치의 타측 도어프레임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고리로 걸려질 수 있도록 회전되는 잠금레버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미닫이식 도어의 잠금장치는 사용자가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잠금레버를 일일이 회전시켜 상기 걸림고리로 잠그거나 해제시켜야 하는 번거러움이 초래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사용자의 건망증(健忘症)이나 실수로 인해 도어가 잠겼는지 잠기지 않았는 지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 미닫이식 도어에 많이 사용되는 다른 잠금장치로는 스크류 타입으로, 상기 도어프레임이 맞닿는 부분의 일측 도어프레임에 록킹홀을 형성하고 그와 대응되는 타측 도어프레임에는 상기 록킹홀로 삽입되어 록킹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되어 지는 록킹스크류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 스크류 타입의 잠금장치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도어를 닫은 후에 일일이 록킹스크류를 사용하여 록킹 및 해제시켜야 하는 관계로,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함은 물론 오히려 록킹스크류를 록킹홀로 정확하게 삽입하여 체결해야 하는 더욱 불편한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며 설치 또한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도어를 닫음에 따라 자동적으로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도어의 슬라이딩시 그 슬라이딩되는 도어프레임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목적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미닫이식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맞닿는 일측 도어프레임으로 록킹홈을, 그와 대응되는 위치의 타측 도어프레임에는 설치홀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홀에는 내부 일측으로 삽입공이 형성된 지지격판이 형성되는 고정관과, 상기 지지격판의 일측으로 끝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록킹부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나선체결부가 형성된 지지봉이 형성되어 스프링과 같이 삽입되는 록킹구와, 상기 지지격판의 타측으로 상기 지지봉의 나선체결부와 나사결합되는 나선홈과 장공형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삽입되는 작동부재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부의 경사면 끝단에는 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도어의 잠금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2b는 도어의 오픈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설치홀 12 : 록킹홈
20 : 고정관
22 : 삽입공 24 : 지지격판
30 : 록킹구
31 : 경사면 32 : 록킹부
33 : 나선체결부 34 : 지지봉
36 : 스프링
40 : 작동부재
42 : 나선홈 44 : 관통공
50 : 롤러
100,110 : 도어프레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식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도어가 맞닿는 일측 도어프레임(100)으로 록킹홈(12)을, 그와 대응되는 위치의 타측 도어프레임(110)에는 설치홀(10)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홀(10)에는 내부 일측으로 삽입공(22)이 형성된 지지격판(24)이 형성되어 설치되는 고정관(20)과,
상기 지지격판(24)의 일측으로 끝단에 경사면(31)이 형성된 록킹부(32)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나선체결부(33)가 형성된 지지봉(34)이 형성되어 일반적인 탄성체인 스프링(36)과 같이 삽입되는 록킹구(30)와,
상기 지지격판(24)의 타측으로 상기 지지봉(34)의 나선체결부(33)와 나사결합되는 나선홈(42)과 일반적인 끈이나 와어어 또는 결속부재등을 묶어서 사용할 수 있는 장공형태의 관통공(44)이 형성되어 삽입되는 작동부재(4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록킹부(32)의 경사면(31)은 일측 도어가 닫치는 방향으로부터 점차적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진다.
또한, 상기 록킹구(30)의 록킹부(32)가 삽입되는 록킹홈(12)을 홈형태가 아닌 관통된 상태로 형성시켜도 무방하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도어의 잠금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일측 도어프레임(110)의 설치홀(10)에는 고정관(20)이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그 고정관(20)의 내부로 설치된 록킹구(30)의 록킹부(32)가 타측 도어프레임(100)으로 형성된 록킹홈(12)에 삽입되어 도어를 열수 없는 잠김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록킹구(30)의 록킹부(32)가 상기 록킹홈(12)로 삽입되는 것은 일점쇄선과 같이 열려 있던 일측 도어를 닫으므로서 상기 록킹부(32)의 경사면(31)으로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일단이 맞닿아 지면서 그 맞닿아 지는 록킹구(30)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고정관(20) 내로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36)이 수축되면서 상기 록킹구(30)가 상기 고정관(20) 내로 인입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닫혀지는 도어는 원활하게 닫혀짐과 아울러 상기 고정관(20) 내로 인입되었 있던 록킹구(30)가 그와 상응되는 위치로 형성된 도어프레임(100)의 록킹홈(12)과 일치될 때 수축되어 있던 상기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면서 자동적으로 록킹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로써, 도어를 닫음과 동시에 록킹이 이루어짐에 따라 별도의 록킹수단을 작동하거나 점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b는 도어의 오픈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도 2a의 상태에서 닫혀진 도어를 열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한 구성에서 록킹홈(12)으로 인입되어 있는 록킹구(30)의 록킹부(32)을 인출하여 록킹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다시말해서, 상기 고정관(20)의 타측으로 상기 록킹구(30)의 지지봉(34) 나선체결부(33)와 나성공(42)으로 나사결합되어 있는 작동부재(40)를 직접 당기거나 상기 작동부재(40)에 형성된 관통공(44)으로 일반적인 끈이나 와이어와 같은 결속부재를 묶어 놓은 상태에서 그 결속부재를 내측으로 당김에 따라 상기 록킹홈(12)으로 인입되어 있던 록킹구(30)가 상기 고정관(20) 내부로 인입되어져 록킹을 해제시킴으로서 도어를 열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록킹구(30)을 간편하게 인출시킴에 따라 록킹 또한 손쉽게 해제하므로서, 잠금된 도어를 편리하게 열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록킹홈으로 인입되는 록킹구(30)의 록킹부(32)인 경사면(31)의 끝단으로 일반적인 고정방식인 핀결합방식에 의해 회전자재케 롤러(50)가 고정설치되어 지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상기 록킹구(30)의 록킹부(32)가 록킹홈으로 인입 및 인출되어 도어가 닫히거나 열릴때 상기 롤러(50)가 그 도어프레임의 일면으로 맞닿아 회전됨에 따라 도어가 보다 자연스럽게 슬라이딩됨은 물론 도어프레임의 손상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며 설치 또한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도어를 닫음에 따라 자동적으로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도어의 잠금에 따른 사용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재차 도어의 록킹여부를 점검하지 않아도 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록킹구에 롤러를 설치함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도어프레임의 손상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사용상에 더욱더 편리성을 갖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Claims (2)

  1. 미닫이식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맞닿는 일측 도어프레임(100)으로 록킹홈(12)을, 그와 대응되는 위치의 타측 도어프레임(110)에는 설치홀(10)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홀(10)에는 내부 일측으로 삽입공(22)이 형성된 지지격판(24)이 형성되는 고정관(20)과, 상기 지지격판(24)의 일측으로 끝단에 경사면(31)이 형성된 록킹부(32)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나선체결부(33)가 형성된 지지봉(34)이 형성되어 스프링(36)과 같이 삽입되는 록킹구(30)와, 상기 지지격판(24)의 타측으로 상기 지지봉(34)의 나선체결부(33)와 나사결합되는 나선홈(42)과 장공형태의 관통공(44)이 형성되어 삽입되는 작동부재(4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용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32)의 경사면(31) 끝단에는 롤러(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용 잠금장치.
KR2020000035978U 2000-12-21 2000-12-21 미닫이식 도어용 잠금장치 KR200226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978U KR200226293Y1 (ko) 2000-12-21 2000-12-21 미닫이식 도어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978U KR200226293Y1 (ko) 2000-12-21 2000-12-21 미닫이식 도어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293Y1 true KR200226293Y1 (ko) 2001-06-15

Family

ID=7305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978U KR200226293Y1 (ko) 2000-12-21 2000-12-21 미닫이식 도어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2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8531A (en) Rotational housing assembly for a lock assembly with a removable core
JPH07116874B2 (ja) シリンダ状ロックアセンブリ
US6532629B2 (en) Dummy knob
US6116663A (en) Casket Lock
KR101042455B1 (ko) 마그네틱 키로 작동되는 로크
KR200226293Y1 (ko) 미닫이식 도어용 잠금장치
EP1717389A1 (en) Door handle
US4455846A (en) Security lock for coin operated machines
US6139072A (en) Push-pull door lock
KR200169262Y1 (ko) 발코니용 창의 잠금장치
KR200307419Y1 (ko) 미서기창에 사용되는 자물쇠 일체형 잠금장치
KR100426019B1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JP3937193B2 (ja) 引き戸用錠前
KR200203653Y1 (ko) 창문 자동 잠금장치
KR970008772B1 (ko) 레버형 도어록
KR20000075381A (ko) 강화유리도어용 도어 잠금장치
US20070028656A1 (en) Lockable pull handle
US20160281398A1 (en) Security latch for a swing bar door guard
KR19980065803A (ko) 록킹부의 방향 교환이 용이한 도어의 언록킹 장치
KR0129237Y1 (ko) 도어록에 있어서 괘정시 외측레버의 공회전장치
KR200189766Y1 (ko) 미닫이창의 자동 잠금장치
KR100314258B1 (ko) 도어용 보조키의 해정 방지장치
KR200218009Y1 (ko) 미닫이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KR960001231Y1 (ko) 매립형 손잡이겸 자물쇠
KR100246209B1 (ko) 문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