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700Y1 - 청동판과 스텐판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조립식제기 - Google Patents

청동판과 스텐판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조립식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700Y1
KR200225700Y1 KR2020000037257U KR20000037257U KR200225700Y1 KR 200225700 Y1 KR200225700 Y1 KR 200225700Y1 KR 2020000037257 U KR2020000037257 U KR 2020000037257U KR 20000037257 U KR20000037257 U KR 20000037257U KR 200225700 Y1 KR200225700 Y1 KR 2002257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upper body
plate
bronze
low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7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김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환 filed Critical 김성환
Priority to KR2020000037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7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7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700Y1/ko

Links

Landscapes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테인레스 스틸판과 청동판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조립식 제기에 관한 것으로, 측면벽이 거의 없거나 낮게 형성되어 있으면서 청동으로 이루어진 외부철판과 스텐으로 이루어진 내부철판의 이중구조를 갖는 상부몸체와 청동판만으로 이루어진 하부지지체로 구성되면서, 상기 상부몸체의 외부철판과 하부지지체의 연결부 중심에 각각 보울트관통구멍과 보울트체결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의 외부철판속에 내부철판이 긴밀 압착고정설치되며, 상기 내부철판의 밑면 중앙에 연결보울트가 용접 고정되어 있는 한편, 상기 하부지지체 내부에 보울트체결용 너트가 보울트 체결구멍과 연통하도록 고정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조에 따르면 측벽이 낮은 접시형의 상부몸체를 가지는 조립식 제기에서도 상부몸체의 내벽면을 스텐판으로 이중 형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연결보울트를 설치하여 하부지지체와 조립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청동판과 스텐판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조립식제기{A sectional dish for worship made by a stainless steel plate and a bronze plate}
본 고안은 상부몸체와 하부지지체가 조립할 수 있게 이루어진 조립식 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동판과 스테인레스 스틸판이 복합된 복합층으로 이루어지면서 조립할 수 있게 한 구조의 조립식 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찰 또는 가정에서 제사 등을 위해 많이 사용하는 제기는 일반적인 형태의 그릇과 달리 음식을 담는 쟁반 또는 그릇형태로 된 상부몸체의 아래쪽에 소정 높이의 지지체를 갖추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제기는 상부의 몸체 아래쪽에 하부지지체가 돌출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개의 제기를 보관하거나 다른 장소로 이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개개의 제기를 조밀하게 적재할 수가 없고 보관 및 이송부피가 커지게 되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기의 상부몸체와 하부의 지지체를 나사식으로 조립할 수 있게 하여 보관하거나 이송하는 경우에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분리하여 조밀하게 적재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부피가 적어져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게 한 조립식 제기가 제안되어 있다.
한편, 제기를 만드는 재료로서 일찌기 나무가 사용되었으나 금속공업의 발달에 따라 중후함을 느낄 수 있게 하고 보온성이 좋은 청동이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 청동은 무게가 무겁고 녹이슨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 후 녹이 슬지 않으면서 가볍고 항상 빤짝거리는 광택을 잃지 않는 스테일레스 스틸(이하 스텐이라함)이 개발되자 이 스텐을 소재로 한 제기가 많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이 스텐은 상기한 바와 같은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청동에 비하여 중후함이 떨어지고 보온성이 떨어지는 큰 단점이 있었고, 이러한 이유와 함께 복고풍의 패션감에 의해 다시 청동으로 만든 제기를 많이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청동으로 만든 제기는 산소와 접촉하여 인체에 해로운 청녹이 슬게 되는데, 특히 이러한 현상은 사찰 등에서 오랜 시간 동안 음식을 담아 두어야 하는 경우에 더욱 녹이 많이 슬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 녹은 닦아주면 제거할 수가 있기는 하지만, 많은 갯수의 제기를 닦는 작업이 무척 번거로운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상부몸체와 하부지지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제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부몸체의 바닥에 조립용 볼트를 용접으로 고정설치하여야 하는데, 청동에 볼트를 용접결합하면 용접부분이 검게 타게 되어 외관이 깨끗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에서 청동의 장점과 스텐의 장점을 함께 취할 수 있게 하는 방안으로서, 예컨대, 특허등록 1992-7803호의 '스테인레스 스틸이 내장된 놋그릇의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이 제안되어 있는 바, 이 발명의 방법은 스텐용기의 바깥에 청동용기를 단순히 덧입혀 제작하되, 외부의 청동용기가 내부의 스텐용기에 긴밀하게 결합해 있게 하기 위해, 외부의 청동용기를 상하 2개부분으로 나누어서 서로 결합고정시키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외부의 청동용기를 상하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제작하면서 주조방법을 통하여 제작한 후 다시 나선을 가공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주조방법을 이용하여 만든 용기는 무거워 취급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외부의 청동용기를 내부의 스텐용기에 단순히 덧씌운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외부의 용기가 서로 일체감이 있게 결합되지 못하여 하나의 용기라는 느낌을 느끼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제기의 구조에는 그대로 적용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접시와 같이 측벽이 거의 없거나 있어도 그 높이가 낮은 형태의 용기에는 원천적으로 적용시킬 수 없는 기술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상부몸체와 하부지지체가 서로 조립된 구조의 조립식 제기에 청동과 스텐을 함께 사용하여 양자의 장점을 동시에 취할 수 있으면서, 조립식 볼트의 용접으로 인한 외관이 흐트러지지 않게 한 조립식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측면벽이 거의 없거나 낮게 형성되어 있으면서 청동으로 이루어진 외부철판과 스텐으로 이루어진 내부철판의 이중구조를 갖는 상부몸체와 청동판만으로 이루어진 하부지지체로 구성되면서, 상기 상부몸체의 외부철판과 하부지지체의 연결부 중심에 각각 보울트관통구멍과 보울트체결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의 외부철판속에 내부철판이 긴밀 압착고정설치되며, 상기 내부철판의 밑면 중앙에 연결보울트가 용접 고정되어 있는 한편, 상기 하부지지체 내부에 보울트체결용 너트가 보울트 체결구멍과 연통하도록 고정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조에 따르면 측벽이 낮은 접시형의 상부몸체를 가지는 조립식 제기에서도 상부몸체의 내벽면을 스텐판으로 이중 형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연결보울트를 설치하여 하부지지체와 조립할 수 있게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라 청동판과 스텐판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조립식 제기에 대한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라 청동판과 스텐판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조립식 제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상부몸체 1a - 내부철판
1b - 외부철판 1c - 컬링부
2 - 하부지지체 3 - 연결보울트
4 - 보울트관통구멍 5 - 보울트 체결구멍
6 - 너트 7 - 오목홈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 은 본 고안에 따라 만들어진 조립식 제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제기는 측면벽이 거의 없거나 낮게 형성된 상부몸체(1)와 이 상부몸체(1)가 나사결합되는 하부지지체(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몸체(1)는 청동으로 이루어진 외부철판(1a)과 스텐으로 이루어진 내부철판(1b)이 겹쳐진 이중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철판(1b)의 밑면 중앙에 상부몸체(1)와 하부지지체(2)를 연결하는 연결보울트(3)가 용접 고정되어 있는 한편, 상기 상부몸체(1)의 외부철판(1a)과 하부지지체(2)의 연결부 중심에 상기 연결보울트(3)가 관통 및 체결되는 보울트관통구멍(4)과 보울트체결구멍(5)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지체(2)의 내부에 보울트체결용 너트(6)가 보울트 체결구멍(5)과 일치하는 위치에 고정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에서 스텐으로 만들어진 내부철판(1a)에 미리 연결보울트(3)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보울트(3)를 외부철판(1b)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보울트관통구멍(4)속으로 삽입시킨 후, 상기 내부철판(1a)을 위쪽에서 강한 힘으로 압착하여 누르면 내부철판(1a)이 외부철판(1b)속에 긴밀하게 끼워진 상태로 접촉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내부철판(1a)을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몸체(1의 바닥면에만 배치되게 한 상태에서도, 내부철판(1a)을 외부철판(1b)에 대고 압착하여 누르면 이들 양쪽 철판(1a,1b)이 용접이나 기타 다른 별도의 연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하나의 몸체와 같은 형태로 긴밀하게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외부철판(1b)을 이루는 청동이 오무려드는 성질이 있고, 내부철판(1a)을 이루는 스텐은 바깥쪽으로 펴질려는 성질이 있으므로, 이들 양쪽 철판(1a, 1b)의 서로 반대되는 성질이 서로 합세하여 긴밀한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내부철판(1a)의 바닥면에 연결보울트(3)가 고정부착되어 있으면서, 이 연결보울트(3)를 통해 상부몸체(1)가 아래쪽의 하부지지체(2)에 체결되어지기 때문에, 상기 내부철판(1a)이 외부철판(1b)에 긴밀하게 접촉하는 상태를 도와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와 같이 내부철판(1a)에 연결보울트(3)의 헤드(3a)가 용접으로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내부철판(1a)을 외부철판(1b)에 밀착시킬 때, 상기 외부철판(1b)에 연결보울트(3)의 헤드(3a)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홈(7)을 미리 형성시켜 둠으로써 내부철판(1a)과 외부철판(1b)이 긴밀한 접촉상태로 결합되어질 수 있게 할 수가 있다.
한편, 도면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실시예가 도면 1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내부철판(1a)이 외부철판(1b)의 측벽면까지 연장배치되어 있다는 점인데, 이 도면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1)의 측벽이 상단으로 올라갈 수록 바깥쪽으로 벌어질려는 구조에서는 내부철판(1a)의 상단을 외부철판(1b)의 상단보다 길이를 짧게 하여 내부철판(1a)이 외부철판(1b)에 긴밀하게 접촉된 상태에서, 내부철판(1a)의 위쪽으로 올라온 외부철판(1b)을 안쪽으로 접어 넣은 컬링부(1c)를 형성시키면, 내부철판(1a)이 외부철판(1b)에 긴밀하게 밀착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제기는 측벽이 낮거나 거의 없는 접시형태의 상부몸체와 하부지지체로 구성된 조립식 제기에서도, 청동으로 이루어진 외부철판의 내부에 스텐으로 이루어진 내부철판을 용접 등과 같은 별도의 연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긴밀하게 접촉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 흔적이 거의 없게 용접할 수 있는 스텐으로이루어진 내부철판에 연결보울트를 고정부착킨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외피가 청동으로 이루어진 상부몸체와 하부지지체를 깨끗한 모습으로 조립연결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음식을 담는 상부 몸체(1)와 이 상부 몸체(1)와 결합되어 지지하는 하부지지체(2)로 구성된 조립식 제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가 측면벽이 거의 없거나 낮게 형성되어 있으면서 청동으로 이루어진 외부철판(1b)과 스텐으로 이루어진 내부철판(1a)의 이중구조를 갖는 상부몸체(1)와 청동판으로 이루어진 하부지지체(2)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1)의 외부철판(1b)속에 내부철판(1a)이 긴밀 압착고정설치되며, 상기 상부몸체(1)의 외부철판(1b)과 하부지지체(2)의 연결부 중심에 각각 보울트관통구멍(4)과 보울트체결구멍(5)이 각각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지지체(2)의 내부에 보울트체결용 너트(6)가 보울트 체결구멍(5)과 연통하도록 고정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철판(1a)이 상부몸체(1)의 측벽까지 연장형성되고, 내부철판(1a)의 상단이 외부철판(1b)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으면서, 내부철판(1a)이 외부철판(1b)에 긴밀 접촉한 상태에서 외부철판(1b)의 상단을 안쪽으로 접어 컬링부(1c)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제기.
KR2020000037257U 2000-12-30 2000-12-30 청동판과 스텐판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조립식제기 KR2002257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257U KR200225700Y1 (ko) 2000-12-30 2000-12-30 청동판과 스텐판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조립식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257U KR200225700Y1 (ko) 2000-12-30 2000-12-30 청동판과 스텐판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조립식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700Y1 true KR200225700Y1 (ko) 2001-06-01

Family

ID=73094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257U KR200225700Y1 (ko) 2000-12-30 2000-12-30 청동판과 스텐판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조립식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7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019A (ko) * 2002-01-29 2003-08-06 최영준 접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019A (ko) * 2002-01-29 2003-08-06 최영준 접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0940A (en) Containers for liquids
KR200225700Y1 (ko) 청동판과 스텐판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조립식제기
JPH0450825Y2 (ko)
KR200225440Y1 (ko) 스텐과 청동의 복합용기
CA2026119C (en) Tubular reinforcement element and a method of making same
EP0763996B1 (en) Connecting element with a polygonal weld portion for connecting a cooking vessel to a gripping elem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connecting element
JPS62187726U (ko)
KR950003977Y1 (ko) 밀대에 있어서 마포받침 상·하판의 결합구조
JPH0522645Y2 (ko)
KR200202378Y1 (ko) 탑차 적재함용 도어힌지 브라켓트
JP2575668Y2 (ja) ヘッドラッグ
KR200341275Y1 (ko) 이중 머그컵
JPH0537780Y2 (ko)
JPS6149484U (ko)
JPH0370838U (ko)
JPS5837342Y2 (ja) 注ぎ器における注ぎ管の連結構造
JP2006168436A (ja) 燃料タンク
KR200219616Y1 (ko) 자루걸레의 몸체
JP2002364047A (ja) 流し台の天板とシンクとの接合構造
JPS5841251U (ja) 家具用コ−ナ材
JPS5893531A (ja) 自転車用ハンドルポス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110541Y2 (ko)
JPH0381840U (ko)
JPH0423693U (ko)
JPS63131885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