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644Y1 - 이벤트 발생 정보의 무선 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이벤트 발생 정보의 무선 알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644Y1
KR200225644Y1 KR2020000035967U KR20000035967U KR200225644Y1 KR 200225644 Y1 KR200225644 Y1 KR 200225644Y1 KR 2020000035967 U KR2020000035967 U KR 2020000035967U KR 20000035967 U KR20000035967 U KR 20000035967U KR 200225644 Y1 KR200225644 Y1 KR 2002256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user
wireless
unit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9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디엔엠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디엔엠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디엔엠 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200000359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6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6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644Y1/ko

Link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벤트 발생 정보의 무선 알림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지정한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발생을 검출하는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이벤트 검출 프로그램이 검출한 이벤트 검출 정보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는 컴퓨터시스템과 무선으로 연동되어 송신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동작하는 컴퓨터 주변에 놓을 수 있는 이벤트 발생을 무선으로 알리는 장치에 있어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무선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이벤트 발생 정보를 분석하는 판독부; 판독부의 결과에 따라 이벤트 발생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무선 수신부, 판독부 및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컴퓨터 사용자는 사용자가 지정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무선으로 컴퓨터 주위에 놓을 수 있는 완구 등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이를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벤트 발생 정보의 무선 알림 장치 {WIRELESS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EVENT}
본 고안은 이벤트 발생정보의 무선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이벤트 발생을 사용자가 매순간 점검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무선 송신부를 통하여 검출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송신하면 이를 무선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판독하여 그 판독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지정한 동작을 출력하게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의 무선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컴퓨터의 사용자가 지정한 이벤트 예컨데 전자우편의 수신, 운영체제에 의해 발생한 이벤트 및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 등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방법은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팝-업창을 띄우거나 스피커를 통한 알람을 이용하는 방식이었다.
또한 사무실, 가정 등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컴퓨터 주변에 시각적인 효과를 위하여 완구 또는 악세세리 등을 놓아두는 경우가 많아졌다.
더불어 등록실용신안 제20-0190528호에 기재된 고안(이-메일 판독용장치 및 그 장치를 내장한 완구)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유선으로 된 연유로 그 위치설정에 제한이 따르는 등 실질적으로 이 고안을 사용함에 있어서 불편함이 있고 이벤트도 전자우편의 수신인 경우에 한정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목적은 컴퓨터의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컴퓨터 주변에 놓을 수 있는 완구 등을 이용하여 이벤트의 발생을 알려줌으로서 컴퓨터의 주변에 놓을 수 있는 완구 등에 완구가 제공하는 시각적인 효과 이외에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실용적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완구의 부가가치를 한층 더 높이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유로운 위치선정 및 보다 다양한 이벤트 발생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무선 알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알림 장치 및 이와 연동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장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알림 장치를 이용한 이벤트 발생 정보의 통보과정을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메일서버 510... 무선 수신부
200... 인터넷 520... 판독부
300... 컴퓨터 530... 선택부
400... 무선 송신부 540... 전원부
500... 무선 알림 장치 550... 출력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이벤트 발생 정보의 무선 알림 장치는 사용자가 지정한 이벤트 발생시 상기 이벤트 발생을 검출하는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상기 이벤트 검출 프로그램이 검출한 이벤트 검출 정보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는 컴퓨터시스템과 무선으로 연동되어 상기 송신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동작하는 컴퓨터 주변에 놓을 수 있는 이벤트 발생을 무선으로 알리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분석하는 판독부; 상기 판독부의 결과에 따라 이벤트 발생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무선 수신부, 상기 판독부 및 상기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사용자의 전자우편 계정을 가진 서버에 사용자의 전자우편이 수신된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웹서버에 연결된 경우,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동작이 컴퓨터 운영체제에 의해서 발생된 경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가 사용자의 전자우편 계정을 가진 서버에 전자우편의 수신인 경우에는 이벤트 발생정보는 전자우편 발신자, 발신일, 전자우편 제목을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가 사용자가 지정한 동작이 컴퓨터 운영체제에 위해서 발생된 경우에는 상기 이벤트는 타이머 동작, 운영체제의 로그인, 입출력동작 중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무선 수신부는, RF 또는 BLUETOOTH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수신정보 출력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부를 대신하여 컴퓨터의 이벤트를 검출하는 램 상주프로그램에서 출력부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수신정보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출력부는 스피커 구동부, 모터 구동부, LED 구동부 중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충전용 밧데리 또는 일회용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고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알림 장치 및 이와 연동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장치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해 이벤트 발생검출부(310)와 무선 송신부(400)를 포함하는 컴퓨터(300)는 무선 송신부(400)를 통하여 무선 알림 장치(500)에 이벤트 검출 정보를 송신한다. 무선 알림 장치(500)는 무선 수신부(510), 판독부(520), 선택부(530), 전원부(540) 및 출력부(550)를 포함한다. 출력부(550)는 스피커구동부(550a), 모터구동부(550b) 또는 LED구동부(55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이벤트란 사용자의 전자우편 계정을 가진 서버에 사용자의 전자우편이 수신된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웹서버에 연결된 경우,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동작이 컴퓨터 운영체제에 의해서 발생된 경우 중 하나 또는 복수개의 발생을 말하는 것으로 컴퓨터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줄 수 있는 것이면 상기 예시된 것에 한하지 아니한다.
이벤트가 사용자의 전자우편 계정을 가진 서버에 사용자의 전자우편이 수신된 경우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웹서버에 연결된 경우에는 컴퓨터(300)는 인터넷(200)을 통하여 사용자의 전자우편 계정을 관리하는 메일서버(100) 또는 웹서버(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다.
이벤트 발생검출부(310)는 사용자가 지정한 이벤트를 검출하는 부분으로서 통상적으로 램 상주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지정한 이벤트의 발생을 실시간으로 검출해내기 위함이다.
사용자의 전자우편 계정을 가진 메일서버(100)에 사용자의 전자우편이 수신을 검출하는 램 상주프로그램은 통상적으로 개인용 컴퓨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메일체크 프로그램, 예컨데 MS Outlook, Outlook Express, Eudora, Free Mail Checker 2000, 모티즌 알림이 등에서 채용되고 있는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정한 웹서버에 연결된 경우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웹 브라우저, 예컨데 MS Explorer 또는 Netscape Navigator등을 이용하여 현재 접속한 웹사이트의 주소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웹사이트의 주소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할 수 있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를 검출하는 램 상주프로그램은 개인용 컴퓨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이러스 퇴치 프로그램, 예컨대 Norton Anti-Virus, ViRobot 2000 Professional 등에서 채용되고 있는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정한 동작이 컴퓨터 운영체제에 의해서 발생된 경우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운영체제, 예컨데 MS Window, Linux, Unix 등의 운영체제가 운영체제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혹은 응용프로그램의 시스템 호출(System Call)을 받아서 사용자가 지정한 이벤트를 발생시킨 경우에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게 할 수 있도록 이벤트 검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운영체제란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 위치하여 응용프로그램이 하드웨어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고 시스템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자원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의 집합을 말하는데 전형적으로 운영체제가 하는 일은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관리 그리고 입출력 서비스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운영체제가 수행하는 일 중 사용자가 통보 받기를 원하는 서비스를 지정하여 이를 운영체제가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통보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영체체가 수행하는 일 중 입출력 서비스는 일반 컴퓨터 사용자의 관심을 끌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프린트 작업을 시작하거나 프린트 작업이 성공적으로 끝나는 경우 사용자가 이를 음성이나 다른 알림방법으로 통보 받기를 원하는 경우가 있을수 있다.
상기의 경우에는 운영체제가 하는 일 중 입출력 서비스에 관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시스템 프로그래머 등 컴퓨터의 하위레벨 사용자등에게 있어서는 기억장치 관리, 프로세스 관리 등 운영체제의 다른 업무수행에 관하여서도 이를 통보받기를 원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무선 송신부(400)는 컴퓨터(300)의 이벤트 발생 검출부(310)에서 검출한 이벤트 발생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이벤트 발생 정보의 무선 알림 장치(500)의 무선 수신부(510)로 송신하는 부분이다.
이벤트 발생검출부(310)에서 검출된 이벤트 발생정보를 무선 송신부(400)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무선 송신부(400)는 컴퓨터(300)와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RS-232C(Recommended Standard 232 Revision C)등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USB란 직렬포트의 일종으로 오디오플레이어, 조이스틱, 키보드, 전화, 스캐너 및 프린터 등과 같은 주변기기와 컴퓨터간의 플러그 앤 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따라서, 무선 송신부(400)는 플러그 앤 플레이 인터페이스인 USB를 사용함으로서 컴퓨터 커버를 여는 번거러움 없이 컴퓨터와 연결 가능하게 된다.
또한 RS-232C란 컴퓨터들과 관련 장치들간의 직렬 데이타 통신을 하기 위한 물리적 연결과 프로토콜에 관해 EIA(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에 의해 정의된 표준이다. 따라서, 무선 송신부(400)는 RS-232C를 사용함으로서 컴퓨터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알림 장치(500)의 무선 수신부(510)는 컴퓨터(300)의 무선 송신부(400)에서 송신한 이벤트 발생정보를 수신하는 부분이다.
무선 송신부(400)와 무선 수신부(510)사이의 통신은 사업자가 본 고안의 실시에 적합한 무선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근자에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프로토콜을 활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블루투스란 음성, 비디오, 데이타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10~100m내 거리에서 최대 1Mbps 속도로 전송할 수 있는 기술로 휴대폰, PC 등의 통신 기기간 데이타 송수신뿐만 아니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한 무선 인터넷 접속기술로도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블루투스 무선 프로토콜을 무선 송신부(400)와 무선 수신부(510)사이의 통신에 이용하게 되면, 적외선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경우 적외선의 직진성으로 인한 일정각도의 유지 등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고 저소비 전력(대기상태 0.3mA, 송수신시 30mA)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특히 블루투스는 Point to Point, Point to Multi 방식의 연결을 지원하므로, 본 고안에 있어서 무선 알림 장치가 하나인 경우는 물론 복수개의 경우에도 그 지원이 가능하게 된다.
판독부(520)는 무선 수신부(510)에서 수신한 이벤트 발생정보를 분석하는 부분이다. 무선 수신부(510)을 통하여 수신된 이벤트 발생정보는 판독부(520)에 의하여 판독되어 발생된 이벤트가 무엇인지 확인된다. 아래 표1과 같이 발생 가능한 이벤트에 구별 가능한 코드를 각각 할당하여 코드를 분석함으로서 발생된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
발생된 이벤트 할당 코드
전자우편이 수신된 경우 1
사용자가 지정한 웹서버에 연결된 경우 2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 3
운영체제에 의한 이벤트 발생 4
예를들면, 판독부(520)에서 무선 수신부(510)를 통하여 전달된 이벤트 발생정보 중 발생된 이벤트 해당 코드가 4 임을 판독 해내면, 운영체제에 의한 이벤트 발생의 경우 할당코드가 4이므로 발생된 이벤트가 운영체제에 의한 이벤트의 발생임을 알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운영체제에 의한 이벤트 발생의 경우를 세분화하여 할당코드를 부여함으로서 사용자는 상세한 이벤트 발생정보를 얻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아래 표2와 같이 할당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발생된 이벤트 할당 코드
타이머 동작 4a
운영체제에 로그인 4b
입출력 동작 4c
표2에 할당된 코드를 더 세분화하여 사용자는 더 상세한 이벤트 발생정보를 얻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입출력동작 중 키보드인 경우 할당코드 4ca, 마우스인경우 할당코드 4cb, 프린터인경우 할당코드 4cc등으로 코드를 부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프린터 출력의 시작인 경우 4cca, 프린터 출력의 완료인경우 4ccb, 프린터 작업중 에러가 발생한 경우 4ccc 등의 코드를 할당하여 사용자에게 발생된 이벤트 정보를 더욱 상세하게 알려줄 수 있다.
상기에서 예시된 코드할당은 본 고안의 일실시에 불과하므로 실제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다양한 이벤트에 대하여 구별가능한 적절한 코드를 할당할 수 있고 발생 이벤트에 대하여 더욱 상세한 정보를 원한다면 할당코드를 더 세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부(530)는 출력부(550)의 동작을 결정하는 부분으로 출력부(550)를 이루는 스피커 구동부(550a), 모터 구동부(550b) 또는 LED 구동부(550c) 중 하나 또는 복수개의 출력 태양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선택부(530)는 스피커 구동부(550a), 모터 구동부(550b), LED 구동부(550c) 및 상기의 조합과, 이벤트 정보를 판독하여 출력부(550)로 전송하는 판독부(520)간에 전기적 신호가 흐를 수 있도록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회전 스위치를 이용하여 출력부(550) 태양의 가능한 조합 수인 7가지의 상태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고 각 상태에 각 선택된 출력부 또는 그 조합들을 대응시킬 수 있다. 또는 3개의 온-오프 스위치를 이용하여 각 출력부를 이루는 스피커 구동부(550a), 모터 구동부(550b) 또는 LED 구동부(550c)를 대응시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조합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부(530)를 대신하여 컴퓨터(300)의 이벤트를 검출하는 램 상주프로그램에, 발생사실을 통보 받기를 원하는 이벤트를 지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부가적으로 출력부(550)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있어서 선택부(530)는 선택적으로 추가할 수 있는 부분이 된다.
컴퓨터(300)상에서 램 상주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로 출력부(550)의 태양 선택과 이벤트 발생의 무선 알림 장치(500)에 부가된 선택부(530)로 출력부(530)의 태양을 선택할 수 있는 경우, 즉 둘 다 가능한 경우에는 리모트 키(도시되지 않음)로 양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 리모트 키란 리모트 키가 켜진 경우에는 컴퓨터상의 인터페이스로의 선택이 가능한 경우가 되며, 리모트 키가 꺼진 경우에는 컴퓨터상의 인터페이스로는 선택이 불가하고 반드시 본 고안의 장치에 부가된 선택부의 선택키를 조작하여 선택하여야 하도록 하여 양 기능을 조절하기 위해 마련한 키이다.
컴퓨터(300)상에서 램 상주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로 출력부(550) 태양을 선택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출력동작 정보는 이벤트 발생정보와 함께 무선 송신부(400)와 무선 수신부(510)를 통하여 판독부(520)로 전송되고 판독부(520)는 이를 판독하여 출력부(550)를 구성할 수 있는 스피커 구동부(550a), 모터 구동부(550b) 및 LED구동부(550c) 중 하나 또는 복수개를 구동 시킬수 있다. 예를 들면, 아래 표3과 같이 스피커 구동, 모터 구동 및 LED구동에 코드를 할당한다.
출력 동작 할당 코드
스피커 구동 100
모터 구동 10
LED 구동 1
만약 이벤트 발생정보와 함께 100 코드가 무선 송신부(400)과 무선 수신부(510)를 통하여 전송되어 판독부가 이벤트 발생정보와 함께 100 코드를 검출하였다면 스피커 구동부에 스피커 구동을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구동, 모터 구동, LED 각각의 구동은 물론이고 이들의 조합도 가능한데 만약 이벤트 발생정보와 함께 101 코드가 무선 송신부(400)과 무선 수신부(510)를 통하여 전송되어 판독부가 이벤트 발생정보와 함께 101 코드를 검출하였다면 스피커 동작 과 LED 구동을 함게 원하는 경우가 되므로 스피커 구동부 및 LED구동부에 이들의 구동을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조합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 할 수 있다.
전원부(540)는 본 고안의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 본 고안의 장치의 무선 수신부(510), 판독부(520), 선택부(530), 출력부(5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전원부(540)는 충전용 밧데리 또는 일회용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장치(500)를 나타내는 블럭도 중 이중 화살표가 각 구성부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물리적 연결관계를 나타낸다
출력부(550)는 스피커구동부(550a), 모터구동부(550b) 또는 LED구동부(55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출력부(550)는 판독부(520)에서 판독한 정보에 따라 구동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지정한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주는 부분으로 판독한 정보에 상응하는 일정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피커구동부(550a)는 음성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이벤트 발생을 알려주는 스피커를 구동하는 부분으로 선택부(530) 또는 컴퓨터상의 램 상주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 의해 스피커 구동으로 출력방법이 선택된 경우 음성메모리 IC와 스피커로 이루어진 스피커 구동부가 동작한다. 이벤트 수신정보 판독부의 처리결과에 따라 음성데이타로 변환하도록 음성메시지를 저장한 음성메모리 IC는 대응하는 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발생될 이벤트 코드에 해당하는 음성메시지를 음성메모리 IC에 저장하여 해당 코드에 의해 음성메시지가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면 아래 표4와 같이 프린터에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 코드에 할당된 메시지를 음성 IC에 저장할 수 있다.
발생된 이벤트 할당 코드 출력될 음성 메시지
프린터 출력 시작 4cca '프린터 출력이 시작됩니다.'
프린터 출력 완료 4ccb '프린터 출력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프린터 출력 에러 4ccc '프린터 출력에 에러가 발생하였읍니다.'
예를들면, 선택부(530)에 의해 스피커구동부(550a)가 선택되고 이벤트 발생정보가 4ccb인 경우에 음성메모리 IC에서 '프린터 출력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라는 음성을 출력한다.
모터구동부(550b) 본 고안의 장치를 특정 방식으로 동작 시킴으로서 사용자가 지정한 이벤트 발생을 알려주는 부분으로 본 고안의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구동부(55b)인 경우에도 스피커구동부(550a)의 경우와 유사하게 발생된 이벤트 별로 특정동작을 할 수 있는 명령어를 저장한 롬(도시되지 않음)과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발생된 이벤트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LED구동부(550c)는 LED의 점멸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이벤트 발생을 알려주는 부분으로 LED를 포함하며 LED의 점멸 횟수 또는 점멸속도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우편 수신시 통보받기를 원하여 이를 설정한 경우에 점멸횟수는 수신된 전자우편의 수라든지 또는 점멸속도를 빨리 하여 시급을 요하는 우편을 표시할 수도 있다. 자신이 원하는 사람으로부터 전자우편이 도착한 경우에도 점멸속도 등으로 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출력부(500)의 태양은 상기 예시된 경우에 한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서로 조합되어 운용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스피커, LED 및 모터의 구동이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발생한 이벤트가 긴급한 상황임을 알리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출력부(500)는 실시예로 나타난 음성, 동작, LED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오감을 자극하여 이벤트의 발생을 알릴 수 있는 수단은 모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리필 가능한 향수를 분사케하여 이벤트의 발생을 알릴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특정 향수를 특정 이벤트나 특정인에 의한 이벤트로 연결시켜 본 고안을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알림 장치를 이용한 이벤트 발생 정보의 통보과정을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에 따라 본 고안을 이용한 이벤트 발생 정보의 통보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이벤트 발생을 검출하는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이벤트를 지정하는 단계(S10), 이벤트 발생을 검출하는 단계(S11), 이벤트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S12), 검출된 이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13), 송신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4), 수신된 이벤트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S15), 판독부(520)의 결과에 따라 이벤트 발생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6)를 거쳐 이루어진다.
이벤트 발생을 검출하는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이벤트를 지정하는 단계(S10)에서는, 사용자가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는 프로그램을 저장장치로부터 램 메모리로 읽어 들여 램에 상주시킨다. 이벤트를 검출하는 프로그램이 램에 상주하여 실행된 후 사용자가 통보 받고 싶은 이벤트를 지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알림 장치(500)의 출력부(550)의 출력태양 지정도 가능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벤트 검출 간격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벤트 발생을 검출하는 단계(S11)는 컴퓨터(300)의 메모리에 상주하고 있는 램 상주프로그램이 S10 단계에서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이벤트 발생을 검출한다.
이벤트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S12)는 S11단계에서 이벤트의 발생이 검출되면 검출된 이벤트 정보를 컴퓨터(300)의 무선 송신부(400)로 전송한다.
검출된 이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13)는 컴퓨터(300)의 이벤트 발생 검출부(310)에서 검출한 이벤트 정보를 무선 송신부(400)를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이다.
송신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4)는 컴퓨터(300)의 무선 송신부(500)에서 송신한 정보를 이벤트 발생 정보의 무선 알림 장치(500)의 무선 수신부(510)에서 수신하는 단계이다.
검출된 이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13)와 송신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4)에서는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된 이벤트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S15)는 상기 무선 수신부(510)에서 수신한 이벤트 발생정보를 판독부(520)에서 분석하는 단계이다.
판독부의 결과에 따라 이벤트 발생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6)는 이벤트 발생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알려주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이벤트 정보의 출력방법을 선택부를 조작하여 스피커구동, 모터구동, LED구동 중 어느 하나의 방법 또는 각 조합으로 출력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용어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지 의미의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컴퓨터 사용자가 지정한 이벤트 발생시 컴퓨터 주변에 놓을수 있는 완구 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이벤트 발생감지 기능을 컴퓨터 주위에 놓을수 있는 완구 등에 부여함으로써 완구 등의 부가가치를 한층 더 높일 수 있으며, 이벤트 발생의 알림을 무선으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유로운 위치선정 및 보다 다양한 이벤트 발생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Claims (9)

  1. 사용자가 지정한 이벤트 발생시 상기 이벤트 발생을 검출하는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상기 이벤트 검출 프로그램이 검출한 이벤트 검출 정보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는 컴퓨터시스템과 무선으로 연동되어 상기 송신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동작하는 컴퓨터 주변에 놓을 수 있는 이벤트 발생을 무선으로 알리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분석하는 판독부;
    상기 판독부의 결과에 따라 이벤트 발생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무선 수신부, 상기 판독부 및 상기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의 무선 알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사용자의 전자우편 계정을 가진 서버에 사용자의 전자우편이 수신된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웹서버에 연결된 경우,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동작이 컴퓨터 운영체제에 의해서 발생된 경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의 무선 알림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사용자의 전자우편 계정을 가진 서버에 전자우편의 수신인 경우에는 이벤트 발생정보는 전자우편 발신자, 발신일, 전자우편 제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의 무선 알림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사용자가 지정한 동작이 컴퓨터 운영체제에 위해서 발생된 경우에는 상기 이벤트는 타이머 동작, 운영체제의 로그인, 입출력동작 중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의 무선 알림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무선 수신부는,
    RF 또는 BLUETOOTH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의 무선 알림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수신정보 출력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의 무선 알림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선택부를 대신하여 컴퓨터의 이벤트를 검출하는 램 상주프로그램에서 출력부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의 무선 알림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수신정보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출력부는 스피커 구동부, 모터 구동부, LED 구동부 중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의 무선 알림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충전용 밧데리 또는 일회용 건전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의 무선 알림 장치.
KR2020000035967U 2000-12-21 2000-12-21 이벤트 발생 정보의 무선 알림 장치 KR2002256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967U KR200225644Y1 (ko) 2000-12-21 2000-12-21 이벤트 발생 정보의 무선 알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967U KR200225644Y1 (ko) 2000-12-21 2000-12-21 이벤트 발생 정보의 무선 알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644Y1 true KR200225644Y1 (ko) 2001-06-01

Family

ID=73093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967U KR200225644Y1 (ko) 2000-12-21 2000-12-21 이벤트 발생 정보의 무선 알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64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071B1 (ko) * 2002-08-29 200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호 수신방법
KR100575711B1 (ko) * 2002-08-28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씨를 이용한 전화 수신 알람 방법
KR20170089246A (ko) * 2016-01-26 2017-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운영 체제 환경에서의 하이버네이션 운용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711B1 (ko) * 2002-08-28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씨를 이용한 전화 수신 알람 방법
KR100485071B1 (ko) * 2002-08-29 200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호 수신방법
KR20170089246A (ko) * 2016-01-26 2017-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운영 체제 환경에서의 하이버네이션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2465927B1 (ko) * 2016-01-26 2022-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운영 체제 환경에서의 하이버네이션 운용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70911B1 (en) Method, terminal and system for controlling several remote mailboxes
CN101599224B (zh) 一种演示系统以及移动终端和无线上网卡
KR20050014630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JP200118414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動作状態制御方法
EP2189878A1 (en) Connection system between computer body and wireless peripheral equipment, computer, and wireless peripheral equipment
CN108111678B (zh) 一种信息提示方法及移动终端
KR10135903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메일 폴링 방법 및 장치
CN102739849A (zh) 终端、终端中的功能调用方法及装置
CN105791593A (zh) 移动终端模式切换方法和装置
CN108668328A (zh) 一种网络切换方法及移动终端
CN106658753A (zh) 一种数据迁移方法及终端设备
JP2002533819A (ja) ローカル・システム内のイベント通知
KR200225644Y1 (ko) 이벤트 발생 정보의 무선 알림 장치
KR101160418B1 (ko) 레거시와 입출력 모듈의 원격 제어 센서들을 이용하여 서비스 호출들을 지원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00341337C (zh) 用于指示对选择性呼叫设备的消息的拖欠响应的方法
KR101087460B1 (ko) 서비스 호출을 지원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EP1936928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a wireless telephone to a personal computer
JP2004266729A (ja) 携帯通信端末
US7633911B2 (en) Network system, control system, information appliance, and program
JP3588604B2 (ja) 電子機器及び通信装置切替方法
JP3891595B2 (ja) 情報処理装置
JPH11127218A (ja) データ通信装置
JPH11305916A (ja) 携帯表示端末装置、携帯表示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CN107402624B (zh) 一种电源指示灯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6847477A (zh) 一种服务器连接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