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433Y1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433Y1
KR200225433Y1 KR2020000034766U KR20000034766U KR200225433Y1 KR 200225433 Y1 KR200225433 Y1 KR 200225433Y1 KR 2020000034766 U KR2020000034766 U KR 2020000034766U KR 20000034766 U KR20000034766 U KR 20000034766U KR 200225433 Y1 KR200225433 Y1 KR 200225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instrument
writing
elastic support
upper bod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7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대성
Original Assignee
서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대성 filed Critical 서대성
Priority to KR20200000347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4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433Y1/ko

Links

Landscapes

  • Clips For Writ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필기구를 잡고 필기를 할 때, 손과 필기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어 필기 동작을 편하게 함과 아울러 필기 시 손목 및 손아귀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기를 하는 사용자가 필기구를 잡고 필기를 할 때 손바닥과 필기구 사이에 발생되는 공간에 의해 불편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필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필기구의 상부체(1)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탄성 지지대(4)와, 상기한 탄성 지지대(4)가 일측 방향 회전 시 필기구에 밀착되어 클립역할을 하고 타측 방향 회전 시 필기구에서 일정 각도 벌어져서 손바닥(W)을 지지하도록 상부체(1)와 탄성 지지대(4) 사이에 형성된 고정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기구{WRITING DEVICE}
본 고안은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필기구를 잡고 필기를 할 때, 손과 필기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어 필기 동작을 편하게 함과 아울러 필기 시 손목 및 손아귀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는 연필, 볼펜, 만년필등과 같이 많은 종류가 사용되고 있는 바, 상기한 필기구는 통상적으로 긴 원통형으로 제작되어 사람들이 손으로 잡기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필기구를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클립이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한 클립으로 와이셔츠의 주머니에 꽂아서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는 도6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상부체(50)와 하부체(51)로 본체(52)가 이루어져 있고, 상기한 상부체(50)에는 클립(53)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클립(53)은 일단이 상부체(50)에 소정량 유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타단으로 와이셔츠의 주머니등에 꽂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필기구를 잡고 필기를 하기 위해서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의 엄지와 검지로 필기구 본체(52)의 상부를 잡고 중지등으로 필기구 본체(52)의 하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필기를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필기구와 손바닥(W)의 사이에는 소정 공간(S)이 형성되어 있어야 손으로 필기구를 잡고 필기하는 동작이 편하게 된다.
즉, 손으로 필기구를 잡는 구조 형태상 상기한 필기구는 소정 각도 기울어져야 필기가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한 공간(S)이 필수적으로 형성되어야 편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손으로 필기구를 경사지게 잡고서 필기를 할때, 상기한 바와 같이 공간이 필연적으로 형성되지만, 상기한 공간이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한 필기구를 잡는 손의 힘이 보다 많이 들어가게 되고, 이로 인해 필기 시 손의 피로가 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한 공간만큼은 손바닥이 필기구를 지지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실질적으로는 필기구의 상단과 하단만 지지한 상태로 필기를 행하게 되는 바, 손으로 필기구를 잡을 때 필기구를 고정시키기 위해 보다 많은 힘이 들어가게 되고, 이로 인해 손의 피로가 빨리 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기를 하는 사용자가 필기구를 잡고 필기를 할 때 손바닥과 필기구 사이에 발생되는 공간에 의해 불편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필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필기구의 상부체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탄성 지지대와, 상기한 탄성 지지대가 일측 방향 회전 시 필기구에 밀착되어 클립역할을 하고 타측 방향 회전 시 필기구에서 일정 각도 벌어져서 손바닥을 지지하도록 상부체와 탄성 지지대 사이에 형성된 고정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A-A 선 단면도,
도3은 도2에서 상부체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일반적인 필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도5의 필기구를 사용하여 필기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상부체 2: 하부체
3: 필기구 본체 4: 탄성 지지대
5: 힌지부 6: 삽입공
7: 걸림 지지부 8: 제1걸림홈
9: 제2걸림홈 10: 꺽임부
11: 회전통 12: 스토퍼
13: 걸림홈 14: 걸림턱
도1과 도2와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와 A-A 선 단면도와 도2에서 상부체의 분해 사시도로서, 비교적 짧게 상, 하부체(1, 2)가 형성되고 결합된 필기구 본체(3)와, 상기한 필기구 본체(3)의 상부체(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탄성 지지대(4)와, 상기한 탄성 지지대(4)가 일측 방향 회전 시 클립 역할을 하고 타측 방향 회전 시 필기구에서 일정 각도 벌어져서 손바닥을 지지하도록 상부체(1)와 탄성 지지대(4) 사이에 형성된 고정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 수단은 상기한 탄성 지지대(4)의 양단인 힌지부(5)가 삽입되도록 상부체(1)에 형성된 삽입공(6)과, 상기한 힌지부(5)에서 직각으로 꺽여 형성된 걸림 지지부(7)와, 상기한 걸림 지지부(7)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삽입공(6)에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체(1)의 상단에 직립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한 걸림 지지부(7)가 삽입되었을 때 필기구와 θ만큼 이격되도록 구성된 제1걸림홈(8)과, 상기한 걸림 지지부(7)가 역회전하면서 걸렸을 때 상기한 필기구에 밀착되어 클립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제2걸림홈(9)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제1, 2걸림홈(8, 9)의 깊이는 상기한 탄성 지지대(4)의 걸림 지지부(7)가 끼워진 상태에서 손으로 소정 힘을 가해도 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가 된다.
즉, 상기한 탄성 지지대(4)가 삽입공(6)에 끼워져서 자체 탄성에 의해 압입되는 바, 상기한 탄성에 의해 탄성 지지대(4)의 걸림 지지부(7)가 제1, 2걸림홈(8, 9)에 끼워졌을 때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고정 수단과 상부체(1)의 사이에는 상기한 고정 수단 및 탄성 지지대(4)가 축방향 회전되면서 필기를 보다 자유롭게 하도록 회전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는 상부체(1)에 축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설치홈(10)과, 상기한 설치홈(10)에 끼워져 회전 자재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 회전통(11)과, 상기한 회전통(11)이 상부체(1)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부체(1) 저면에 결합 수단으로 끼워져 있는 스토퍼(12)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필기구를 사용하여 필기를 할 때 상기한 회전통(11)이 자유 상태로 회전하기 때문에, 필기구를 잡은 손이 보다 편하게 필기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결합 수단은 스토퍼(12)의 저면 내측에 형성된 걸림홈(13)과, 상기한 걸림홈(13)에 끼워지도록 상부체(1) 저면에 돌출 형성된 쐐기형의 걸림턱(14)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회전통(11)에는 상기한 탄성 지지대(4)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손 크기에 맞출 수 있는 바, 상기한 회전통(11)의 삽입공(6) 및 제1, 2걸림홈(8, 9)과 같은 보조 삽입공(6') 및 보조 제1, 2걸림홈(8', 9')이 일정 거리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한 탄성 지지대(4)를 삽입공(6)에서 이탈시켜 보조 삽입공(6')에 끼우면 낮은 위치에서 손바닥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탄성 지지대(4)에 고무등과 같은 재질로 피복재를 코팅하게 되면, 손바닥에 닿는 감촉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필기를 하기 위하여 필기구를 주머니등에서 인출하게 되면, 상기한 필기구의 상태는 도1에서 탄성 지지대(4)가 점선으로 위치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한 탄성 지지대(4)는 제2걸림홈(9)에 걸림 지지부(7)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인 바, 상기한 걸림 지지부(7)가 제2걸림홈(9)에 삽입되어 있으면 상기한 탄성 지지대(4)의 탄성과 제2걸림홈(9)의 깊이에 의해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한 탄성 지지대(4)가 클립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필기구로 필기를 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탄성 지지대(4)를 시계 방향 회전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탄성 지지대(4)가 도1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탄성 지지대(4)가 회전 이동하면 상기한 제1걸림홈(8)에 걸림 지지부(7)가 삽입되는 바, 상기한 걸림 지지부(7)가 제1걸림홈(8)에 끼워지면 상기한 탄성 지지대(4)의 위치가 고정된다.
즉, 상기한 탄성 지지대(4)의 탄성에 의해 제1걸림홈(8)에 걸림 지지부(7)가 압입된 상태가 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탄성 지지대(4)가 필기구와 θ의 각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탄성 지지대(4)가 필기구와 θ의 각도를 유지하게 되면, 이를 잡고 필기를 하게 되는 바, 상기한 탄성 지지대(4)가 손바닥(W)과 필기구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손바닥(W)에 밀착된다.
즉, 상기한 필기구를 손으로 잡을 때 상기한 탄성 지지대(4)가 손바닥(W)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기한 필기구를 손으로 강하게 잡을 필요가 없게 된다.
필기구를 손으로 강하게 잡을 필요가 없어지게 되면, 상기한 필기 시 손에 힘이 들어가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필기 시 손에 부담을 적게 주게 된다.
손에 부담을 적게 주게 되면, 상기한 필기 작업이 매우 편하게 됨으로써, 오랜 시간 필기를 해도 손이 아프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필기구를 잡고 필기를 할 때 상기한 필기구를 손가락으로 돌리면서 필기를 하게 되는 바, 상기한 필기구를 손가락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한 탄성 지지대(4)는 손바닥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 하부체(1, 2)는 회전되고 회전통(11)은 정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필기구를 돌리면서 필기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필기 시 필기구를 잡는 사용자의 손이 비교적 작은 상태이면, 상기한 탄성 지지대(4)가 너무 높은 위치가 되는 바, 이때는 상기한 탄성 지지대(4)를 삽입공(4)에서 빼낸 후 보조 삽입공(6')에 끼운 후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한 보조 삽입공(6')은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지지대(4)를 내린 후 사용하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고 필기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탄성 지지대(4)의 형태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이 직립 상태로 꺽이도록 꺽임부(10)를 구성하게 되면, 상기한 탄성 지지대(4)를 양측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고 한 방향에서만 이동시키면서 클립 역할 및 손바닥 지지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필기를 할 때 상기한 탄성 지지대가 필기구와 손바닥 사이의 공간에 위치됨과 아울러 손바닥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손으로 필기구를 잡을 때 힘이 들어가지 않고, 이로 인해 필기가 편하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7)

  1. 필기구 본체의 상부체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탄성 지지대와, 상기한 탄성 지지대가 일측 방향 회전 시 필기구에 밀착되어 클립역할을 하고 타측 방향 회전 시 필기구에서 일정 각도 벌어져서 손바닥을 지지하도록 상부체와 탄성 지지대 사이에 형성된 고정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 수단은 상기한 탄성 지지대의 양단인 힌지부가 삽입되도록 상부체에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한 힌지부에서 직각으로 꺽여 형성된 걸림 지지부와, 상기한 걸림 지지부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삽입공에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체의 상단에 직립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한 걸림 지지부가 삽입되었을 때 필기구와 θ만큼 이격되도록 구성된 제1걸림홈과, 상기한 걸림 지지부가 역회전하면서 걸렸을 때 상기한 필기구에 밀착되어 클립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제2걸림홈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 지지대의 종단에 직립 상태로 꺽여서 형성되어 탄성 지지대를 양측 방향 회전시키지 않고도 클립 역할 및 손바닥 지지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꺽임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 수단과 상부체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한 고정 수단 및 탄성 지지대가 축방향 회전되면서 필기를 보다 자유롭게 하도록 구성된 회전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 수단은 상부체에 축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설치홈과, 상기한 설치홈에 끼워져 회전 자재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 회전통과, 상기한 회전통이 상부체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부체 저면에 결합 수단으로 끼워져 있는 스토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결합 수단은 스토퍼의 저면 내측에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한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상부체 저면에 돌출 형성된 쐐기형의 걸림턱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7.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통에는 상기한 탄성 지지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손 크기에 맞출 수 있도록 상기한 회전통의 삽입공 및 제1, 2걸림홈과 같은 보조 삽입공 및 보조 제1, 2걸림홈을 일정 거리 하부에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KR2020000034766U 2000-12-12 2000-12-12 필기구 KR2002254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766U KR200225433Y1 (ko) 2000-12-12 2000-12-12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766U KR200225433Y1 (ko) 2000-12-12 2000-12-12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433Y1 true KR200225433Y1 (ko) 2001-06-01

Family

ID=73093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766U KR200225433Y1 (ko) 2000-12-12 2000-12-12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43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0721B1 (en) Stylus and retractable pen
KR200225433Y1 (ko) 필기구
KR200399099Y1 (ko)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
KR100663123B1 (ko) 미니 볼펜
CN219405946U (zh) 二指夹紧式指头笔
JPH0446955Y2 (ko)
KR940005257Y1 (ko) 복식 필기구
JP3031372U (ja) ツーウェイボールペン
JPS5917676Y2 (ja) 筆記具のクリツプ兼用キヤツプ
JP3783514B2 (ja) 筆記具
KR0138645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
KR200240349Y1 (ko) 핑거 펜
KR20100086759A (ko) 핑거 펜
US20050069371A1 (en) Normally handheld instruments allowing normal fingertip activity
US20080044217A1 (en) Writing instrument
JP3811822B2 (ja) 筆記具
KR890008804Y1 (ko) 회동식 볼펜
KR100530792B1 (ko) 방아쇠형 필기구
KR200435475Y1 (ko) 롤러가 구비된 필기구 뚜껑
JPH0753992Y2 (ja) 筆記具用補助具
KR200299420Y1 (ko) 볼록렌즈가 부착된 필기구
JP3039752U (ja) 鉛筆補助具
KR200205116Y1 (ko) 무게추가 선단에 내장된 볼펜
JPH0541879U (ja) 筆記用補助具
JPH088862Y2 (ja) 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