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345Y1 - 도어록 - Google Patents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345Y1
KR200225345Y1 KR2019980010097U KR19980010097U KR200225345Y1 KR 200225345 Y1 KR200225345 Y1 KR 200225345Y1 KR 2019980010097 U KR2019980010097 U KR 2019980010097U KR 19980010097 U KR19980010097 U KR 19980010097U KR 200225345 Y1 KR200225345 Y1 KR 2002253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ever
spindle
connector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0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603U (ko
Inventor
용 춘 박
Original Assignee
김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영 filed Critical 김대영
Priority to KR20199800100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345Y1/ko
Publication of KR200000006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6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3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345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손잡이가 레버(Lever)로 이루어진 경우 레버의 처짐 방지장치를 필요로 함에 따라 이를 위한 강한 탄성으로 인하여 노브(Knob)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없었고 그 구성 또한 복잡하여 경비가 많이 소요되며 외부로 크게 노출되므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외측 스핀들(10)의 연결구(110)를 통하여 서로간의 연결수단을 갖는 지지체(48)(50)에 로테이션스프링(34)(36)을 설치하여 상기로 테이션 스프링(34)(36)의 절곡부 사이에 좌우 분리 구성되는 케이스(2)(4)의 걸림돌기(38)(42)가 끼워져 로테이션 스프링(34)(36)을 좌우로 지지토록 하고 케이스(2)(4)의 지지관체(6)(8)에는 지지편(42)(44)을 돌출형성하여 지지체(48)(50)의 걸림편(56)(58)이 상기 지지편(42)(44)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반경이 주어지게 하므로서 약한 탄성으로도 레버의 처짐이 방지되므로 필요에 따라 노브와 레버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 처짐방지를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경비가 절감되며 이러한 처짐방지를 위한 구성이 외관상 드러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한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도어록
본 고안은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레버(Lever)의 처짐방지를 위한 구성이 간단하고 또 노브(Knob)와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은 크게 실린더리칼 노브록(Cylindrical Knob Lock)과 실린더리칼 레버록(Cylindrical Lever Lock)으로 구분되며 양자 모두 그에 따른 단점을 지니고 있다.
즉 실린더리칼 노브록은 노브의 처짐을 우려할 필요가 전혀 없어 도어의 개폐작동시 대체로 원구형의 노브가 복귀하는데 필요한 약한 탄성만 주어지면 도1이나 실린더리칼 레버록은 비교적 무거운 레버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한 탄성으로 레버를 지지하는 처짐방지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리칼 노브록에 노브 대신 레버를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면 레버의 처짐현상으로 도어록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게 되고, 또 실린더리칼 레버록에 레버 대신 노브를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면 처짐 방지장치의 강한 탄성으로 인하여 도어 개폐시 큰 힘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매우 불편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서로간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결점은 자신의 취향에 따라 미리 노브나 또는 레버를 선택하여 설치해 주게 되면 해소된다 할 수도 있겠으나 오랜 사용으로 싫증을 느끼거나 실내 분위기 그리고 장애자 편의 등을 위하여 노브나 또는 레버형 손잡이를 필요로 할 경우에는 도어록 전체를 교체해 주어야 하므로 교체경비가 많이 소요된다.
특히 실린더리칼 레버록의 처짐방지장치는 실용신안공개제96-17840호, 동제96-17841호, 동제96-29110호 등과 같이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오작동의 우려가 있고 또 제조경비가 많이 소요되며 외관상 도어 외측으로 크게 노출되므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등의 많은 결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에 본 고안은 약한 탄성에도 레버의 처짐이 방지되게 하여 노브나 레버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또 레버의 처짐방지를 위한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외관상 전혀 드러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갖는 도어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외측 스핀들의 연결구에 의해 연결수단을 갖는 좌우 지지체에 감김을 이용한 로테이션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로테이션 스프링의 절곡부 사이에 좌우 분리 구성된 케이스의 걸림 돌기가 끼워지게 하여 도어개폐작동시 연결구가 함께 회전함에 따라 감김력을 이용한 로테이션 스프링의 조임으로 점차 강한 탄성이 주어지게 하고 또 지지체의 걸림편은 케이스의 지지편 사이에 위치하여 도어개폐를 위한 회전반경이 주어지게 하므로서 도어의 개폐전에는 로테이션 스프링의 지지력으로 레버의 처짐이 방지되고 또 노브의 조립시에는 유연한 작동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좌우 지지체 중 연결구가 설치되는 일측 지지체는 중앙에 좌우 걸림홈이 일체로 된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구의 좌우 걸림부가 걸림홈에 결합됨에 따라 함께 회전되게 하고 타측 지지체의 중앙에는 사각공을 형성하여 연결구의 걸림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긴 사각돌부가 렛치의 사각공을 통하여 깊숙히 삽입되게 하므로서 상기 내측 스핀들에 결합되는 노브 또는 레버를 통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하며 내측 지지체의 사각공에 삽입된 연결구의 사각돌부는 폴에 의해 작동하는 폴작동체와 인접하여 폴을 눌러 주게 되면 연결핀이 후퇴하여 그 양측 걸림부가 일측 연결구의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게 하므로서 폴의 눌름에 의한 록킹시 외측 스핀들에 조립고정된 노브나 또는 레버를 통하여는 도어개폐가 불가능하게 한다.
다만 상기에 있어 폴의 눌름에 의한 록킹시 외측으로부터 키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키와 연결된 암수키 작동구의 결합으로 연결구가 후퇴하여 그 걸림돌편에 의해 외측 스핀들과 연결되게 하므로서 외측 레버를 통한 도어개폐 작동시 비록 연결구의 좌우걸림부가 일측 지지체의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있더라도 연결구에 의해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2단 걸림으로 걸림이 이루어져 있던 폴의 걸림해지로 도어의 열림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이용되는 내외측 스핀들은 중앙부에 격판을 겸하는 탄성돌부가 설치된 것으로서 노브나 또는 레버 내측면에 요홈만 형성해 주게 되면 조립이 가능하며 상기 요홈을 관통하는 통공을 통하여 인위적으로 탄성둘부를 눌러주게 되면 스핀들로부터 분리되므로 노브나 레버를 겸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조립수단을 갖게 된다.
도 1 :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3 :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케이스 (6)(8)--지지관체
(10)(12)--스핀들 (14)(16)--레버
(18)--폴 (20)--키
(22)(24)--결합돌편 (26)--탄성핀
(28)--렛치 (30)(32)--개방공
(34)(36)--로테이션 스프링 (38)(40)--걸림돌기
(42)(44)--지지편 (46)--돌편
(48)(50)--지지체 (52)(54)--받침편
(56)(58)--걸림편 (60)--통공
(62)(64)--걸림홈 (66)--사각공
(68)(70)--돌부 (72)--결합홈
(74)--이탈방지편 (76)--탄성돌부
(80)--가이드 (82)--폴 작동체
(84)--스프링 (86)--걸림부
(88)--작동홈 (90)--스프링실
(92)--스프링 (94)--탄성돌부
(96)--홈 (100)--가이드홈
(102)--돌부 (104)--요홈
(106)--숫 키작동구 (108)--암키작동구
(110)--연결구 (112)--작동실
(114)(116)--안내홈 (118)--스프링
(120)--돌편 (122)--안내돌편
(124)--걸림부 (126)--걸림편
(130)--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을 도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로서 본 고안 또한 기본적으로 케이스(2)(4)의 지지관체(6)(8) 외측으로 돌출된 스핀들(10(12) 단부에 노브나 또는 레버(14)(16)가 조립구성되고 내외측에 결합된 노브나 레버(14) (16)에는 2단 걸림기능을 갖는 폴(18)과 키(20)가 설치된다.
상기에 있어 케이스(2)(4)는 좌우 분리 구성하여 그 직경차이를 이용한 조립 후 일측케이스(2)의 결합돌편(22)(24)을 절곡하거나 또는 탄성핀(26)을 이용하여 연결고정되게 하며 그 전후에는 렛치(28)를 결합하기 위한 개방공(30)(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4)의 내측 상부에는 로테이션 스프링(34)(36)을 지지하기 위한 걸림돌기(38)(40)를 돌출 형성하고 지지관체(6)(8)의 내측 단부에는 약180℃ 방향에 지지편(42)(44)을 돌출 형성하여 도어개폐를 위한 노브나 레버(14)(16)의 회전반경이 주어지게하고 타측 케이스(4)의 지지관체(8)에는 폴 걸림용 돌편(46)을 돌출형성한다.
스핀들(10)(12)은 각기 지지체(48)(50)와 일체감 있게 연결 형성하여 케이스(2)(4)의 내측으로부터 끼워 설치되며 상기 지지체(48)(50)에 설치되는 로테이션 스프링(34)(36)은 각각 지지체(48)(50)의 몸통을 수회 휘감아서 상부로 다소 길게 형성된 양측 절곡부를 이용하여 지지체(48)(50) 상부에 돌출 형성된 받침편(52) (54)에 걸려 고정되게 하므로서 좌우 양방향으로 스프링작용을 하게 되며 그 단부에는 걸림편(56)(58)을 돌출형성하여 상기 걸림편(56)(58)이 케이스(2)(4)의 지지편(42)(44) 사이에 위치토록 함에 따라 지지체(48)(50)의 회전이 제어되게 한다.
상기 좌우지지체(48)(50) 중 외측 지지체(48)의 중앙에는 적정 직경의 통공(60)과 상기 통공(6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걸림홈(62)(64)을 형성하고 내측 지지체(50)에는 사각공(66)을 형성하여 서로간의 연결수단을 갖도록 한다.
상기 스핀들(10)(12)과 지지체(48)(50)의 연결수단은 스핀들(10)(12) 단부를 지지체(48)(50)의 삽입공에 삽입해 줌에 따라 연결되고 이때 스핀들(10)(12)에 형성된 돌부(68)(70)는 각각 지지체(48)(50)의 결합홈(72)에 깊숙히 결합되게 하여 상기 결합홈(72)에 이탈방지편(74)을 결합하여 차단해 줌에 따라 서로 일체감 있게 연결된다.
상기 스핀들(10)(12)중 내측 스핀들(12)은 중앙부에 격판을 겸한 탄성돌부(76)가 탄력설치되고 그 후방에는 폴(18)을 조립하기 위한 가이드홈(80)이 형성되며 내측 지지체(50)와의 조립에 앞서 그 일측으로부터 폴 작동체(82)가 끼워 설치되며 상기 폴 작동체(82)와 지지체(50) 사이에는 스프링(84)이 탄력설치된다.
상기 폴 작동체(82)는 일측 단부의 걸림부(86)를 남겨두고 스핀들(12)의 가이드홈(80)과 일치하는 작동홈(88)과 스프링실(90)을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실(90)에 스프링(92)을 끼워주므로서 폴(18)의 조립시 스프링(92)이 폴(18)을 탄력 지지토록 하고 또한 폴(18)을 눌려주게 되면 폴작동체(82)가 함께 전진되게 한다.
이때 폴(18)은 지지체(50)와 연결고정된 스핀들(12)을 케이스(4)에 조립한 뒤 상기 스핀들(12)의 가이드홈(80)을 통하여 조립된다.
외측 스핀들(10) 역시 중앙부에 격판을 겸한 탄성돌부(94)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는 키 결합용 홈(96)을 형성하여 케이스(2)와의 조립후 레버(14)를 조립하기 앞서 키(20)가 삽입되며 타측에는 가이드 홈(100)을 형성하여 지지체(48)와의 조립에 앞서 만곡된 돌부(102)와 요홈(104)에 의해 암수기능을 갖는 숫 키작동구(106)와 암 키작동구(108) 그리고 연결구(110)가 차례로 끼워 설치된다.
상기에 있어 숫 키작동구(106)는 일측면에 키(20)와의 연결수단을 갖는 결합홈(도시안됨)을 형성하고 상기 숫 키작동구(106)에 비해 비교적 긴 암 키작동구(108)는 작용면 쪽인 일측이 차단된 관체형으로 구성하여 타측으로부터 작동실(112)이 형성되게 하되 상기 작동실(112)에는 안내홈(114)(116)을 상하에 형성하여 연결구(110)가 상기 암 키작동구(108)의 작동실(112) 내에 스프링(118)으로 탄력설치되게 한다.
상기 외측 스핀들(10)의 타측 외면에는 이역시 돌편(120)을 돌출 형성하여 암수 키작동구(108)(106)의 완전한 결합으로 암키작동구(108)가 후퇴하게 되면 상기 돌편(120)이 스핀들(10)의 가이드 홈(100)에 끼워져 함께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상기에 있어 연결구(110)는 몸체가 원통형으로서 그 상하에는 암키 작동구(108)의 상하 안내홈(114)(116)에 결합되는 안내돌편(122)이 돌출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폭이 넓은 걸림부(124) 및 상기 걸림부(124)의 중앙으로부터 긴 사각돌부(126)를 형성하여 조립시 상기 연결구(110)의 사각돌부(126)가 좌우지지체(48)(50) 및 렛치(28)를 관통하여 내측 스핀들(12)에 끼워 설치된 폴 작동체(82)와 인접위치토록 한다.
각기 스핀들(10)(12) 단부에 조립 고정되는 노브나 또는 레버(14)(16)는 스핀들(10)(12)의 탄성돌기(76)(94)가 결합되는 요홈(도시안됨)과 상기 요홈을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되며 내측 노브나 또는 레버(16)는 결합공 내면에 걸림편(128)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걸림편(128)이 스핀들(12)의 가이드홈(80)에 삽입됨에 따라 좌우 공회전이 방지되고 또 외측 노브나 또는 레버(14)는 키(20)의 측면 연장부가 스핀들(10)의 홈을 통하여 레버(14)의 홈(80)에 끼워짐에 따라 공회전이 방지된다.
미설명부호 (132)는 폴의 외측 걸림턱, (134)는 폭의 내측 걸림턱, (136)은키 연결편, (138)은 도어, (140)(142)는 카바, (144)는 삽입공, (146)은 렛치의 사각공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좌우 구분하여 조립되며 좌우 조립 후 케이스(2)(4)를 조립함에 따라 연결구(110)에 의한 연결 설치되는 렛치(28)에 의해 도어개폐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내측 스핀들(12)의 일측으로부터 폴 작동체(82)를 끼워 그 작동홈(88)이 스핀들(12)의 가이드 홈(80)과 일치되게 하고 지지체(50)와의 사이에 스프링(84)을 탄력설치한 상태에서 스핀들(12)의 일측단부를 상기 지지체(50)에 삽입하여 그 돌부(70)가 깊숙히 결합되게 하고 상기 결합홈(72)에 이탈방지편(74)을 끼워 고정한 상태에서 케이스(4) 내측으로부터 삽입 설치하되 케이스(4)의 내측 상부에 돌출된 걸림돌기(40)는 지지체(50) 상부로 돌출 된 로테이션 스프링(36)의 절곡부 사이에 끼어 위치토록 한다.
폴(18)은 케이스(4) 내측으로부터 삽입된 스핀들(12)의 외측으로부터 가이드 홈(80)을 통하여 조립되고 이때 폴(18)의 외측 걸림턱(132)은 케이스(4)의 돌편(46)과의 걸림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폴(18)의 조립후 레버(16)의 결합공에 스핀들(12) 단부가 삽입되게 하여 스핀들(12)의 탄성돌부(76)가 요홈에 결합되게 하므로서 레버(16)가 조립고정되며 케이스(4)의 지지관체(8)에는 레버(16)를 조립고정하기 앞서 카바(142)가 나사결합된다.
외측 스핀들(10)은 중앙의 격판을 사이에 두고 타측으로 부터는 숫 키작동구(106)와 암키작동구(108)를 차례로 끼우고 상기 암 키작동구(108)의 작동실(112) 내에는 스프링(118)과 연결구(110)를 차례로 삽입하여 상기 연결구(110)의 상하 안내돌편(122)이 암 키작동구(108)의 상하 안내홈(114)(116)에 끼워져 슬라이딩 되게 하고 상기 스핀들(10)의 타측 단부를 지지체(48)의 결합홈에 깊숙히 삽입되게 하여 상기 결합홈에 이탈방지편을 결합해 주므로서 서로 일체감 있게 연결된다.
상기 지지체(48)에 연결 고정된 스핀들(10)은 이 역시 케이스(2) 내측으로부터 삽입하여 케이스(2)의 걸림돌기(38)가 지지체(48)의 상부로 돌출된 로테이션 스프링(34)의 절곡부 사이에 끼어 위치토록 하며 케이스(2)의 지지관체(6)에는 카바(140)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2) 외측으로 돌출된 스핀들(10) 내에는 키(20)를 삽입하여 키 연결편(136)이 숫 키작동구(106)의 결합홈에 삽입되게 하여 키(2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게 하고 상기 스핀들(10)의 단부가 레버(14)의 결합공에 삽입되게 하여 스핀들(10)의 탄성돌부(94)가 레버(14)의 요홈에 결합되게 함에 따라 레버(14)가 조립고정된다.
상기에 있어 키(20)와 연결된 숫 키작동구(106)는 키(20)의 작동전에는 그 돌부(102)가 암 키작동구(108)의 요홈(104)과 어긋나 있어 암 키작동구(108)는 어긋난만큼 돌출되므로 암키작동구(108) 단부의 돌편(120)은 스핀들(60)의 가이드 홈(100)으로부터 이탈해 있게 된다.
한편 좌우 케이스(2)(4)는 직경이 큰 타측케이스(4) 내에 직경이 작은 일측케이스(2)를 깊숙히 삽입하여 일측케이스(2)의 결합돌편(22)(24)이 타측케이스(4)의 삽입공(144)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결합돌편(22)(24)의 핀공에 탄성핀(26)을 끼워 주므로서 조립 완료되며 이때 일측 스핀들(10)에 탄력 설치된 연결구(110)의 사각돌부(126)는 타측 지지체(50)의 사각공(66)을 관통하여 폴 작동체(82)와 인접위치하게 된다.
본 고안을 도어(138)에 설치해 주고자 할 경우에는 케이스(2)(4)를 연결하는 탄성핀(26)을 제거하여 좌우 분리시킨 뒤 각각 도어(138)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외측으로부터 삽입하되 연결구(110)의 사각돌부(126)에는 도어(138)의 측면공으로부터 삽입되는 렛치(28)의 사각공(146)을 통하여 타측 지지체(50)의 사각공(66)에 삽입되게 하여 좌우 케이스(2)(4)를 탄성핀(26)으로 연결 고정한 뒤 카바(140)(142)를 죄이고 스핀들(10)(12) 단부에 레버(14)(16)를 결합 고정해 주므로서 설치 완료된다.
본 고안은 설치 후 도어(138)의 내측이나 또는 외측으로부터 레버를 잡고 회전시켜 주게 되면 연결구(110)의 사각돌부(126)를 통하여 연결된 렛치(28)의 당김으로 도어(138)가 개방되고 또 폴(18)의 눌름에 의한 록킹시에는 내측 레버(16)를 통한 개폐는 가능하나 키(20)를 이용하지 않는 한 외측레버(14)를 통한 열림은 불가능하게 된다.
즉 내측 레버(16)를 통한 도어(138)의 개폐시에는 폴(18)의 눌름에 의한 록킹 유무에 관계없이 레버(16)에 의해 스핀들(12)이 좌우 어느방향이든 회전하게 되면 스핀들(12)과 연결된 지지체(50) 및 상기 지지체(50)의 사각공(66)을 통하여 결합된 연결구(110)가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렛치(28)의 작동으로 도어(138)의 열림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도어(138) 개방을 위한 레버(16)의 회전시 지지체(50)가 함께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방향에 따라 로테이션 스프링(36)의 어느 한 절곡부는 케이스(4)의 걸림돌기(40)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므로 상기 로테이션 스프링(36)은 점차로 큰 감김력이 주어져 레버(16)의 복귀시 필요한 탄성을 얻게 되며 레버(16)의 복귀 후에도 레버(16)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로테이션 스프링(36)의 절곡부 사이에 케이스(4)의 지지돌기(40)가 끼워져 좌우로 지지하게 되므로 로테이션 스프링(36)의 수명이 다하지 않는 한 레버의 처짐도 방지해 주게 된다.
또한 외측 레버(14)를 통하여 도어(138)를 개폐시켜 주고자 할 경우 언록킹 상태에서는 암수 키작동구(108)(106)의 결합유무에 관계없이 스프링(118)의 탄발력으로 연결구(110)의 걸림부(124)가 지지체(48)의 걸림홈(62)(64)에 결합되므로 레버(14)를 통한 지지체(48)의 회전으로 렛치(28)가 작동하게 되므로 도어(138)의 열림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내측에서 폴(18)을 눌러 줌에 따라 상기 폴(18)의 내측 걸림턱(134)이 케이스(4)의 돌편(46)에 걸려 고정되고 이때 폴(18)의 전진 거리만큼 폴과 함께 전진하는 폴작동체(82)에 의해 연결구(110)가 후퇴하게 되면 상기 연결구(110)의 걸림부(124)가 일측 지지체(48)의 걸림홈(62)(64)으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또 암수 키작동구는 키(20)의 작동전에는 돌부(102)와 요홈(104)이 상시 어긋나 있어 그 어긋난 거리만큼 암 키작동구(108)와 돌출하여 돌부(120)가 스핀들(10)의 가이드홈(100)으로부터 이탈함에 따라 공회전상태가 되더라도 이 상태에서는 외측 레버(14)를 통한 도어 개폐가 불가능하게 된다.
폴(18)의 눌름에 의한 잠금상태에서 외측 레버(14)의 키(20)를 동작시키게 되면 숫키작동구(106)가 회전으로 돌부(102)와 요홈(104)에 의해 암키작동체(108)s와 결합되고 이러한 암수 결합시 암 작동구(106)는 돌부(102)의 돌출길이 만큼 후퇴하여 그 돌편(120)이 스핀들(10)의 가이드홈(100)에 결합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외측레버(14)를 회전 작동시키게 되면 연결구(110)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비록 이때 상기 연결구(110)의 걸림부(124)가 폴(18)의 눌름으로 후퇴하여 외측 지지체(48)의 걸림홈(62)(64)으로부터 아탈되어 있더라도 연결구(110)는 회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도어(138)의 개폐가 가능하게 되고 이때 눌름시 내측 걸림턱(134)에 의해 케이스(4)의 돌편(46)과 걸림이 이루어져 있던 폴(18)은 내측레버(16)가 함께 회전함에 따라 걸림해지로 언록킹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실린더리칼 레버록으로서 요구되는 처짐 방지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이러한 레버의 처짐을 위한 로테이션 스프링의 탄발력이 약해 레버 대신 노브를 결합하여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므로 노브와 레버 겸용 기능을 갖게되며 특히 처짐 방지를 위한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경비가 절감되고 또 외관상 전혀 드러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갖게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케이스(2)(4)를 좌우 분리 구성하여 그 내측 상부에 각각 걸림돌기(38)(40)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지지관체(6)(8)에는 각각 스핀들(10)(12)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지지편(42)(44)을 형성한 뒤 케이스(2)(4) 내측으로부터 지지체(48)(50)가 연결 고정되는 스핀들(10)(12)을 끼워 설치하되 상기 지지체(48)(50)에는 걸림편(52)(54)을 이용한 감김으로 탄성을 발휘하는 로테이션 스프링(34)(36)을 설치하여 그 사이에 케이스(2)(4)의 걸림돌기(38)(40)가 위치케하고, 내측 스핀들(12)에는 지지체(50)의 결합에 앞서 폴작동체(82)를 끼워 설치하여 스핀들(12) 외측으로부터 결합되는 폴(18)에 의해 전진되게 하고, 외측 스핀들(10)에는 숫 키작동구(106)와 암 키작동구(108) 그리고 상기 암 키작동구(108)의 작동실(112) 탄력설치되는 연결구(110)를 차례로 끼워 설치하고, 상기 연결구(110)의 걸림편(124)은 외측 지지체(48)의 좌우 결림홈(62)(64)에 결합되게 하고, 상기 연결구(110)의 걸림부(124)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사각돌부(126)는 외측 지지체(48)의 통공(60)과 렛치(28)의 사각공(146) 그리고 내측 지지체(50)의 사각공(66)을 관통하여 폴 작동체(82)와 인접 위치케 함 스핀들(10)(12) 단부에 노브나 또는 레버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KR2019980010097U 1998-06-05 1998-06-05 도어록 KR2002253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097U KR200225345Y1 (ko) 1998-06-05 1998-06-05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097U KR200225345Y1 (ko) 1998-06-05 1998-06-05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603U KR20000000603U (ko) 2000-01-15
KR200225345Y1 true KR200225345Y1 (ko) 2001-11-22

Family

ID=69517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097U KR200225345Y1 (ko) 1998-06-05 1998-06-05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3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1252055Y (es) * 2020-06-16 2020-11-20 Soltec Innovations Sl Instalalacion solar fotovoltaica de paneles bifacia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603U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3516U (ko) 실린더리칼 도어록
US20230332432A1 (en) Push-pull door lock having locking means
US20070114800A1 (en) Universal door lockset
US4281525A (en) Hardware for luggage and the like
KR200225345Y1 (ko) 도어록
EP1717389A1 (en) Door handle
JP2008308943A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JP2007016550A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US7918113B2 (en) Press-buckled lock
KR102146710B1 (ko) 푸쉬풀 도어락용 도어 로킹장치
RU2186184C2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й замок для дверей жилых домов
KR101941589B1 (ko) 레버 타입 dls 창호용 손잡이
JP4156249B2 (ja) エスカチオンの構造
JP4126181B2 (ja) 電気錠の切換えレバーと支持枠との構造
KR200231842Y1 (ko) 실린더리칼도어록
KR960002908Y1 (ko) 보조키 잠금쇠 조립 고정장치
KR200217302Y1 (ko) 이중잠금장치를 갖는 원통형 도어록
KR100310006B1 (ko) 현관문용 잠금장치
KR102199167B1 (ko) 일자형 크리센트
KR200457517Y1 (ko) 도어잠금장치
JPH04328B2 (ko)
KR200461723Y1 (ko)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
JPS607937Y2 (ja) 自動車の燃料注入口蓋等の開閉装置
KR20000075381A (ko) 강화유리도어용 도어 잠금장치
KR100559723B1 (ko) 시프트 락 케이블 하우징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