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192Y1 - 골프 클럽 - Google Patents

골프 클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192Y1
KR200225192Y1 KR2020000035090U KR20000035090U KR200225192Y1 KR 200225192 Y1 KR200225192 Y1 KR 200225192Y1 KR 2020000035090 U KR2020000035090 U KR 2020000035090U KR 20000035090 U KR20000035090 U KR 20000035090U KR 200225192 Y1 KR200225192 Y1 KR 2002251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golf club
golf
head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0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훈
Original Assignee
이치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훈 filed Critical 이치훈
Priority to KR20200000350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1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1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192Y1/ko

Links

Landscapes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 클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 공을 티 그라운드 등에서 티 샷을 할 경우에 슬라이스 및/또는 훅 등의 미스 샷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골프 클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골프 공의 임팩트 시 골프 공의 임팩트 순간을 정확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스 및/또는 훅 등과 같은 미스 샷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골프 클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골프 공(B)을 타격하도록 소정 형상 및 중량을 갖도록 형성된 헤드(51)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51)에 형성됨과 아울러 골프 공(B)과 접촉되는 임팩트 포인트가 점을 이루어 골프 공(B)의 비행 방향을 정확하게 의도된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십자형의 수직, 수평 홈(1, 5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 클럽{Golf club}
본 고안은 골프 클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마츄어가 골프 공을 티 그라운드 등에서 티샷했을 경우에 슬라이스 및/또는 훅 등의 미스 샷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골프 클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클럽은 손으로 잡는 부분인 그립과, 골프 공이 접촉되는 부분인 헤드와, 상기한 그립과 헤드를 연결하는 샤프트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골프 클럽은 골프 클럽을 우드, 아이언, 웨지 등으로 구성되어 한 세트의 골프 클럽을 이루게 된다.
상기한 골프 클럽을 사용하여 골프장에 또는 골프 연습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 골프 공을 타격할 때, 상기한 골프 공이 타격방향으로 최대한 멀리, 정확하게 날아갈 수 있도록 골프 클럽을 제작하게 된다.
즉,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수평 방향 홈(50)이 형성된 헤드(51)와, 상기한 헤드(51)에 결합된 스틸 등의 재질인 소정 길이의 샤프트(52)와, 상기한 샤프트(52)의 종단에 결합된 고무 등과 같은 재질의 그립(5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헤드(51)에 수평 방향 홈(50)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마츄어 골퍼들이 골프 클럽으로 골프 공(B)을 쳤을 때,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날아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한 골프 클럽으로 골프 공(B)을 치게 되면, 상기한 골프 공(B)의 타격 부분이 압축되면서 상기한 홈(50)에 밀착됨과 동시에 압축된 부분이 상기한 홈(50)에 의해 끼워지면서 위치 제한되고, 이로 인해 임팩트시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특히, 수평 방향으로 홈(50)이 다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골프 공(B)의 임팩트 위치(상하 방향)가 정확하게 유지됨으로써, 보다 정확한 타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골프 클럽의 헤드에 수평 방향의 홈만을 다수 형성하게 되면, 상기한 홈에 의해 골프 공이 압축되면서 위치 제한된다고 하여도, 상기한 헤드에서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가 어렵게 됨으로써, 타격 시 슬라이스 및/또는 훅 등과 같은 미스 샷의 발생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아마츄어 골퍼의 경우에는 스윙 자세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임팩트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한 홈이 골프 공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골프공의 임팩트 시 골프 공의 임팩트 순간을 정확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스 및/또는 훅 등과 같은 미스 샷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골프 클럽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 클럽에서 헤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따른 헤드에 골프 공이 접촉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골프 공의 점선으로 표시된 궤적과 홈의 접촉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일반적인 골프 클럽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골프 클럽의 헤드에 골프 공이 접촉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직홈 50 : 수평홈
51 : 헤드 52 : 샤프트
53 : 그립 B : 골프 공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콜프 클럽은 골프 공을 타격하도록 소정 형상 및 중량을 갖도록 형성된 헤드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에 형성됨과 아울러 골프 공과 접촉되는 임팩트 포인트가 점을 이루어 골프 공의 비행 방향을 정확하게 의도된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십자형의 수직, 수평 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골프 클럽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클럽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골프 공(B)을 타격하는 부분인 헤드 페이스(face) 부분에 수평 방향의 홈(50)이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한 수평 방향의 홈(50)과 교차되면서 십자형태를 이루도록 수직 방향의 홈(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골프 공(B)이 수평, 수직 방향의 홈(50, 1)과 접촉되면서 골프 공(B)의 임팩트시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수평, 수직 방향의 홈(50, 1)이 교차되면서 형성되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 공(B)의 임팩트 시 골프 공(B)이 압축되는 형태가 수직, 수평 방향이 제한되는 '+' 형태가 되는 바, 상기한 수직, 수평 방향의 골프 공(B) 위치 제한이 정확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수직, 수평 방향 홈(1, 50)의 폭, 골, 깊이 등은 하기한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한 홈(50, 1)의 폭, 깊이 등은 통상적인 골퍼들의 임팩트시 타격력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는 바, 클럽 헤드의 골프 공(B) 타격 시 골프 공(B)의 압축률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즉, 일반적인 골퍼들의 임팩트 시 타격력을 평균하여 홈(1, 50)의 폭, 깊이를 결정하게 된 것이다.
물론, 상기한 홈(1, 50)들의 깊이, 폭은 헤드(51)의 강도를 최대한 유지한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골퍼가 골프 공(B)을 타격(티 샷 등)하기 위해 티 그라운드에 골프 공(B)을 놓고 치게 된다.
골프 공(B)을 우드 또는 아이언으로 타격하게 되면, 상기한 우드 또는 아이언 등과 같은 골프 클럽에 골프 공(B)이 맞으면서 압축된다.
골프 공(B)이 압축되면 실질적으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 부분인 헤드 페이스 부분에서 골프 공(B)이 '+' 형으로 압축된다.
골프 공(B)이 '+'형으로 압축되면 실질적으로 상기한 '+'의 중심점이 임팩트 포인트가 됨으로써, 골프 공(B)이 하나의 포인트에서 타격을 받는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골프 공(B)의 비행 방향이 정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형태인 수평 홈(50)만이 형성되어 있어서, 임팩트 포인트의 역할을 선(-)이 했지만, 본 고안에서는 점이 하게 됨으로써, 임팩트 포인트의 정확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종래에는 일직선상인 임팩트 포인트가 일자이지만, 본 고안에서는 임팩트 포인트가 점이기 때문에, 골퍼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골프 클럽을 스윙할때 골프 공(B)이 미끄러지지 않고 비행 방향이 정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특히, 아마츄어 골퍼의 경우 정확한 임팩트를 하지 못하게 되는 바, 상기한 골프 클럽의 헤드(51)와 골프 공(B)의 임팩트 위치가 헤드(51)의 중앙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어도, 상기한 수평, 수직홈(50, 1)에 의해 골프 공(B)의 위치가 제한된 상태에서 임팩트가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한 골프 공(B)이 슬라이스 및/또는 훅 등의 미스 샷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고안은 골프 클럽의 헤드와 골프 공이 접촉하는 타격점인 임팩트 포인트를 점으로 하도록 헤드에 십자형의 수직, 수평 홈을 형성함으로써, 아마츄어가 골프 공을 쳐도 슬라이스 및/또는 훅 등과 같은 미스샷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골프 공을 타격하도록 소정 형상 및 중량을 갖도록 형성된 헤드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에 형성됨과 아울러 골프 공과 접촉되는 임팩트 포인트가 점을 이루어 골프 공의 비행 방향을 정확하게 의도된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십자형의 수직, 수평 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클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수평 홈은;
    홈의 폭이 0.89mm, 홈의 끝 라운드가 0.5mm, 홈 깊이가 0.5mm, 홈 사이의 간격이 1.9mm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클럽.
KR2020000035090U 2000-12-14 2000-12-14 골프 클럽 KR2002251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090U KR200225192Y1 (ko) 2000-12-14 2000-12-14 골프 클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090U KR200225192Y1 (ko) 2000-12-14 2000-12-14 골프 클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192Y1 true KR200225192Y1 (ko) 2001-05-15

Family

ID=73093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090U KR200225192Y1 (ko) 2000-12-14 2000-12-14 골프 클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1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9543A (en) Golf irons with increased consistency
US6309310B1 (en) Wood-type golf club heads provided with vertical grooves on hitting surface
US6089993A (en) Golf club head
JP2916920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6348010B1 (en) Golf club having angular grooves
JP5367082B2 (ja) スピンストリップを有するゴルフクラブフェース
CA2076267C (en) Iron type golf club head having a single sole runner
US6520865B1 (en) Golf club putter head design
IE44085B1 (en) Golf clubs
EP0631797A1 (en) Golf putter
US20030050130A1 (en) Offset golf club set and method for fabrication
JP4352461B2 (ja) ゴルフクラブ
KR20150130991A (ko) 골프 클럽
US6659882B2 (en) Golf club with a head balance plane having multiple sweet spots and face and top markings and methods and tools for locating same
KR200225192Y1 (ko) 골프 클럽
US20180311544A1 (en) Chunk Shot Reduction Golf Club and Method of Use Therefor
JP2000116823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363508B2 (ja) ゴルフクラブ
KR20160090205A (ko) 골프용 퍼터 헤드 및 이를 이용한 골프용 퍼터
US20040152537A1 (en) Low resistance golf club
KR200314281Y1 (ko) 퍼터헤드
KR200389846Y1 (ko) 골프 퍼터용 헤드
KR200246345Y1 (ko) 골프클럽의 헤드
KR100215992B1 (ko) 골프클럽
JP4657484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ゴルフクラ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