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990Y1 -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990Y1
KR200224990Y1 KR2020000036645U KR20000036645U KR200224990Y1 KR 200224990 Y1 KR200224990 Y1 KR 200224990Y1 KR 2020000036645 U KR2020000036645 U KR 2020000036645U KR 20000036645 U KR20000036645 U KR 20000036645U KR 200224990 Y1 KR200224990 Y1 KR 200224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shaft
rotor
fastening screw
rotating mechanism
screw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6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6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9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990Y1/ko

Links

Landscapes

  • Compressor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크랭크축(20)과 회전자(30)를 체결함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축(20)의 외면에 일정 구간 체결나사부(22)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자(30)의 대응되는 관통공(32)의 내부에도 체결나사부(34)를 일정 구간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체결나사부(22,34)는 크랭크축(20)과 회전자(3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되어 있다. 또하나 상기 크랭크축(20)의 체결나사부(22) 상단에는 상대적으는 체결나사부(34)의 진행을 규제하기 위한 수평구간의 스토퍼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압축기의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크게 개선되고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조립구조{An assembling structure of rotating mechanism for hermetic compressor}
본 고안은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에서 작동유체의 압축에 필요한 회전을 발생시키는 회전기구부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내부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상부용기(1t)와 하부용기(1b)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1)가 구비되고, 상기 밀폐용기(1)의 내부에는 프레임(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에는 고정자(3)가 고정되어 있고, 이와 같은 프레임(2)은 스프링(2S)에 의해 밀폐용기(1)의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크랭크축(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축(5)에는 회전자(4)가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고정자(3)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크랭크축(5)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크랭크축(5)의 상단에는 편심핀(5b)이 상기 크랭크축(5)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편심핀(5b)이 형성된 반대쪽에는 균형추(5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크랭크축(5)은 상기 프레임(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축(5)의 하단부에는 상기 오일(L)을 펌핑하여 상기 오일통로(5a)로 전달하는 피스(5d)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2)에는 내부에 압축실(6')이 구비된 실린더(6)가 일 체로 성형되어있다. 상기 압축실(6')에는 상기 크랭크축(5)의 편심핀(5b)과 커넥팅로드(8)로 연결된 피스톤(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6)의 선단에는 상기 압축실(6')로 유입되고 배출되는 냉매를 제어하는 밸브어셈블리(9)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어셈블리(9) 상에는 헤드커버(1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헤드커버(10)에는 흡입머플러(11)가 상기 압축실(6')로 냉매를 전달할 수 있도록 밸브어셈블리(9)와 연결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는 냉매를 밀폐용기(1)의 내부로 전달하는 흡입파이프이고, 13은 압축된 냉매를 압축기의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파이프이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회전자(4), 크랭크축(5) 및 피스(5d)가 조립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도 2에는 회전자(4)가 상기 크랭크축(5)에 압입되고, 상기 피스(5d)는 상기 크랭크축(5)에 압입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회전자(4)와 크랭크축(5)이 압입 또는 열박음된 부분은 A로 표시되어 있고, 크랭크축(5)에 피스(5d)가 열박음된 부분은 B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회전자(4)가 크랭크축(5)에 압입 또는 열박음되고, 피스(5d)가 회전자(4)에 압입 또는 열박음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도 회전자(4)와 크랭크축(5)이 압입 또는 열박음된 부분은 A로 표시되어 있고, 크랭크축(5)에 피스(5d)가 압입된 부분은 B로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크랭크축(5)과 회전자(4)를 결합함에 있어서 압입이나 열박음을 하게 되면, 이를 위해 압입용 프레스나 가열을 위한 가열로 등의 추가장비가 필요 하여 압축기의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떨어지고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자와 크랭크축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장비없이 회전자와 크랭크축을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밀폐형 압축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조립구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조립구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조립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조립구조를 보인 분해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8: 프레임 19: 설치공
20: 크랭크축 22: 체결나사부
24: 오일유로 26: 균형추
28: 편심핀 30: 회전자
32: 관통공 34: 체결나사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고정자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되고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공의 내면에 체결나사부가 형성된 회전자와, 외주면에 상기 체결나사부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나사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자와 체결되어 회전자의 회전력을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크랭크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자와 크랭크축의 체결나사부의 나선형성방향은 상기 크랭축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형성된다.
상기 크랭크축의 체결나사부 최상단에는 대응되는 체결나사부의 진행을 규제하는 수평구간의 스토퍼부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회전자와 크랭크축을 체결함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의 체결나사부에 크랭크축의 체결나사부를 체결하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조립구조를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조립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조립구조를 보인 분해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밀폐용기의 내부에 지지되는 프레임(18)에 고정자(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고, 상기 고정자와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하여 회전되는 회전자(30)는 아래에서 설명될 크랭크축(20)과 일체로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8)을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설치공(19)에는 크랭크축(20)이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축(20)의 회전자(30)가 체결되는 부분의 외주면에 체결나사부(22)가 일정 구간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나사부(22)의 나선 최상단에는 대응되는 체결나사부(34)의 진행을 규제하는 스토퍼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부는 예를 들어 나사산이 소정의 각도로 진행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축(20)의 내부를 통해서는 밀폐용기 저면에 있는 오일을 흡상시키는 오일유로(2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크랭크축(20)의 상단부에는 커넥팅로드와의 연결을 위한 편심핀(28)이 편심되게 형성되고, 있고, 상기 편심핀(28)의 반대쪽에는 균형추(26)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크랭크축(20)에 체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자(3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회전자(30)의 중앙에는 상기 크랭크축(20)이 설치되는 관통공(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32)의 내면에는 상기 크랭크축(20)의 체결나사부(22)와 대응되는 체결나사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크랭크축(20)의 체결나사부(22)와 회전자(30)의 체결나사부(34)는 서로 체결되어 상기 크랭크축(20)과 회전자(30)가 서로 체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면에는 상기 관통공(32)의 전체 구간에 체결나사부(34)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면, 상기 크랭크축(20)과 회전자(30)의 체결에 필요한 만큼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체결나사부(22,34)의 조절은 상기 크랭크축(20)에 형성된 체결나사부(22)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나사부(22,34)의 나선형성방향은 상기 크랭크축(20) 및 회전자(30)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압축기의 동작중에 상기 체결나사부(22,34)의 체결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회전기구부 조립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크랭크축(20)과 회전자(30)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면, 상기 프레임(18)의 설치공(19)을 통해 상기 크랭크축(2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18)의 상면에 상기 균형추(26)와 편심핀(28)을 포함하는 크랭크축(20)의 상단부가 위치되는데, 이 부분에는 커넥팅로드가 설치되어 피스톤과 연결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8)의 하부로 설치공(19)을 통해 돌출된 크랭크축(20)에는 상기 회전자(30)가 체결된다. 즉 상기 크랭크축(20)의 체결나사부(22)에 상기 회전자(30)의 체결나사부(34)가 체결된다.
다시 말해 상기 크랭크축(20)의 하단부가 상기 관통공(32)에 삽입되게 하고 상기 체결나사(22,34)가 서로 체결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업은 작업자가 상기 회전자(30)를 잡고 상기 크랭크축(20)에 대해 회전시켜 주면 된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축(20)의 체결나사부(22)의 최상단에 형성되는 스토퍼부에 상기 회전자(30)의 체결나사부(34)의 최상단이 위치되도록 하여 회전자(30)와 크랭크축(20)의 체결을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크랭크축(20)과 회전자(30)에 형성된 체결나사부(22,34)의 나사산의 나선형성방향은 상기 크랭크축(20)과 회전자(3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었으므로 압축기의 동작중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상기 크랭크축(20)과 회전자(30)의 체결상태가 풀어지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조립구조에 의하면 크랭크축과 회전자의 체결작업이 아무런 장비없이 작업자의 힘만으로 이루어 질 수 있게 되어 압축기의 조립작업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되고 압축기의 제조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고정자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되고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공의 내면에 체결나사부가 형성된 회전자와,
    외주면에 상기 체결나사부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나사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자와 체결되어 회전자의 회전력을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크랭크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조립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와 크랭크축의 체결나사부의 나선형성방향은 상기 크랭축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조립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축의 체결나사부 최상단에는 대응되는 체결나사부의 진행을 규제하는 수평구간의 스토퍼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조립구조.
KR2020000036645U 2000-12-27 2000-12-27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조립구조 KR200224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645U KR200224990Y1 (ko) 2000-12-27 2000-12-27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645U KR200224990Y1 (ko) 2000-12-27 2000-12-27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990Y1 true KR200224990Y1 (ko) 2001-05-15

Family

ID=73093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645U KR200224990Y1 (ko) 2000-12-27 2000-12-27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9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371B1 (ko) * 2002-11-07 200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371B1 (ko) * 2002-11-07 200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4990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조립구조
KR100402461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피스톤핀 설치구조
KR100738046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조립구조 및 그 방법
KR100608862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체크밸브장치
KR100486601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허매틱 터미널 조립장치
KR200224997Y1 (ko) 밀폐형 압축기의 압축기구부
KR200224991Y1 (ko) 밀폐형 압축기의 오일피스 장착구조
KR20010061720A (ko) 밀폐형 압축기의 운동변환장치
KR100455420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체결구조
KR100299217B1 (ko) 밀폐형압축기의압력파이프진동저감장치
KR100640229B1 (ko) 밀폐형 압축기
KR100244379B1 (ko) 밀폐형압축기의흡입머플러장치
KR100299589B1 (ko) 유체기계
KR100299215B1 (ko) 밀폐형압축기의냉매흡입구조
KR200184096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피스톤구조
KR100424589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루프파이프 체결구조
KR200200261Y1 (ko) 밀폐형 압축기의 베어링 구조
KR200224992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구조
KR20010056079A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 장착구조
KR200163924Y1 (ko) 압축기의 밸브구조
KR200224996Y1 (ko) 밀폐형 압축기의 구동기구부
KR20010065245A (ko) 밀폐형 압축기의 피스톤핀 설치구조
KR100299225B1 (ko) 전동압축기의흡입냉매과열방지구조
KR100395949B1 (ko)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 설치구조
KR100299223B1 (ko) 전동압축기의흡입머플러일체형헤드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