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952Y1 - 비강용 액제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비강용 액제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952Y1
KR200224952Y1 KR2020000035470U KR20000035470U KR200224952Y1 KR 200224952 Y1 KR200224952 Y1 KR 200224952Y1 KR 2020000035470 U KR2020000035470 U KR 2020000035470U KR 20000035470 U KR20000035470 U KR 20000035470U KR 200224952 Y1 KR200224952 Y1 KR 2002249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air
hole
pumping
nas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대성
Original Assignee
우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대성 filed Critical 우대성
Priority to KR2020000035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9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9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952Y1/ko

Links

Landscapes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세정 또는 치료효과가 있는 액제를 분사하되, 액제의 공급이 대기압에 의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액제를 분사하기 위한 펌프의 행정거리가 짧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의 용량을 작게할 수 있으며, 사용시의 진동을 감소시켜 사용자의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비강용 액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그 일측에 공기흡입구가 구비된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력 발생수단; 상기 회전력 발생수단에 그 일측이 장착되어 제공된 회전력을 직동 왕복이동력으로 변환시키는 직동왕복수단; 그 일측이 상기 직동왕복수단에 연결되고, 그 타측이 상기 본체케이스의 공기흡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직동왕복수단에 의해 반복적으로 변형되어 유입되는 공기에 양압 또는 음압을 제공하는 펌핑수단; 상기 펌핑수단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흡입관로 및 공기배출관로; 상기 펌핑수단에 결합되며, 상기 펌핑수단 내부의 압력에 연동하여 상기 공기흡입관로 또는 공기배출관로 중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유통시키거나 차단하는 선택개폐수단; 상기 펌핑수단으로부터 상기 공기배출관로를 통해 배출된 공기에 의해 액제를 분사하는 분사수단; 및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분사수단에 연통되는 액제공급관로를 통해 액제를 공급하는 액제통을 포함하는 비강용 액제 분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강용 액제 분사장치 {AN APPARATUS FOR INJECTING LIQUID INTO NASAL CAVITY}
본 고안은 인체의 비강 내부에 세정액 등의 액제를 분사하여 투입하는 비강 용 액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세정 또는 치료효과가 있는 액제를 분사하되, 분사노즐로의 액제 공급이 대기압에 의해 별도의 동력 없이도 자연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액제를 분사하기 위한 펌프의 행정거리가 짧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펌프의 구동 부하를 감소시킨 비강용 액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코는 후각기관 및 호흡기관으로서의 기본적 기능 이외에도 인체 내부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의 상태를 체내환경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한 여러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즉,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고, 공기중에 포함되어 흡입된 분진과 같은 불순물 및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과 같은 병원체가 체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며, 면역 물질을 분비하여 병원체의 활동을 억제하는 등 외부 환경에 대하여 인체를 방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강 내부의 청결 및 건강 상태가 인체의 건강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어 비강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비강내부에 세정액 또는 약제를 투입하기 위해 다양한 기구가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이전의 수동식 기구가 갖는 작동상의 불편함과 사용자의 안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동식으로 작동되는 비강 세정기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동식 비강 세정기구를 도1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의 전동식 비강 세정기구를 도시한 것으로, 비강 내부의 이물질을 흡입하거나, 비강내에 세정액 등의 액제를 투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정기구를 간략히 나타낸다.
종래의 전동식 비강 세정기구는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1)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구동하는 구동모터(2)와, 상기 구동모터(2)의 회전축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회전판(3)과, 그 일측이 상기 회전판(3)의 외주부에 힌지결합되며 그 타측에 피스톤(5)이 힌지결합된 종동축(4)과, 그 내부에 상기 피스톤(5)이 삽입되어 종방향 왕복운동하며 그 일측 및 타측에 흡입통공(6a) 및 배출통공(6b)이 형성된 실린더(6)와, 상기 실린더(6)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흡입통공(6a) 및 배출통공(6b)에 서로 반대되는 일방향만의 공기흐름을 인가하는 실린더하우징(7)과, 상기 흡입통공(6a)에 연결되는 흡입구(8)와, 상기 배출통공(6b)에 연통되는 배출관로(9)의 단부에 장착된 분사노즐(10)과, 상기 배출관로(9)의 하부에 연결되어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통(11)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동식 비강 세정기구에서, 상기 배터리(1)에 의한 전류가 상기 구동모터(2)에 인가되면, 상기 구동모터(2)가 구동되어 상기 회전판(3)이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종동축(4)에 의해 상기 피스톤(5)이 상기 실린더(6) 내측에서 종방향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5)이 도면상의 상측으로 가동되면 상기 실린더(6) 내부의 공기를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한 기압차에 의해 상기 실린더하우징(7) 내부에 장착된 제1개폐부재(12)가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어 상기 실린더(6)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배출관로(9)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세정액통(11)의 상측으로 유입되며, 그 압력에 의해 세정액(14)이 상기 분사노즐(10) 내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의 비강 내부로 분사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피스톤(5)이 도면상의 하측으로 가동되면 상기 실린더(6) 내부에는 음압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하우징(7) 내부에 장착된 제2개폐부재(13)가 내측으로 밀려나게 되어 상기 흡입구(8)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실린더(6)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한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비강 내부에 세정액을 분사하여 비강 내부를 세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전동식 비강 세정기구는 종동축에 연결된 피스톤을 왕복운동시켜 펌핑작용을 수행하기 때문에, 모터의 용량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그 행정거리가 길어져야 하고, 이 경우 작동시의 진동이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행정거리를 짧게 하기 위해서는 모터의 용량이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동식 비강 세정기구는 실린더와 피스톤 간의 마찰로 인한 동력 손실이 발생하여 동력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정액통이 배출관로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소정양 이상의 세정액이 채워진 상태에서만 공급이 원활해지고, 세정액을 세정액통으로부터 양수하기 위해 추가적인 동력이 소모되므로 실린더 및 구동모터의 용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고안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소정 목적의 액제를 분사 노즐을 통해 비강 내부로 분사시키되, 그 행정거리가 짧고 동력손실이 적은 왕복식의 공기펌프를 구비하여 펌프 구동모터의 용량을 작게할 수 있으며, 작동시의 진동을 감소시켜 사용자의 사용감 및 안전도를 높일 수 있는 비강용 액제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본체의 상부에 액제통이 설치되어 자연대기압으로 액제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액제의 양수를 위한 추가적인 동력의 투입 없이도 원활한 액제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비강용 액제 분사장치를 제공하는것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비강 세정기구의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비강용 액제 분사장치의 일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3a는 본 고안의 요부인 동력전환부의 일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3b는 도3a의 측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요부인 펌핑부의 일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분해단면도.
도5a는 도4에 도시된 펌핑부의 구성요소인 개폐판의 정면도.
도5b는 도5a의 측단면도.
도6a는 도4에 도시된 펌핑부의 구성요소인 펌프하우징의 정면도.
도6b는 도6a의 측단면도.
도7a는 도4에 도시된 펌핑부의 구성요소인 외부하우징의 정면도.
도7b는 도7a의 측단면도.
도8은 본 고안의 요부인 노즐부의 일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9는 본 고안의 요부인 액제통의 일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10은 본 고안의 요부인 액제통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11a 및 도11b는 본 고안의 요부인 펌핑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본체케이스 202 : 배터리
203 : 구동모터 204 : 회전축
205 : 제1튜브 206 : 공기흡입구
207 : 액제공급관로 208 : 노즐커버
210 : 동력전환부 211 : 구동부재
212 : 종동부재 220 : 펌핑부
221 : 펌핑캡 222 : 펌프하우징
223 : 외부하우징 224 : 개폐판
225 : 가압실 230 : 노즐부
231 : 액제노즐 232 : 노즐고정부재
235 : 분사노즐 240 : 액제통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그 일측에 공기흡입구가 구비된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력 발생수단; 상기 회전력 발생수단에 그 일측이 장착되어 제공된 회전력을 직동 왕복이동력으로 변환시키는 직동왕복수단; 그 일측이 상기 직동왕복수단에 연결되고, 그 타측이 상기 본체케이스의 공기흡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직동왕복수단에 의해 반복적으로 변형되어 유입되는 공기에 양압 또는 음압을 제공하는 펌핑수단; 상기 펌핑수단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흡입관로 및 공기배출관로; 상기 펌핑수단에 결합되며, 상기 펌핑수단 내부의 압력에 연동하여 상기 공기흡입관로 또는 공기배출관로 중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유통시키거나 차단하는 선택개폐수단; 상기 펌핑수단으로부터 상기 공기배출관로를 통해 배출된 공기에 의해 액제를 분사하는 분사수단; 및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분사수단에 연통되는 액제공급관로를 통해 액제를 공급하는 액제통을 포함하는 비강용 액제 분사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강용 액제 분사장치의 일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측면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케이스(201)와; 상기 본체케이스(201)의 내부 일측에 장착된 배터리(202)와; 상기 배터리(2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을 인가받는 경우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03)와; 상기 구동모터(203)의 회전축(204)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204)의 회전력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제공하는 동력전환부(210)와; 상기 동력전환부(210)의 일측에 인접하여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실(225)이 형성되어 상기 동력전환부(210)의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가압하여 펌핑하는 펌핑부(220)와; 상기 본체케이스(201)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펌핑부(220)의 가압실(225)에 제1튜브(205)를 매개로 연통되는 공기흡입구(206)와; 상기 펌핑부(220)에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201)의 일측에 장 착되며, 상기 펌핑부(2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액제를 분사하는 노즐부(230)와; 상기 본체케이스(201)의 외부에 장착되며, 액제공급관로(207)를 매개로 상기 노즐부(230)에 연통되어 액제를 공급하는 액제통(240)과, 작동중이 아닐 때 상기 노즐부(230)를 보호하기 위해 부착되는 노즐커버(20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환부(210)는 도3a 및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심부에 상기 구동모터(203)의 회전축(204)이 삽입되는 체결홀(211a)이 형성된 구동부재(211)와, 상기 구동부재(211)의 상면의 편심부에 직립되게 형성된 원통형의 동력전달부재(211b)와, 그 중심부에 상기 동력전달부재(211b)가 삽입되는 관통홀(212a)이 형성된 종동부재(212)와, 상기 종동부재(212)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그 단부가 상기 펌핑부(220)의 일측에 체결되는 연결부재(212b)로 구성된다.
상기 펌핑부(22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측에 상기 종동부재(212)의 연결부재(212b)와의 볼트체결을 위한 체결홀(221a)이 형성되며, 타측에 제1개구부(221b)가 형성된 유연한 재질의 펌핑캡(221)과; 그 일측에 상기 펌핑캡(221)의 제1개구부(221b)에 삽입되어 내부에 상기 가압실(225)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2개구부(222a)가 형성되며, 그 타측에 공기가 소통되는 제1흡기홀(222b) 및 제1배기홀(222c)이 형성된 펌프하우징(222)과; 상기 펌프하우징(222)의 일측에 장착되며, 그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상기 펌프하우징(222)의 제1흡기홀(222b) 및 제1배기홀(222c)에 연통되는 제2흡기홀(223a) 및 제2배기홀(223b)이 형성된 외부하우징(223)과, 상기 펌프하우징(222)과 외부하우징(223)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흡기홀(222b, 223a)과 제1 및 제2배기홀(222c, 223b)에 서로 반대되는 일방향의 공기흐름만을 인가하는 유연한 재질의 개폐판(224)으로 구성된다.
도5a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판(224)의 일측 및 타측에는 원호형상으로 부분 절개된 제1 및 제2개폐부재(224a, 224b)가 형성된다.
도6a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프하우징(222)의 외측 일면에는 상기 개폐판(224)이 장착되는 장착홈(222d)이 형성되며, 상기 제1흡기홀(222b)의 일측에는 상기 개폐판(224)의 제1개폐부재(224a)가 기압차에 의해 밀려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1개방홈(222e)이 형성된다.
도7a 및 도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하우징(223)의 제2배기홀(223b)의 일측에는 상기 개폐판(224)의 제2개폐부재(224b)가 기압차에 의해 밀려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2개방홈(223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노즐부(23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 일측에 상기 액제공급관로(207)가 연결되는 액제공급홀(231a)이 형성되며, 그 종단부에 액제를 배출시키기 위한 액제배출홀(231b)이 형성된 액제노즐(231)과; 상기 액제노즐(231)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노즐고정부재(232)와; 상기 노즐고정부재(232)의 일측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하우징(223)의 제2배기홀(223b)에 제2튜브(233)를 매개로 연결되는 공기배출구(234)와; 그 종단부에 상기 액제노즐(231)의 액제배출홀(231b)을 통해 배출되는 액제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홀(235a)이 형성되며, 그 타측 개구부의 내측벽면(235a)에 상기 노즐고정부재(232)가 내접되도록 상기 액제노즐(231)이 결합되는 분사노즐(23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액제노즐(231)의 외주면과 분사노즐(235)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공기배출구(234)를 통해 상기 펌핑부(220)에 연결되며, 상기 펌핑부(2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해 그 종단부측이 점점 좁아져 노즐효과를 갖는 내부공간(236)이 형성된다.
상기 액제통(240)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측면에 상기 액제공급관로(207)가 연결되는 액제공급홀(241a)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 액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241)와; 상기 몸체(241)의 상부에 결합되며, 그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통공(242a) 및 상기 통공(242a)에 연통되게 하방으로 연장된 통기관(242b)이 형성된 덮개(24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구(206)에는 외부의 이물 및 병원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항균필터(206a)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2의 미설명부호 209는 스위치이다.
상기 각 구성 요소들의 상세 기능 및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액제통(240)에 수용된 소정 효과를 갖는 액상의 약제 또는 세정액 등의 액제는 별도의 동력 공급 없이도 그 하중에 의해 상기 액제공급관로(207)를 경유하여 상기 액제노즐(231)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액제통(240)의 덮개(242)의 하측면에 형성된 통기관(242a)이 상기 액제의 내부까지 연장되므로, 상기 액제의 상측에는 밀폐공간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액제가 상기 액제노즐(231) 측으로 빠져나갈 때에는 상기 밀폐공간에 역배압이 형성되어 액제배출홀(231b)을 통해 계속적으로 액제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 된다.
또한,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액제노즐(231)의 액제배출홀(231b) 전단에는 소정 양의 액제가 맺혀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203)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구동부재(211)가 회전하게 되고, 편심된 동력전달부재(211b)에 의해 상기 종동부재(212)가 종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종동부재(212)에 연결된 상기 펌핑캡(221)이 변형되면서 상기 가압실(225)의 내측 및 외측으로 함입과 돌출을 반복하게 된다.
도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핑캡(221)이 상기 가압실(225)의 내측으로 함입되는 경우에는, 기압차에 의해 상기 개폐판(224)의 제2개폐부재(224b)가 상기 외부하우징(223)의 제2개방홈(223c) 측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펌프하우징(222)의 제1배기홀(222c) 및 상기 외부하우징(223)의 제2배기홀(223b)이 개방되어 상기 가압실(225) 내부의 공기가 상기 노즐부(230)의 내부공간(236)으로 이송된다.
이송된 공기는 상기 노즐부(230)의 내부공간(236)에서 가속되어 상기 액제노즐(231)의 액제배출홀(231b) 전단에 위치되어 있는 액제를 강하게 밀어내어 상기 분사노즐(235)의 분사홀(235a)을 통해 사용자의 비강 내부로 분사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폐판(224)의 제1개폐부재(224a)는 상기 외부하우징(223)의 제2흡기홀(223a)의 입구에 밀착되어 상기 가압실(225) 내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흡입구(206)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반대로,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핑캡(221)이 상기 가압실(225)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기압차에 의해 상기 개폐판(224)의 제1개폐부재(224a)가 상기 펌프하우징(222)의 제1개방홈(222e) 측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펌프하우징(222)의 제1흡기홀(222b) 및 상기 외부하우징(223)의 제2흡기홀(223a)이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흡입구(206)을 통해 상기 가압실(225)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개폐판(224)의 제2개폐부재(224b)는 상기 펌프하우징(222)의 제1배기홀(222c)의 입구에 밀착되어 노즐부(230)의 내부 공기가 상기 가압실(225) 내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비강 내부에 소정의 액제를 요구되는 양만큼 투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10은 본 고안의 요부인 액제통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덮개의 하측에 전술한 실시예의 통기관(242a) 대신 고무패킹(303)을 구비하여 액제가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한 예를 나타내다.
즉, 본 실시예의 액제통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 몸체(241)와; 상기 몸체(241)의 상부에 결합되며, 그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통공(301a)이 형성된 덮개(301)와, 상기 덮개(301)의 통공(301a) 하부에 고정링(303)을 매개로 장착된 고무패킹(303)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액제통은, 분사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통공(301a)을 막아 내부의 액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분 사작동이 이루어 지는 동안에는 액제통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므로, 하측으로 밀려나게 되어 액제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비강 내부에 액제를 분사시키기 위한 펌핑작동이 유연성 있는 재질의 펌핑캡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고, 펌핑캡을 작동시키기 위해 왕복운동되는 종동부의 행정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동력효율을 높일 수 있고, 펌프 구동모터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으며, 작동시의 진동을 감소시켜 사용자의 사용감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에 설치된 액제통으로부터 대기압에 의해 액제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액제의 양수를 위한 추가적인 동력이 필요 없게 되어 동력의 소모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액제통의 덮개에 외부와 연통되며 하방으로 연장된 통기관을 형성함으로써, 액제가 액제노즐 측으로 빠져나갈 때에는 액제통 내부에 역배압이 형성되어 액제노즐의 배출홀을 통해 계속적으로 액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그 일측에 공기흡입구가 구비된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력 발생수단;
    상기 회전력 발생수단에 그 일측이 장착되어 제공된 회전력을 직동 왕복이동력으로 변환시키는 직동왕복수단;
    그 일측이 상기 직동왕복수단에 연결되고, 그 타측이 상기 본체케이스의 공기흡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직동왕복수단에 의해 반복적으로 변형되어 유입되는 공기에 양압 또는 음압을 제공하는 펌핑수단;
    상기 펌핑수단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흡입관로 및 공기배출관로;
    상기 펌핑수단에 결합되며, 상기 펌핑수단 내부의 압력에 연동하여 상기 공기흡입관로 또는 공기배출관로 중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유통시키거나 차단하는 선택개폐수단;
    상기 펌핑수단으로부터 상기 공기배출관로를 통해 배출된 공기에 의해 액제를 분사하는 분사수단; 및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분사수단에 연통되는 액제공급관로를 통해 액제를 공급하는 액제통을 포함하는 비강용 액제 분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발생수단은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배터리와 구동모터간의 전기적 연결을 인가 또는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
    를 포함하는 비강용 액제 분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동왕복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 상면의 편심부에 직립되게 형성된 원통형의 동력전달부재와;
    일측에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재가 회전하는 경우 왕복운동하여 상기 펌핑수단의 일측에 외력을 가하는 종동부재
    를 포함하는 비강용 액제 분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수단은
    그 내측에 개구부를 갖는 소정 공간이 형성된 펌프하우징과;
    상기 펌프하우징의 개구부 측에 결합되어 그 내부에 가압실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동력 전환수단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가압실의 내측으로 함몰 및 외측으로 돌출되는 탄성재질의 펌핑캡
    을 포함하는 비강용 액제 분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개폐수단은
    상기 펌핑수단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되는 제1흡기홀 및 제1배기홀과;
    상기 펌프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외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며, 그 일측이 상기 제1흡기홀과 마주하고, 그 타측이 상기 공기흡입관로에 연결되는 제2흡기홀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며, 그 일측이 상기 제1배기홀과 마주하고, 그 타측이 상기 공기배출관로에 연결되는 제2배기홀과;
    상기 펌프하우징과 외부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펌핑수단의 내부에 양압이 형성되면 상기 제1 및 제2배기홀만을 소통시키고, 음압이 형성되면 상기 제1 및 제2흡기홀만을 소통시키는 개폐부재
    를 포함하는 비강용 액제 분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은
    일측에 상기 액제공급관로가 연결되며, 그 종단부에 액제를 배출시키기 위한 액제배출홀이 형성된 액제노즐과;
    그 종단부에 상기 액제노즐의 액제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액제를 소정 압력으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홀이 형성되며, 그 내측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액제노즐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분사노즐과;
    그 일측이 상기 분사노즐의 내부공간에 연결되고, 그 타측이 상기 공기배출관로에 연결되어 상기 펌핑수단에 의해 펌핑된 공기가 이송되는 공기배출구
    를 포함하는 비강용 액제 분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제통은
    그 하측면에 상기 액제공급관로가 연결되는 액제공급홀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 액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측에 결합되며, 그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통공 및 상기 통공에 연통되게 하방으로 연장된 통기관이 형성된 덮개
    를 포함하는 비강용 액제 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제통은
    그 하측면에 상기 액제공급관로가 연결되는 액제공급홀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 액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측에 결합되며, 그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덮개와;
    상기 덮개의 통공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몸체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몸체 내부에 음압이 형성될 경우에만 상기 통공을 개방시키는 탄성개폐부재
    를 포함하는 비강용 액제 공급장치.
KR2020000035470U 2000-12-18 2000-12-18 비강용 액제 분사장치 KR2002249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470U KR200224952Y1 (ko) 2000-12-18 2000-12-18 비강용 액제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470U KR200224952Y1 (ko) 2000-12-18 2000-12-18 비강용 액제 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952Y1 true KR200224952Y1 (ko) 2001-05-15

Family

ID=73093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470U KR200224952Y1 (ko) 2000-12-18 2000-12-18 비강용 액제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95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601B1 (ko) 2008-04-25 2009-01-15 천문현 두발세정용 폼 분사장치
WO2009017272A1 (en) * 2007-07-27 2009-02-05 Welbutech Co., Ltd. Breathing relief kit
KR101517433B1 (ko) 2013-08-28 2015-05-04 주식회사 시소닉 초음파 진동부를 포함하는 시약투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7272A1 (en) * 2007-07-27 2009-02-05 Welbutech Co., Ltd. Breathing relief kit
KR100878601B1 (ko) 2008-04-25 2009-01-15 천문현 두발세정용 폼 분사장치
KR101517433B1 (ko) 2013-08-28 2015-05-04 주식회사 시소닉 초음파 진동부를 포함하는 시약투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1679B1 (en) Portable nasal mucus removing device
CN111449783B (zh) 口腔清洗装置
US6142750A (en) Gear pump and replaceable reservoir for a fluid sprayer
CN113843067B (zh) 静电手持式喷射器
US5518375A (en) Device for the suction and delivery of a fluid, apparatus for dispersing a liquid comprising such a device
KR200224952Y1 (ko) 비강용 액제 분사장치
KR200148059Y1 (ko) 진공청소기
TW202110541A (zh) 手持式流體噴霧器
CN108618861B (zh) 一种口腔冲洗器
JP6427980B2 (ja) 液体吐出装置
KR101372481B1 (ko) 온수세정기의 맥동 펌프 장치
KR20130043833A (ko) 유액분사장치
KR101501204B1 (ko) 휴대용 구강세척기
KR102198973B1 (ko) 피부 관리기
KR20040085633A (ko) 화장수의 분사장치
JPH08117254A (ja) 口腔洗浄器
JP2575336B2 (ja) 流体の吸い込み及び送り出しを行う装置及びそのような装置を有する液体散布器具
CN215685509U (zh) 全自动个人清洁用具
CN217105356U (zh) 一种淋浴器及其清洁剂添加组件
CN114601360B (zh) 一种自动出泡的电动按摩洁面仪
JP2004180786A (ja) 口腔衛生装置
KR101587346B1 (ko) 토출과 석션의 동시 구동을 위한 하이브리드 펌프
CN215685498U (zh) 个人清洁用具
KR200369273Y1 (ko) 휴대용 치아 세정기
JP2540204Y2 (ja) 液体付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