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768Y1 -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768Y1
KR200224768Y1 KR2020000035294U KR20000035294U KR200224768Y1 KR 200224768 Y1 KR200224768 Y1 KR 200224768Y1 KR 2020000035294 U KR2020000035294 U KR 2020000035294U KR 20000035294 U KR20000035294 U KR 20000035294U KR 200224768 Y1 KR200224768 Y1 KR 2002247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duplexer
terminal
transmission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2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5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7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7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768Y1/ko

Links

Landscapes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 등의 송수신용으로 사용되는 듀플렉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주파 송수신 회로부와 인쇄회로기판의 신호 패턴으로 연결되는 수신 단자 및 송신 단자가 구비되고, 밑면을 포함한 외곽면에 외부 도체와 접지를 위한 도금막이 형성된 공진기를 포함한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공진기에는 상호 접촉면에서 상기 신호 패턴과 도금막 사이에 전기적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간섭방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중첩됨이 없이 신호 패턴을 최단 거리로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전송선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송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THE DUPLEXER FOR A MOBILE TERMINAL}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 등의 송수신용으로 사용되는 듀플렉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진기의 접지부와 송수신 단자에서 회로부로 연결되는 신호 패턴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송수신 성능이 향상되도록 한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가 도시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의 듀플렉서의 공진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듀플렉서는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양방향 전송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송수신 전환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는 인쇄회로기판(10) 상에 구비된 고주파 송수신 회로부(13)와, 상기 인쇄회로기판(10) 상에 구비되어 상기 고주파 송수신 회로부(13)와 단말기의 안테나(미도시 됨)를 연결하여 특정 주파수를 선별함으로써 양방향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진기(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진기(20)는 박스형으로 이루어져 주파수의 선별을 위해 다수의 공진홀(21)이 형성됨과 아울러 밑면에는 상기 고주파 송수신 회로(13)와 안테나 측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단자(25a)(25b)(25c)들이 구비된다.
즉, 상기 단자(25a)(25b)(25c)는 공진기(20)의 중앙부에 안테나 측과 연결되는 안테나 단자(25a)가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 단자(25a)의 양측에는 상기 고주파 송수신 회로(13)측과 인쇄회로기판(10) 상에 형성된 신호 패턴(15b)(15c)으로 연결되는 수신 단자(25b) 및 송신 단자(25c)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공진기(20)는 상기 단자(25a)(25b)(25c)들과 절연부(26a)(26b)(26c)로 구획된 나머지 외곽 표면에는 외부도체에 접지될 수 있도록 도금막이 도포된 접지부(23)가 상기 인쇄회로기판(10)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는 특정 신호를 수신할 때는 안테나 단자(25a)로 입력된 신호가 공진기(20)를 거치면서 원하는 신호가 선별되어 수신 단자(25b)와 신호 패턴(15b)을 통해 고주파 송수신 회로부(13)에 전송된다.
반대로 특정 신호를 송신할 때는 상기 고주파 송수신 회로부(13)에서 출력된 송신 신호가 신호 패턴(15c)과 송신 단자(25c)를 통해 공진기(20)를 통과한 후, 안테나 단자(25a)를 통해 안테나로 보내져 외부로 전송된다.
여기서 단말기의 구조상 안테나 측과 고주파 송수신 회로(13)는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있는 바, 송수신 신호의 흐름 상 단말기의 안테나측과 공진기의 안테나 단자(25a), 그리고 공진기의 송수신 단자(25b)(25c)와 상기 고주파 송수신 회로(13)는 최단 거리로 신호 패턴(15b)(15c)을 연결하여야만 전송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는 공진기(20)의 구조상 안테나 단자(25a)와 송신 단자(25c) 및 수신 단자(25b)가 한쪽 밑면에 집중되어 인쇄회로기판(10)의 신호 패턴(15b)(15c)을 통해 고주파 송수신 회로(13)와 최단거리로 연결되므로 공진기(20)의 밑면에 도금된 접지부(23)와 신호 패턴(15b)(15c)간에 중첩이 발생되고, 이로 기인한 상호 간섭으로 송수신 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진기의 접지부와 인쇄회로기판의 신호 패턴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진기의 밑면에 도피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상호 중첩됨이 없이 신호 패턴을 최단 거리로 형성하여 전송선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송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가 도시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듀플렉서의 공진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가 도시된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듀플렉서의 공진기가 도시된 저면 방향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인쇄회로기판 53 : 고주파 송수신 회로부
55b, 55c : 신호 패턴 60 : 공진기
61 : 공진홀 63 : 접지부
65a : 안테나 단자 65b : 수신 단자
65c : 송신 단자 66 : 도피홈부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는, 고주파 송수신 회로부와 인쇄회로기판의 신호 패턴으로 연결되는 수신 및 송신 단자가 구비되고, 밑면을 포함한 외곽면에 외부 도체와 접지를 위한 도금막이 형성된 공진기로 이루어진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공진기에는 상호 접촉면에서 상기 신호 패턴과 도금막 사이에 전기적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어도 어느 한 쪽 면에 간섭방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섭방지수단은 상기 공진기의 밑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 패턴이 간섭 없이 통과하도록 긴 홈형상으로 이루어진 도피홈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가 도시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듀플렉서의 공진기가 도시된 저면 방향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는 인쇄회로기판(50) 상에 구성되는 고주파 송수신 회로부(53)와, 상기 인쇄회로기판(50) 상에 구비되어 상기 고주파 송수신 회로부(53)와 단말기측 안테나를 연결하여 특정 주파수를 선별함으로써 양방향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진기(60)로 구성된다.
상기 공진기(60)는 주파수의 선별을 위해 전후 방향으로 다수의 공진홀(61)이 형성되고, 밑면에는 안테나 측과 연결되는 안테나 단자(65a)와, 상기 안테나 단자(65a)의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고주파 송수신 회로(53)와 연결되는 수신 단자(65b) 및 송신 단자(65c)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신 단자(65b) 및 송신 단자(65c)는 상기 고주파 송수신 회로(53) 측과 인쇄회로기판(50) 상에 형성된 신호 패턴(55b)(55c)으로 연결된다.
상기 공진기(60)는 상기 단자(65a)(65b)(65c)들과 절연부로 구획된 나머지 외곽 표면에 외부도체에 접지될 수 있도록 도금막으로 된 접지부(63)가 상기 인쇄회로기판(60)에 연결된다.
특히, 상기 공진기(60)는 그 밑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50)의 신호 패턴(55b)(55c)이 통과하는 도피홈부(66)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신호 패턴(55b)(55c)과 접지부(63) 사이에 전기적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도피홈부(66)는 그 단면이 사각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진기의 수신 단자(65b) 및 송신 단자(65c)와 고주파 송수신 회로부(53)가 최단거리로 연결되도록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다른 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도금막이 도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정 주파수를 수신할 때는 안테나 단자(65a)로 입력된 신호가 공진기(60)를 거치면서 원하는 신호가 선별되어 수신 단자(65b)와 신호 패턴(55b)을 통해 고주파 송수신 회로부(53)에 전송된다.
반대로 특정 신호를 송신할 때는 상기 고주파 송수신 회로부(53)에서 출력된 송신 신호가 신호 패턴(55c)과 송신 단자(55c)를 통해 공진기(60)를 통과한 후, 안테나 단자(65a)를 통해 외부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공진기(60)는 그 밑면에 도피홈부(66)가 형성되어 도금막으로 된 접지부(63)와 인쇄회로기판(50) 상에 형성된 신호 패턴(55b)(55c)이 상호 중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공진기(60)의 송수신 단자(65b)(65c)와 상기 고주파 송수신 회로(53)가 상기 도피홈부(66)를 통해 신호 패턴(55b)(55c)이 도금막과 간섭 없이 최단 거리로 연결되므로 송수신 성능을 높이는 동시에 전송선의 손실을 그만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의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는 공진기의 접지부와 인쇄회로기판의 신호 패턴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진기의 밑면에 도피홈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호 중첩됨이 없이 신호 패턴을 최단 거리로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전송선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송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고주파 송수신 회로부와 인쇄회로기판의 신호 패턴으로 연결되는 수신 단자 및 송신 단자가 구비되고, 밑면을 포함한 외곽면에 외부 도체와 접지를 위한 도금막이 형성된 공진기를 포함한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공진기에는 상호 접촉면에서 상기 신호 패턴과 도금막 사이에 전기적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간섭방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방지수단은 상기 공진기의 밑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 패턴이 간섭 없이 통과하도록 긴 홈형상으로 이루어진 도피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피홈부는 그 단면이 사각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진기의 수신 및 송신 단자와 고주파 송수신 회로부가 최단거리로 연결되도록 직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
KR2020000035294U 2000-12-16 2000-12-16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 KR2002247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294U KR200224768Y1 (ko) 2000-12-16 2000-12-16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294U KR200224768Y1 (ko) 2000-12-16 2000-12-16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768Y1 true KR200224768Y1 (ko) 2001-05-15

Family

ID=73093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294U KR200224768Y1 (ko) 2000-12-16 2000-12-16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7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4259B (fi) Radiotaajuisen etupään rakenne
KR100333242B1 (ko) 표면실장형안테나및이안테나를사용하는통신기기
FI98872C (fi) Parannettu portaittain säädettävä suodatin
KR20000028934A (ko) 필터 내장 유전체 안테나, 듀플렉서 내장 유전체 안테나및 무선 장치
CN100477374C (zh) 传输线路连接结构及发送/接收装置
JP2004023567A (ja) 誘電体フィルタの実装構造、誘電体フィルタ装置、誘電体デュプレクサの実装構造および通信装置
CA2235460C (en) Dielectric filter, transmitting/receiving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JPH1079617A (ja) 電磁気的発振を受信及び/又は送信する装置
KR100397732B1 (ko) 유전체 필터, 듀플렉서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기 장치
JP2001274719A (ja) 無線通信機
US7551045B2 (en) Dual channel band-pass filter
KR200224768Y1 (ko) 휴대 단말기용 듀플렉서
CN112825385A (zh) 天线、终端中框及终端
US5854606A (en) Surface-mount antenna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same
US10234493B2 (en) Wireless module, electronic module, and measuring method
US6002366A (en) Surface mount antenna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same
JP2007295361A (ja) デュプレクサ
KR100834672B1 (ko) 휴대단말기
KR100339688B1 (ko)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
KR200263615Y1 (ko) 감쇠극을 갖는 유전체 필터
US6137382A (en) Dielectric duplexer and 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such dielectric duplexer
KR100287404B1 (ko) 듀플렉서 필터
KR100305577B1 (ko) 유전체 듀플렉서의 제조방법
KR100431939B1 (ko) 일체형 이중밴드 듀플렉서
KR20020024707A (ko) 일체형 유전체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