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525Y1 - 교량의 난간 보수작업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의 난간 보수작업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525Y1
KR200224525Y1 KR2020000034699U KR20000034699U KR200224525Y1 KR 200224525 Y1 KR200224525 Y1 KR 200224525Y1 KR 2020000034699 U KR2020000034699 U KR 2020000034699U KR 20000034699 U KR20000034699 U KR 20000034699U KR 200224525 Y1 KR200224525 Y1 KR 2002245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oupled
section
bridg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진
신경범
이민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천일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천일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천일기술단
Priority to KR2020000034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5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5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525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 난간의 보수작업 시, 볼트 등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난간 최상단 레일상에 결합되는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난간 최상단의 레일상에 본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부착부(10);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선회가 가능하도록 상기 부착부에 결합된 아암(40); 및 상기 아암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난간의 기판을 감싸는 봉투부재(50)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부는, 조임기구(20)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기구(20)는 상기 난간의 최상단 레일을 둘러싸게 구성된 채널단면을 갖는 부재(21) 및, 상기 채널단면을 갖는 부재(21) 내에서 상기 레일이 양쪽에서 파지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조임부재(25)를 포함하며, 상기 아암은, 상기 부착부에 결합되는 제1 섹션부재(41)와, 상기 제1 섹션부재 내로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제2 섹션부재(42)를 포함하고, 상기 봉투부재는, 적어도 3개의 측벽을 포함하는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부 및 바닥을 가짐으로써, 토크렌치 등이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들어가서 상기 봉투부재가 감싸고 있는 볼트 등을 풀거나 조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의 난간 보수작업용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FOR BRIDGE PARAPET}
본 고안은 볼트, 스크류 또는 기타의 풀 수 있는 고정장치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이 행해지는 교량 난간의 보수작업 시, 볼트 등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차도부와 인도부로 구별되고, 교량의 최 종단부에는 사람이나 차량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인 난간의 형태 중의 하나는 금속으로 된 담과 같은 구조이며, 그것은 이격된 다수의 기둥과 그러한 기둥들을 지지하게 수평방향으로 늘어선 다수개의 레일을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레일 사이를 메우는 철망을 설치되기도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각각의 기둥은 일반적으로 교량 구조체의 측단부재 상에 얹혀져서 상기 측단부재 속에 박히는 다수개의 볼트에 의해 측단부재에 대해 하중전달적으로 단단히 고정된 기판을 포함한다.
안전 요건 상 이러한 볼트들은 조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정기적으로 점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공사하는 교량의 아래에 간선도로가 지나가는 경우에는 아래의 간선도로를 폐쇄하는데, 이는 공구나 볼트 또는 볼트헤드가 조임과정에서 아래의 간선도로 위로 떨어져, 안전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결국, 이는 간선도로 상의 교통흐름을 심각하게 방해하는 것을 피할 수 없고, 교량의 아래가 강물인 경우에도 언제나 안전사고가 발생될 소지를 안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교량 아래의 간선도로를 폐쇄할 필요가 없고, 또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교량 난가의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하는 교량 난간 보수작업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조절이 가능한 아암이 내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의 측면도.
도2는 도1에 대응되는 상면도.
도3은 아암이 외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본 고안의 측평면도.
도4는 본 고안이 난간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착부 20 : 조임기구
30 : 장착판 40 : 아암
50 : 봉투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교량의 난간 최상단 레일상에 결합되어, 교량의 보수 작업시 교량 아래로 어떠한 물체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난간 최상단의 레일상에 본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부착부;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선회가 가능하도록 상기 부착부에 결합된 아암; 및 상기 아암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난간의 기판을 감싸는 봉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부는, 조임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기구는 상기 난간의 최상단 레일을 둘러싸게 구성된 채널단면을 갖는 부재 및, 상기 채널단면을 갖는 부재 내에서 상기 레일이 양쪽에서 파지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조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아암은, 상기 부착부에 결합되는 제1 섹션부재와, 상기 제1 섹션부재 내로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제2 섹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봉투부재는, 적어도 3개의 측벽을 포함하는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부 및 바닥을 가짐으로써, 토크렌치 등이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들어가서 상기 봉투부재가 감싸고 있는 볼트 등을 풀거나 조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조절이 가능한 아암이 내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의 측면도이고, 도2는 도1에 대응하는 상면도이며, 도3은 아암이 외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안전장치의 측평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이 난간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난간은 다수개의 기둥(13)들이 일정 간격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기둥 각각은 그 하부에 평평한 기판(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판에 볼트(15)를 삽입하여 교량의 측변 콘크리트에 고정함으로써, 난간을 교량에 설치한다. 즉, 기둥(13)은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고 길이 방향으로 늘어서 있으며, 철망이나 수직 빔(17)이 다수개 용접 설치된 레일(16)을 갖는다.
부착부(10)는 조임기구(20)를 포함함으로써, 본 고안을 난간(12)의 최상측의 레일(16)에 부착할 수 있다. 조임기구(20)는 채널섹션부재(21)를 포함하며, 채널섹션부재(21)는 사용시에 최상측에 배치되는 횡벽(22) 및 레일(16)의 폭보다 큰 거리만큼 이격되어 아래쪽으로 늘어선 내측벽(23)과 외측벽(24)을 갖는다.
내측벽(23)은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스크류 클램프(25)를 가지며, 각각의 스크류 클램프(25)는 측벽(23)에 고정되어 내부나사가 가공된 보스(28) 속에 박힌 나사가 가공된 생크(27)의 한 단부에 있는 대형 작동노브(26)를 포함한다. 생크(27)는 측벽 속의 구멍(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완충 클램핑 플레이트(29)를 갖는 채널섹션부재(21)의 안쪽으로 박혀 있다. 두 개의 스크류 클램프(25)는 각각의 클램핑 플레이트(29)를 구비하거나, 또는 길이방향으로 늘어선 하나의 클램핑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거기에 두 개의 클램프 스크류가 연결되게 한다. 물론, 레버작동식 기구 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조임 기구도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임 기구의 공지의 기술을 이용해 제작될 수 있다.
외측벽(24)은 그 길이의 중앙에 고정 브라켓을 수용하기 위한 틈이 형성됨으로써, 레일(16)이 기둥(13)에 의해 지지되어 부착부(10)를 기둥에 대해 적절한 위치로 배치할 수 있다. 사용시에는 내측벽(23) 및 외측벽(24)이 레일의 측면에 겹쳐진 채로 채널섹션부재(21)가 난간(12)의 최상측 레일(16)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스크류 클램프(25)가 조여져서 채널섹션부재(21)가 레일에 대해 단단히 조여진다.
채널섹션부재(21)는 그 상측에서 바깥쪽으로 늘어선 한 쌍의 장착판(30)을 가지며, 장착판(30)은 그 외단부에서 가로로 늘어선 피봇(32)을 위한 베어링(31)을 구비하고, 피봇(32)은 조절이 가능한 아암(40)의 내단부에서 지지된다.
아암(40)은 제1 섹션(41)과 제2 섹션(42)을 포함하며, 제1 섹션(41)은 내부에 있을 때에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판(30)들의 사이로 늘어서 있다. 아암(40)의 제2 섹션(42)은 제1 섹션(41) 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으며, 길이 조절된 어느 위치에서든 두 개의 섹션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 클램프(43)가 제공된다. 아암(40)의 제1 섹션(41)은 본 고안을 난간 외측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핸들(44)을 구비한다.
제2 섹션(42)의 최외단부에는 러그(45)가 제공되며, 러그(45)에는 안전케이블(46)의 일단이 클립(4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안전케이블(46)의 다른 단부에도 클립(48)이 제공되어, 난간의 레일 등에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어떤 이유로든 부착부(10)가 레일(16)로부터 분리되거나, 아암의 외부섹션이 내부섹션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난간(12)으로부터 자유 낙하함이 없이 안전케이블에 의해 걸려서 유지되게 한다.
아암의 제2 섹션(42)에는 봉투부재(50)가 고정되어 있으며, 봉투부재(50)는 하나의 횡패널(51)과 두 개의 마주하는 측패널(52)을 포함하여, 개방된 상부(53)와 개방된 바닥(54) 및 개방된 전방측부(55)를 갖는 박스를 형성한다. 봉투부재(50)는 볼트(15)를 둘러싸되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크렌치(60) 등과 같은 공구의 축(61)을 봉투부재(50)의 개방된 상부(53)를 통해 아래쪽으로 통과시켜 접근시킬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기둥(13)의 아래에 있는 기판(14)의 둘레에 끼울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토크렌치의 축(61)의 한 단부에 있는 소켓(62)은 축에 용접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축의 다른 단부에 있는 작동부재(64)도 요구되는 래치기구를 통해 분리가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토크렌치(60)는 앞서 설명한 안전케이블(46)과 유사한 안전케이블(66)을 구비하여, 교량 아래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 시에는, 부착부(10)가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기둥(13)들 중의 하나의 바로 위에 있는 최상부 레일(16)에 고정되는 반면에, 아암(40)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안측에 위치해 있다. 부착부(10)가 고정되면, 아암이 요구되는 길이로 조절되어 핸들(44)에 의해 바깥쪽으로 선회되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부위치로 간다. 이 위치에서 봉투부재(50)는 기판(14)을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봉투부재(50)의 상부(53)와 바닥(54) 및 전방측부(55)가 완전히 개방되어 있지만, 좀더 큰 안전성을 위해 그러한 부분들 중의 하나 이상은 부분적으로 폐쇄될 수도 있다. 특히, 봉투부재(50)는 토크렌치(60)의 소켓이 봉투부재(50)를 통과해서 각각의 볼트와 결합하는데 적합하도록 천공된 상부패널 및 바닥패널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렇게 변경된 봉투부재를 편리하게 배치하기 위해, 아암이 외부위치에 있을 때에 아암(40)의 상단부로부터 아암(4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됨으로써, 아암이 볼트(15)의 헤드에 대해 충분한 틈새를 갖고 기판(14) 위의 위치로 선회된 후에 봉투부재를 수 센티미터의 거리만큼 강하시킬 수도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종류의 난간이 수직으로 배치된 기판에 박힌 볼트에 의해 교량구조체의 단부부재의 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봉투부재(50)는 아래쪽이 완전히 폐쇄되도록 변경될 수 있으며, 아암의 길이는 변경된 봉투부재를 기판 근처의 단부부재의 측면과 접촉시킬 수 있게 조절될 수 있다. 실제로, 상이한 종류의 난간 장착부에 이용하기 위한 두개 이상의 호환성 봉투부재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교량 난간의 보수 작업시 교량으로부터 어떠한 물체가 아래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보수 작업을 신속히 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교량의 난간 최상단 레일상에 결합되어, 교량의 보수 작업시 교량 아래로 어떠한 물체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난간 최상단의 레일상에 본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부착부(10);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선회가 가능하도록 상기 부착부에 결합된 아암(40); 및
    상기 아암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난간의 기판을 감싸는 봉투부재(50)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부는, 조임기구(20)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기구(20)는 상기 난간의 최상단 레일을 둘러싸게 구성된 채널단면을 갖는 부재(21) 및, 상기 채널단면을 갖는 부재(21) 내에서 상기 레일이 양쪽에서 파지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임부재(25)를 포함하며,
    상기 아암은, 상기 부착부에 결합되는 제1 섹션부재(41)와, 상기 제1 섹션부재 내로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제2 섹션부재(42)를 포함하고,
    상기 봉투부재는, 적어도 3개의 측벽을 포함하는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부 및 바닥을 가짐으로써, 토크렌치 등이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들어가서 상기 봉투부재가 감싸고 있는 볼트 등을 풀거나 조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난간 보수작업용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섹션부재에는, 본 장치를 난간 밖으로 이동시킬 때, 이를 지원하기 위해 결합된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난간 보수작업용 안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본 장치가 레일로부터 분리되더라도 교량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섹션부재의 단부에 고정 형성된 러그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난간의 레일 등에 결합된 안전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난간 보수작업용 안전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단면을 갖는 부재는, 그 상측에서 바깥쪽으로 늘어선 한 쌍의 장착판(30)을 가지며, 상기 장착판(30)은 그 외단부에서 가로로 늘어선 피봇(32)을 위한 베어링(31)을 구비하고, 상기 피봇(32)은 조절이 가능한 상기 아암의 제1 섹션부재의 내단부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난간 보수작업용 안전장치.
KR2020000034699U 2000-12-11 2000-12-11 교량의 난간 보수작업용 안전장치 KR2002245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699U KR200224525Y1 (ko) 2000-12-11 2000-12-11 교량의 난간 보수작업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699U KR200224525Y1 (ko) 2000-12-11 2000-12-11 교량의 난간 보수작업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525Y1 true KR200224525Y1 (ko) 2001-05-15

Family

ID=73061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699U KR200224525Y1 (ko) 2000-12-11 2000-12-11 교량의 난간 보수작업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5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1249B1 (en) Quick connector apparatus for elevator guide rail section
KR200224525Y1 (ko) 교량의 난간 보수작업용 안전장치
KR20110010248A (ko) 교량공사용 멀티유헤드 브래킷장치
KR101131079B1 (ko) 교량공사용 멀티유헤드 서포트장치
JP2800115B2 (ja) 手摺支柱角度自在ブラケット
CN111502252B (zh) 集束体系钢结构建筑楼板用吊挂式免支模系统及施工方法
JP3039291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と柱頭部との仕口用型枠
GB2334060A (en) Safety apparatus for bridge parapet or like overhead structure
JPH101917A (ja) 各種標識板の支持装置
CN219031499U (zh) 一种用于预制箱梁吊装的保护装置
JP4102721B2 (ja) 溝側面の突出部材の簡易引張試験装置
KR0122237Y1 (ko) 자동문 안내레일의 고정장치
KR200269650Y1 (ko) 가공지선 분리용 고정블록
KR200375320Y1 (ko) 건축물 시공용 추락 및 낙하 방지장치
KR20060055283A (ko) 건축물 시공용 추락 및 낙하 방지장치
KR200292597Y1 (ko)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
JPH07267553A (ja) エレベータ乗場ドアハンガーケース用取付雇
KR20050092061A (ko) 빔 하부 강선곡선배치 방법을 이용한 빔 보강공법 및 그 보강장치
JP2000320254A (ja) 後付工法用治具及びその治具を用いた後付工法
GB2310441A (en) A railing system
JP2569240Y2 (ja) 基板フレームの取付構造
FI127755B (en) Mounting arrangement
JP2540567Y2 (ja) 手摺りパイプ取付け用支柱
KR200297358Y1 (ko) 도로포장 장비용 레일 받침 어셈블리
JPS613565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