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330Y1 - 대·소경 관체의 길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대·소경 관체의 길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330Y1
KR200224330Y1 KR2020000031168U KR20000031168U KR200224330Y1 KR 200224330 Y1 KR200224330 Y1 KR 200224330Y1 KR 2020000031168 U KR2020000031168 U KR 2020000031168U KR 20000031168 U KR20000031168 U KR 20000031168U KR 200224330 Y1 KR200224330 Y1 KR 200224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ube
fastener
length
diame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1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수
Original Assignee
권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수 filed Critical 권기수
Priority to KR20200000311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3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330Y1/ko

Link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청소용구의 손잡이를 구성하는 손잡이용 관체나 조립식 가구용 관체에서 대,소경 관체로 구성하고 서로 결합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대,소경 관체의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결합부(6)와 돌환부(5)가 형성된 연결구(4)에 볼트공(7)을 편심되게 구성하고 요철부(2)가 형성된 고정구(1)를 마련하여 구멍(3)을 편심되게 형성하며, 고정구(1)를 연결구(4)에 축볼트(8)로 결합하되 고정구(1)가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하였다.
상기의 고정구(1)에 형성된 구멍(3)은 연결구(4)에 편심으로 형성된 볼트공(7)과 같은 위치에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돌환부가 형성된 연결구에 요철부가 고정구를 편심되게 볼트로 결합하여 소경관체에 고정하고 대경관체를 끼워서 대경관체를 돌려주면 고정구가 축볼트를 중심으로 편심으로 회전하면서 연결구의 돌환부와 고정구가 대경관체의 내면에 밀착되는 작용으로 소경관체와 대경관체를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할 때 간편함은 물론이고, 고정상태가 견고하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저렴하게 생산공급할 수 있으며, 대,소경 관체로 구성되고 길이를 조절해야 하는 모든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익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대·소경 관체의 길이조절장치{A length regulator of great and small sizes pipe}
본 고안은 각종 청소용구의 손잡이를 구성하는 손잡이용 관체나 조립식 가구용 관체에서 대,소경 관체로 구성하여 서로 결합하고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대,소경 관체의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청소용구 손잡이용 관체나 조립식 가구용 관체를 대,소경 관체로 구성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 있다.
상기와 같이 대,소경 관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살펴보면, 대경관체의 선부에 절개부가 형성된 분할형 수나사관과 암나사관으로 구성된 고정구를 결합하여 대경관체에 끼워지는 소경관체를 협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사용할 때 분할형 숫나사관에 나사결합된 암나사관을 수회 돌려서 숫나사관이 소경관체을 협지하여 고정하거나 이완시켜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번거롭고 또 협지력이 약한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실용신안 공개번호 1997- 0060639호의 구성을 살펴보면 캠이 형성된 돌출보스를 고정봉에 고정하고 캠부분에 제1살과 제2살로 구성된 가동편을 결합하고 또 가동봉을 결합하여 고정봉과 가동봉을 역방향으로 돌이면 고정봉에 고정된 돌출보스와 캠이 회전하면서 제1살과 제2살을 벌려서 가동봉에 밀착되거나 이완시켜 고정봉과 가동봉을 고정하거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은 사용할 때 간편한 장점은 있으나 돌출보스와 캠의 구성 및 제1살, 제2살로 구성되는 가동편이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생산 및 조립에 따른 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고 또한 사용할 때 캠보스와 가동편이 따라 돌기 때문에 고정 또는 길이조절기능이 잘되지 않고 또 가동편과 가동봉의 밀착력이 약해 사용중에 가동봉이 움직이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돌환부가 형성된 연결구에 요철부가 형성된 고정구를 편심되게 볼트로 설치하고 소경관체에 연결구를 고정하며, 여기에 대경관체를 끼워서 대경관체를 돌려주면 고정구가 축볼트를 중심으로 편심으로 회전하면서 연결구의 돌환부와 고정구가 벌어지면서 대경관체의 내면에 밀착되게 하여 소경관체와 대경관체를 고정되게 한 것으로 사용할 때 간편함은 물론이고, 고정상태가 견고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대, 소경 관체의 길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소기의 목적하는 바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설치된 대,소경 관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대,소경 관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대,소경 관체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대,소경 관체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의 (가),(나)는 도 6의 작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고정구
2 : 9 : 요철부
3 : 구멍
4 : 연결구
5 : 돌환부
6 : 결합부
7 : 볼트공
8 : 축볼트
10 : 요홈
본 고안의 대,소경 관체의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결합부(6)와 돌환부(5)가 형성된 연결구(4)에 볼트공(7)을 편심되게 구성하였고 요철부(2)가 형성된 고정구(1)를 마련하여 구멍(3)을 편심되게 형성하고, 고정구(1)를 연결구(4)에 축볼트(8)로 결합하되 고정구(1)가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하였다.
상기의 고정구(1)에 형성된 구멍(3)은 연결구(4)에 편심으로 형성된 볼트공(7)과 같은 위치에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의 연결구(4)에 또 다른 구성으로 결합부(6)와 돌환부(5)에 요철부(9)를 형성하고 고정구(1)의 상측에 요홈(10)을 형성하여 고정구의 무게가 아랫쪽으로 쏠리게 하였고, 고정구(1)의 또 다른 구성으로 마찰력이 있는 고무재질로 형성하였다.
도면의 미 설명부호 20은 대경관체, 21은 소경관체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대,소경 관체의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구(4)를 구성하는 결합부(6)를 소경관체(21)에 끼워 돌환부(5)가 노출되도록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소경관체(21)에 대경관체(20)를 끼워주는데 대경관체(20)의 내경은 소경관체(21)의 외경보다 약간 큰 것이 적합하며, 고정구(1)와 연결구(4)의 결합부(6)의 외경이 맞도록 중심을 맞추어야만 소경관체(21)에 대경관체(20)가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동 상태에서는 고정구(1)가 축볼트(8)를 중심으로 시계의 진동자와 같이 대경관체(20)의 내부에서 좌우측으로 약간씩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소경관체(21)와 대경관체(20)를 잡고 서로 다른방향으로 돌려주면 고정구(1)의 요철부(2)가 대경관체(20)의 내면 일측에 밀착되면서 약간 따라 움직인다.
상기의 작용으로 고정구(1)와 연결구(4)의 돌환부(5)가 축볼트(8)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쪽으로 벌어지면서 연결구(4)의 돌환부(5)와 고정구(1)의 요철부(2)가 대경관체(20)의 내면에 밀착되므로 소경관체(21)와 대경관체(20)가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대경관체(20)와 소경관체(21)가 고정된 상태에서 길이를 조절하고자할 때에는 상기의 고정할 때와 반대방향으로 대경관체(20)와 소경관체(21)를 돌려주면 고정구(1)와 연결구(4)의 돌환부(5)가 같이 축볼트(8)를 중심으로 서로 복귀하면서 오므려지기 때문에 대경관체(20)의 내면에 대한 밀착력이 없어지고 대경관체(20)속으로 소경관체(21)가 자유롭게 들어가므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에서 연결구(4)의 결합부(6)와 돌환부(5)에 요철부(9)를 형성하므로서 결합부(6)의 요철부(9)의 작용으로 소경관체(21)에 마찰력을 증대시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또 돌환부(5)에 형성된 요철부(9)의 작용으로 대경관체(20)의 내면에 밀착력을 높일 수 있으며, 고정구(1)에 형성된 요홈(10)의 작용으로 고정구의 무게 중심이 아랫쪽으로 쏠리게 하여 대경관체(20)를 고정시키는 작용을 할 때를 재외하고는 가급적 돌환부(5)와 같은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길이를 조절할 때 편리하게 하였다.
또한 고정구(1)의 재질을 고무로 형성하므로서 고무의 마찰력으로 대경관체(20)의 내면에 밀착시켜 소경관체와 대경관체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돌환부가 형성된 연결구에 요철부가 고정구를 편심되게 볼트로 설치하여 소경관체에 설치하고 대경관체를 끼워서 대경관체을 돌려주면 고정구가 축볼트를 중심으로 편심으로 회전하면서 연결구의 돌환부와 고정구가 대경관체에 밀착되는 작용으로 소경관체와 대경관체를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할 때 간편함은 물론이고, 고정상태가 견고하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저렴하게 생산공급할 수 있으며, 뿐만아니라 대,소경관체로 구성되고 길이를 조절해야하는 모든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익한 고안이다

Claims (4)

  1. 결합부(6)와 돌환부(5)가 형성된 연결구(4)와 요철부(2)가 형성된 고정구(1)를 마련하고 연결구(4)에 볼트공(7)과 고정구(1)에 구멍(3)을 편심되게 형성하여 축볼트(8)로 고정구(1)가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 소경관체의 길이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연결구(4)를 구성하는 결합부(6)와 돌환부(5)에 요철부(9)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 소경 관체의 길이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고정구(1)를 마찰력이 강한 고무재질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 소경 관체의 길이조절장치.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고정구(1)의 상측에 요홈(1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 소경 관체의 길이조절장치.
KR2020000031168U 2000-11-08 2000-11-08 대·소경 관체의 길이조절장치 KR200224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168U KR200224330Y1 (ko) 2000-11-08 2000-11-08 대·소경 관체의 길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168U KR200224330Y1 (ko) 2000-11-08 2000-11-08 대·소경 관체의 길이조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938A Division KR100390068B1 (ko) 2000-11-07 2000-11-07 대,소경 관체의 길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330Y1 true KR200224330Y1 (ko) 2001-05-15

Family

ID=73080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168U KR200224330Y1 (ko) 2000-11-08 2000-11-08 대·소경 관체의 길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3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23089A (en) Adjustable pivotal connection mechanism with locking means
JP2005512673A5 (ko)
CA3124154C (en) Telescopic shower
US8434963B2 (en) Display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MXPA06004548A (es) Junta de tuberia.
FR2871125B1 (fr) Dispositif de blocage de direction entraine par moteur
KR200224330Y1 (ko) 대·소경 관체의 길이조절장치
KR100390068B1 (ko) 대,소경 관체의 길이조절장치
JP2008518127A (ja) 衛生設備用の排水サイフォン及び対応する設置方法
KR200293639Y1 (ko) 다용도 지지봉의 받침구
FI20030559A0 (fi) Teleskooppivarsi
KR200293640Y1 (ko) 다용도 지지봉의 길이조절장치
FR2580183A1 (fr) Dispositif de prise demontable et reglable pour mur d'escalade artificielle
KR200365744Y1 (ko) 다용도 지주봉의 길이조절장치
KR890002513Y1 (ko) 관 고정구
CN210342107U (zh) 一种杆体固定装置
JPH093993A (ja) 水栓取付具
KR910008120Y1 (ko) 관연결구의 고정장치
CN2713274Y (zh) 可旋转使用的壁式淋浴接头
JPH0340357U (ko)
JP2005282102A (ja) シャワーパイプの支持構造
KR200321504Y1 (ko) 호스 고정구
KR200247246Y1 (ko) 드릴척
KR200325358Y1 (ko) 옷걸이용 행거의 봉체 길이 조절구조
KR200259557Y1 (ko) 흡착식 욕실용 액세서리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