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639Y1 - 다용도 지지봉의 받침구 - Google Patents

다용도 지지봉의 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639Y1
KR200293639Y1 KR2020020021763U KR20020021763U KR200293639Y1 KR 200293639 Y1 KR200293639 Y1 KR 200293639Y1 KR 2020020021763 U KR2020020021763 U KR 2020020021763U KR 20020021763 U KR20020021763 U KR 20020021763U KR 200293639 Y1 KR200293639 Y1 KR 2002936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pport rod
contact plate
flang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재
Original Assignee
정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재 filed Critical 정광재
Priority to KR2020020021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6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639Y1/ko

Link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실 또는 거실에 커텐을 설치하거나 옷걸이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다용도 지지봉의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다용도 지지봉을 벽체에 설치 또는 해체할 때 원활하고 조립할 때 간편하도록 다용도 지지봉의 끝단부에 결합된 받침구를 개량한 것이다.
다용도 지지봉(1)을 구성하는 대,소경관체(2)(3)에 있어서, 소경관체(3)의 끝단부 내면에 돌기(3')를 형성하고 수나사봉(4)에는 돌기(3')가 끼움되도록 홈(4')을 형성하여 서로 끼워서 고정하였으며, 상기 수나사봉(4)에 결합되는 받침구(5)는 본체(6)와 플랜지(7) 및 밀착판(8)을 각각 형성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본체(6)의 내면에 한 줄로 암나사(6')를 형성하여 수나사봉(4)과 나사결합하며 또, 본체(6)의 단부에 라운드면(9)을 갖는 걸림턱(10)을 형성하고 플랜지(7)에 걸림턱(11)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6)와 서로 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플랜지(7)의 외부에는 밀착판수용홈(12)과 중앙에 구멍(13)을 형성하고 또, 밀착판(8)에는 외주연에 단턱(8')과 중앙에 걸림턱(14')이 형성된 돌출부(14)를 형성하여 걸림턱(14')이 형성된 돌출부(14)를 밀착판수용홈(12)에 형성된 구멍(13)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수나사봉에 홈에 형성하고 또, 받침구를 구성하는 본체의 내면에 암나사를 한 줄만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조립할 때 간편하고 특히 받침구의 본체와 플랜지 및 밀착판을 각각 회전할 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다용도 지지봉을 벽체에 밀착/고정하기 위하여 소경관체를 회전시킬 때 밀착판은 벽체에서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다용도 지지봉을 최초의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지지봉의 받침구{A support tool of many purposes stay bar}
본 고안은 욕실 또는 거실에 커텐을 설치하거나 옷걸이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다용도 지지봉의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다용도 지지봉을 벽체에 설치하거나 해체할 때 원활하고 또, 조립할 때 간편하도록 다용도 지지봉의 끝단부에 결합된 받침구를 개량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용도 지지봉은 욕실 또는 거실에 커텐을 설치하거나 옷걸이봉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대,소경의 관체를 서로 결합하여 길이를 가변/고정할 수 있게 구성시켜 벽체사이의 공간에 설치하는 것이다.
종래 상기와 같은 다용도 지지봉을 벽체에 밀착/고정할 때 벽체를 손상시키지 않고 또, 밀착력을 증대시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다용도 지지봉의 끝단부에 받침구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다용도 지지봉의 끝단부에 결합된 받침구는 다용도 지지봉을 구성하는 관체에 결합하기 위하여 관체(50)에 수나사봉(51)을 결합하고 받침구(52)의 본체(53) 내면에는 암나사(54)를 형성하여 결합하였는데 수나사봉(51)을 관체(50)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펀칭을 하였고 또, 본체(53)의 내면에 암나사(54)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암나사와 수나사가 서로 회전할 때 마찰력이 증가하는 단점과 사출할 때 재료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본체(53)와 플랜지(5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55)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된 밀착판(56)이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받침구(52)의 구성부분에서는 공회전이 불가능하였다.
상기와 같이 받침구(52)의 구성부분에서 공회전이 되지 않으면 다용도 지지봉을 백체에 밀착/고정하기 위하여 다용도 지지봉을 구성하는 관체를 돌리는 고정에서 받침구가 관체와 같이 돌아가는 현상이 생기게 된다.
그러면 받침구가 관체와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처음에 설치하고자하는 위치에서 받침구가 이동하게 되므로 받침구를 원하는 위치에 밀착/고정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고,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다용도 지지봉을 벽체 사이에 바르게 설치하지 못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커텐이나 옥걸이봉이 비틀어져 외관적으로 균형이 맞지 않고 설치한 상태도 견고하지 않아 사용중에 다용도 지지봉이 벽체로부터 빠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관체의 내부에 돌기를 형성하고 수나사봉에 홈을 형성하여 간편하게 조립/고정하고 또, 받침구의 내면에 암나사를 한 줄만을 형성하여 수나사봉에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받침구의 본체와 플랜지 및 밀착판을 각각 회전할 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다용도 지지봉을 벽체에 밀착/고정하기 위하여 관체를 회전시킬 때 받침구를 구성하는 밀착판 및 플랜지가 공회전되도록 하여 다용도 지지봉을 정확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소기의 목적하는 바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분해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종래 제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다용도 지지봉
2: 대경관체
3: 소경관체
4: 수나사봉
5: 받침구
6: 본체
7: 플랜지
8: 밀착판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지지봉의 받침구에 관한 바람직한 구성을 이하 부수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용도 지지봉(1)을 구성하는 대, 소경관체(2)(3)에 있어서, 소경관체(3)의 끝단부 내면에 돌기(3')를 형성하고 수나사봉(4)에는 돌기(3')가 끼움되도록 홈(4')을 형성하여 서로 끼워서 고정하였으며, 상기 수나사봉(4)에 결합되는 받침구(5)는 본체(6)와 플랜지(7) 및 밀착판(8)을 각각 형성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본체(6)의 내면에 한 줄로 암나사(6')를 형성하여 수나사봉(4)과 나사결합하며 또, 본체(6)의 단부에 라운드면(9)을 갖는 걸림턱(10)을 형성하고 플랜지(7)에 걸림턱(11)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6)와 서로 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플랜지(7)의 외부에는 밀착판수용홈(12)과 중앙에 구멍(13)을 형성하고 또, 밀착판(8)에는 외주연에 단턱(8')과 중앙에 걸림턱(14')이 형성된 돌출부(14)를 형성하여 걸림턱(14')이 형성된 돌출부(14)를 밀착판수용홈(12)에 형성된 구멍(13)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하여 구성된 것이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30은 백체, 31은 커텐, 32는 편심캠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용도 지지봉의 받침구에 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용도 지지봉(1)을 이용하여 커텐(31)을 설치할 때 또는 옷걸이봉으로 사용할 때 벽체(30)사이에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용도 지지봉(1)을 설치할 때 벽체(30)에 밀착되는 받침구(5)에 관한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벽체(30)사이에 소정의 위치에 다용도 지지봉(1)을횡단하여 소경관체(3)를 대경관체(2)로부터 빼내고 다용도 지지봉(1)의 양쪽 단부를 벽체(30)에 밀착시키면 받침구(5)가 벽체(30)에 밀착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대경관체(2)속으로 소경관체(3)가 밀려들어가지 않고 일정한 길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용도 지지봉(1)이 일정한 길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구성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편심캠(32)을 이용한 것으로서 대경관체(2)속에 결합된 소경관체(3)에 설치되어 있으며, 소경관체(3)를 돌려주면 편심캠(32)이 편심되면서 대경관체(2)의 내벽에 밀착되고, 그 밀착력으로 다용도 지지봉(1)의 길이가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용도 지지봉(1)을 일정한 길이로 고정하기 위하여 대경관체로부터 소경관체를 돌리면 받침구(5)를 구성하는 본체(6)가 소경관체(3)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6)가 소경관체(3)와 같이 회전시키면 본체(6)와 결합된 플랜지(7), 그리고 상기 플랜지(7)와 결합된 밀착판(8)이 각각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6)와 플랜지(7)사이 또는 플랜지(7)와 밀착판(8)사이에 공회전현상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받침구를 구성하는 밀착판(8)이 벽체(30)에 밀착된 상태에서 소경관체(3) 및 본체(6)가 회전하는 것에 영향을 받지 않고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수나사봉에 홈에 형성하고 또, 받침구를 구성하는 본체의 내면에 암나사를 한 줄만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조립할 때 간편하고 특히 받침구의 본체와 플랜지 및 밀착판을 각각 회전할 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다용도 지지봉을 벽체에 밀착/고정하기 위하여 소경관체를 회전시킬 때 밀착판은 벽체에서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다용도 지지봉을 최초의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다용도 지지봉(1)을 구성하는 대,소경관체(2)(3)에 있어서, 소경관체(3)의 끝단부 내면에 돌기(3')와 수나사봉(4)에 홈(4')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하고, 상기 수나사봉(4)에 결합되는 받침구(5)의 본체(6)의 내면에 한 줄로 암나사(6')를 형성하여 수나사봉(4)과 나사결합하며,
    본체(6)의 단부에 라운드면(9)을 갖는 걸림턱(10)을 형성하고 플랜지(7)에 걸림턱(11)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6)와 서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하며,
    플랜지(7)의 외부에는 밀착판수용홈(12)과 중앙에 구멍(13)을 형성하고 또, 밀착판(8)에는 외주연에 단턱(8')과 중앙에 걸림턱(14')이 형성된 돌출부(14)를 형성하여 걸림턱(14')이 형성된 돌출부(14)를 밀착판수용홈(12)에 형성된 구멍(13)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지지봉의 밤침구.
KR2020020021763U 2002-07-22 2002-07-22 다용도 지지봉의 받침구 KR2002936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763U KR200293639Y1 (ko) 2002-07-22 2002-07-22 다용도 지지봉의 받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763U KR200293639Y1 (ko) 2002-07-22 2002-07-22 다용도 지지봉의 받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639Y1 true KR200293639Y1 (ko) 2002-10-31

Family

ID=73077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763U KR200293639Y1 (ko) 2002-07-22 2002-07-22 다용도 지지봉의 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6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247U (ko) * 2017-07-19 2019-01-29 (주)에스엠코프 장난감 정리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247U (ko) * 2017-07-19 2019-01-29 (주)에스엠코프 장난감 정리대
KR200489602Y1 (ko) * 2017-07-19 2019-07-09 (주)에스엠코프 장난감 정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7534B2 (en) Shower curtain rod
EP2766533A1 (en) A connector system for structural framework
US20140197124A1 (en) Display Connector
US8434963B2 (en) Display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CA2538810A1 (en) A showerhead extension arm
JP2004036803A (ja) 連結ジョイント及び該連結ジョイントを使用したポール連結システム
KR200293639Y1 (ko) 다용도 지지봉의 받침구
CA2521715A1 (en) Hydraulic joint articulated device and use thereof with a heat radiator
KR20170003058A (ko) 결합이 용이한 가구조립용 체결구
KR200395074Y1 (ko) 씽크대 급수관의 샤워기 연결구조
CN210342107U (zh) 一种杆体固定装置
KR200363248Y1 (ko) 욕실용 코너선반
KR100390068B1 (ko) 대,소경 관체의 길이조절장치
KR200299183Y1 (ko) 회전과 각도 조절이 편리한 텔레비젼 걸이장치
CN220777932U (zh) 蚊帐支架的三通接头组件
JPH0738728Y2 (ja) 直交管体の連結装置
KR200208614Y1 (ko) 개량옷걸이
KR200405299Y1 (ko) 회전 체결구조를 갖는 봉 커튼용 지지봉
KR200232470Y1 (ko) 가구 패널용 결합구
KR200179534Y1 (ko) 나선형 연결관의 체결구
KR200291093Y1 (ko) 조립식 선반의 봉 연결구
KR200237567Y1 (ko) 가구용 걸이대 연결장치
KR200380107Y1 (ko) 문짝개폐용 하측힌지
KR200343831Y1 (ko) 코너선반
JP4523370B2 (ja) 手すり設置用の自在ブラ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708

Effective date: 2006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