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145Y1 - 물 튀김 방지용 매트 - Google Patents

물 튀김 방지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145Y1
KR200224145Y1 KR2020000031347U KR20000031347U KR200224145Y1 KR 200224145 Y1 KR200224145 Y1 KR 200224145Y1 KR 2020000031347 U KR2020000031347 U KR 2020000031347U KR 20000031347 U KR20000031347 U KR 20000031347U KR 200224145 Y1 KR200224145 Y1 KR 2002241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water
toilet
splashing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해
Original Assignee
조영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해 filed Critical 조영해
Priority to KR2020000031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1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145Y1/ko

Links

Landscapes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변시 물이 엉덩이 부위로 튀어오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매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물에 뜰수 있는 재질인 수지류로 재작된 얇은 매트의 형태로 용변을 물속으로 통과 시키되, 충격은 흡수하여 물이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한 물튀김 방지용 매트이다.
종래에는 용변시 오물이 튀어 오르는 것을 무시하거나, 그를 방지하게 위해서는 화장지를 뜯어 내어 좌변기 내의 수면 위에 깔고 용변을 보는 경우들이 있었다.
이에 후자의 경우 물을 내릴시 변기가 화장지에 의하여 막히는등 더 큰 문제점을 야기 시킬 소지가 있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내.외측의 매트에 다수의 절개부를 구성시켜 인체의 내용물은 매트를 통과 시키되, 충격을 흡수 하여 물이 튀는 것을 방지 시키고자 한 물튀김 방지용 매트이다.
이상의 매트에 의하여 용변자들은 좀더 편한 마음으로 용변을 볼 수 있게 되어 유용한 고안이라 하겠다.

Description

물 튀김 방지용 매트{Mat to prevent spattering dung-water}
본 고안은 용변시 물이 엉덩이 부위로 튀어오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매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물에 뜰수 있는 재질인 수지류로 재작된 얇은 매트의 형태로 용변을 물속으로 통과 시키되, 충격은 흡수하여 물이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한 물튀김 방지용 매트이다.
일반적으로 우리의 화장실 문화는 좌변기의 형태로 발달해 왔음은 누구나 인지하고 있다.
이러한 좌변기는 변기 내측에 용변을 수렴하기 위한 일정량의 물이 저장된다.
이 일정량의 물은 우리가 용변시 용변으로 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최소화 하기 위한 배려이다.
따라서 용변후에 물을 내려도 항상 그 만큼의 물은 새로 받아져 저장되어 진다.
이것은 공지의 좌변기의 유익한 효과이고, 이에 반하여 부작용으로 약간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즉 용변(특히 대변시)을 볼때 항문을 통해 배출되는 똥(이하 '인체의 내용물'로 칭한다)이 떨어져 물속으로 들어갈때 그 충격으로 인하여 물을 튀기게 된다.
이렇게 튀겨져 올라온 똥물(이하 '오물'로 칭한다)은 좌변기 위에 얹혀진 엉덩이 부위를 더럽혀 용변자에게 불쾌감을 줄 소지가 있어 왔다.
따라서 이러한 오물이 튀어오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부의 용변자들은 좌변기내의 수면 위에 일정량의 휴지를 띄워 놓고 용변을 보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화장실의 변기가 막힐 소지를 가지고 있어서, 더 큰 문제를 낳을 가능성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좌변기 내의 수면위에 대변을 통과 시킬 수 있는 매트를 깔아 용변시 오물이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고자 함이 기술적 과제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모습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모습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3는 고리가 구성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고정구가 구성된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 5은 본 고안의 구성중 지지부의 형상들을 도시한 측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상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본 고안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용변을 볼때 좌변기 내에서 튀어 오르는 오물을 방지시켜 쾌적하게 일을 볼 수 있도록 한 다음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 진다.
물에 뜨는 재질(수지류등)로 곡선형의 외주면을 가진 일체형의 매트(50)는;
매트는 지지부(20)에 의해 구획되며 부력을 위한 작은 공기주머니(3)를 구성한 안쪽에 내측매트(10), 바깥쪽에 외측매트(30)로 나누어 지되;
상기의 내측매트(10)에는 정중앙에 큰공(11)을 구성시키고, 그 외각에 다수의 펀칭공(12)을 뚫어 큰공(11)과 펀칭공(12) 사이를 가르는 같은 수의 절개부(13)를 구성시키고;
또한 상기의 외측매트(30)에는 다수의 펀칭공(32)을 구성시키고, 이 펀칭공(32)에서 매트의 외주면까지 자르는 같은 수의 절개부(33)를 구성하여 내.외측매트(30)로 인체의 내용물(1')등이 잘 빠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더우기 상기의 지지부(20)는 철재나 단단한 수지류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제작하되 물을 내릴시 본 매트(50)가 물에 씻겨 내려가지 않도록 배려된 구성이다.
이하 본 고안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에서 저면을 그린 사시도로, 본 고안의 매트(50)는 원형이나, 타원형등의 곡면으로 구성된 외주면을 가지고 있다.
이 매트를 우리는 좌변기(1) 속의 물위에 지지부(20)가 아래로 향하도록(도 4의 형태) 띄워 놓는다.
이러한 매트(50)는 도 4의 단면도에서 보이듯, 편의 형태로된 철심(21)이나 단단한 수지류로 제작된 지지부(20)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시킬 수 있다.
이 지지부(20)로 인해서 안쪽과 바깥쪽으로 구획되어 각각 내측매트(10)와 외측매트(30)로 이루어 진다.
외측매트(30)에는 매트(50)의 외주면 내측으로 동일한 곡면을 이루게 다수의 펀칭공(32)이 구성된다.
이 펀칭공(32)에서부터 매트(50)의 외주면까지 잘라내어 절개부(33)를 구성시킨다.
이러한 구성은 용변자가 용변을 볼때 인체의 내용물(1')이 이 외측매트(30)로 떨어진다면 조밀하게 절개된 부위가 꺽여 인체의 내용물(1')은 좌변기(1)내의 물속으로 떨어트리되 물이 튀어 오르는 현상은 방지 시키게 된다.
또한 내측매트(10)에 구성된 큰공(11)과 펀칭공(12)을 절단한 절개부(13)의 구성도 인체의 내용물(1')이 떨어질 경우에 전술한 외측매트(30)와 같은 작용을 한다.
이러한 내.외측매트에는 각각 도 1,2에 도시된 듯이 공기주머니(3)들이 구성된다.
이러한 공기주머니는 인체의 내용물이 매트위로 떨어져 매트가 절곡되어 물밑으로 가라앉을 때 다시 떠오르기 쉽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외측매트를 없엔 물튀김 방지용 매트도 예정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요즈음 많은 시판이 되고 있는 좌변기(1)의 형태에 맞춘 구성이다.
즉, 좌변기(1) 내의 일정량의 물을 물절약 차원으로 종전의 좌변기보다 현저히 적게 담도록 구성된 좌변기들이 시판되고 있기에 이를 고려한 구성이다.
또한 이들을 구획한 지지부(20)는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게 되는데, 이유는 용변후 물을 내리게 되면 매트(50)가 물에 씻겨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4는 본 출원인이 의도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그 외로 의도 되어진 실시예들은 도 5(a),(b)를 통에서 보면 잘 나타나 있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형태로 본 고안의 지지부(20)는 그 단면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 지지부(20)에 넣어지는 심부(21)는 철이나 수지류가 선택적으로 구성되어 쓸려 내려감을 방지한다.
또한 심부(21)를 넣어 매트가 좌변기(1) 내의 일정량의 물(40) 즉, 수면 약간 아래로 가라 앉도록 유지시켜 물튀김을 방지하기에는 더 큰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이상의 철심(21)과 더불어 물에 쓸려 내려감을 방지하는 구성은 도 3,4에 구성된 고정구(5)이다.
이 고정구(5)는 끈(4)을 이용하여 매트의 지지부(20)에 묶여져 구성되며, 도6에 도시된 사용상태도에서 처럼 좌변기 뚜껑의 힌지부위에 걸어서 사용한다.
이 고정구(5)는 도시된 도 4 에서 처럼 고리의 형태도 흡착판에 의한 형태도 동일 목적을 달성한다.
이 고정구(5)의 구성에 의해 매트가 쓸려 내려 갈수 있는 경우를 거의 예방시킨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작동상황을 전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좌변기(1) 내에는 항상 일정량의 물(40)이 항상 저장되어 있다.
이 위에 본 고안인 물튀김 방지매트(50)를 띄워 놓는다.
그 띄우는 방식은 돌출된 지지부(20)가 아래로 향하여 물속으로 잠기게 띄우는 것이 좋다.
좌변기(1)에 걸터 앉은 자가 용변을 보게되면 인체의 내용물(1')은 매트(50)위로 떨어지게 된다.
그 떨어지는 부분은 예측이 불가능 하지만 외측매트(30)와 내측매트(10) 위로 떨어진 인체의 내용물(1')은 절개부(13,33)를 통하여 물속으로 가라 앉게 된다.
이때 절개부(13,33)는 꺽여져 물속으로 가라 앉았다가 그 재질이 물에 뜨는 재질이고 구성된 공기주머니(3)의 부력에 의하여 다시 상승하게 된다.
물론 본 고안의 목적에 따라 이 매트는 물튀김을 방지 시키고 있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편의 형태인 철심을 넣은 지지부나 단단한 수지류로 만들어진 지지부(20)에 떨어지게 될 소량의 인체의 내용물(1')은 좌변기(1)의 물을 내릴시 가라 앉은 인체의 내용물(1')과 함께 물에 씻겨 내려갈 것이다.
또한 상기의 지지부(20)는 이렇게 물을 내릴시 본 고안인 매트(50)가 물에 쓸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이 지지부(20)는 좌변기 내측의 물이 내려가는 관의 지름보다 더 넓게 구성되어 매트(50)가 쓸려 내려 가는 것을 막는다.
이것을 돕는 또 하나의 구성이 고정구(5)이다.
끈(4)에 의해 지지부에 결합된 고정구(5)를 좌변기 뚜껑의 힌지에 걸어 두거나, 흡착판을 변기의 본체에 붙여 놓아 쓸려 내려감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매트의 사용에 따라 용변자는 보다 편하게 용변을 볼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은 그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도 저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더우기 본 고안은 일회용이 아니고, 어느 정도의 일정기간 계속해서 청결함을 유지하며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용변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매트(50)는;
    매트는 물속에 잠기는 지지부(20)에 의해 구획되며 부력을 위한 작은 공기주머니(3)를 구성한 안쪽에 내측매트(10), 바깥쪽에 외측매트(30)로 나누어 지되;
    상기의 내측매트(10)에는 정중앙에 큰공(11)을 구성시키고, 그 외각에 다수의 펀칭공(12)을 뚫어 큰공(11)과 펀칭공(12) 사이를 가르는 같은 수의 절개부(13)를 구성시키고;
    또한 상기의 외측매트(30)에는 다수의 펀칭공(32)을 구성시키고, 이 펀칭공(32)에서 매트의 외주면까지 자르는 같은 수의 절개부(33)를 구성하여 내.외측매트(30)로 인체의 내용물(1')등이 잘 빠질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튀김 방지용 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튀김 방지용 매트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중 외측매트를 제거하여 소량의 물을 구성하는 형태의 좌변기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튀김 방지용 매트.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의 지지부(20) 내측에는 심부(21)를 넣되 철재나 수지류로 선택적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 튀김 방지용 매트.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의 지지부(20)에 끈(4)연결하고 이 끈(4)의 끝단에 고정구(5)를 구성하여 좌변기 뚜껑의 힌지에 걸어두거나, 흡착판을 좌변기의 몸체에 붙여 두어 쓸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시킴에 그 특징이 있는 물 김 방지용 매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의 심부(21) 단면의 형태가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등으로 선택적으로 구성시켜 물을 내릴시 본 매트(50)가 물에 씻겨 내려가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 튀김 방지용 매트.
KR2020000031347U 2000-11-09 2000-11-09 물 튀김 방지용 매트 KR2002241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347U KR200224145Y1 (ko) 2000-11-09 2000-11-09 물 튀김 방지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347U KR200224145Y1 (ko) 2000-11-09 2000-11-09 물 튀김 방지용 매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441A Division KR100376186B1 (ko) 2000-11-09 2000-11-09 물 튀김 방지용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145Y1 true KR200224145Y1 (ko) 2001-05-15

Family

ID=73060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347U KR200224145Y1 (ko) 2000-11-09 2000-11-09 물 튀김 방지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14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10176T3 (es) Inodoro al estilo occidental.
US5636391A (en) Baby bidet for cleaning a baby
KR100376186B1 (ko) 물 튀김 방지용 매트
KR200224145Y1 (ko) 물 튀김 방지용 매트
US7418744B2 (en) Noise reducing float for toilet bowl
US11519164B1 (en) Urinal screen formed with fold lines
JP7289631B2 (ja) 便器シート
JP2007070995A (ja) リップ付き洋風大便器
KR20190002981U (ko) 탈부착이 가능한 소변 튐 방지 기구가 마련된 양변기
JP2005344495A (ja) 便器用浮遊球体
JP2005282048A (ja) 便器
KR920005987Y1 (ko) 양변기의 잔류수튐 방지구
CN218713674U (zh) 便器用防溅装置及防溅便器
CN219175410U (zh) 高效冲洗防粘防溅蹲便器
CN216130300U (zh) 一种便池防溅水浮卫生球
JPH08199653A (ja) 洋式水洗便器の水はね防止物
JP3424802B2 (ja) 携帯用便器
JP2005248594A (ja) 洋式水洗便器用跳ね水防止具
KR920006042Y1 (ko) 변기세척제 용기 캡
JP2006063549A (ja) 水跳ねを防止する浮き球体水跳ね防止器
JPH0913466A (ja) 水洗便器の水滴跳ね上がり防止方法とそれに用いる浮体および水洗便器
JP3135609U (ja) 排水口用網
GB2316419A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water from splashing in a toilet bowl
JPH0860725A (ja) 洋式水洗便器の水はね防止物
KR200243324Y1 (ko) 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