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117Y1 - 트윈타입테일게이트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트윈타입테일게이트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117Y1
KR200224117Y1 KR2019970034903U KR19970034903U KR200224117Y1 KR 200224117 Y1 KR200224117 Y1 KR 200224117Y1 KR 2019970034903 U KR2019970034903 U KR 2019970034903U KR 19970034903 U KR19970034903 U KR 19970034903U KR 200224117 Y1 KR200224117 Y1 KR 200224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vehicle
twin
gates
tail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1406U (ko
Inventor
천우진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70034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117Y1/ko
Publication of KR199900214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4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1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meshing gear wheels, one of which being mounted at the wing pivot axis; operated by a motor acting directly on the wing pivot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트윈타입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일게이트가 풀오픈되도록 하여 화물의 적재 및 하적이 용이하며, 간단한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한 트윈타입 테일게이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트윈타입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는, 차량 후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두 개의 게이트가 마련된 트윈타입 테일게이트에 있어서,
상기 양 게이트를 개구부와 이격 또는 밀착하도록 차량 전,후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시키는 게이트 이격수단이 개구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테일게이트가 이격된 상태와 차체 후측부 사이를 힌지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격수단을 힌지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이 상기 이격수단과 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윈타입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TAIL GATE OPENING DEVICE OF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의 트윈타입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일게이트가 풀오픈되도록 하여 화물의 적재 및 하적이 용이하며, 간단한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한 트윈타입 테일게이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장차 등의 화물차량의 테일게이트는 2개의 여닫이문으로 된 트윈타입(TWIN TYPE)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트윈타입의 테일게이트는 각각 차량 보디의 양측에서 힌지설치되어 고정되고, 화물의 적재 및 하적시에는 상기 양 테일게이트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여닫이방식으로 개폐된다.
또한 이러한 테일게이트는 사람이 직접 수동으로 조작하여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윈게이트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차량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트윈게이트인 양 게이트(1)(1')가 보디에 각각 힌지부(2)(2')에 의해 여닫이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양 게이트(1)(1')를 통해 화물을 적재 및 하적시에는 사람이 직접 상기 양 게이트(1)(1')를 열고 닫게 되는 데, 열게 될 경우에는 차량의 힌지부구조에 따라 양 게이트(1)(1')가 힌지부(2)(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적재함 입구와 수직상태를 이루거나, 또는 적재함 입구와 나란한 수평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적재함에 화물을 싣거나 적재함으로 부터 화물을 내릴 경우에는 상기 적재함 입구와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열려 있는 양 게이트(1)(1')에 의해 작업상 많은 지장을 받게 된다.
즉, 작업자나 화물이 상기 적재함 입구와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열려 있는 양 게이트(1)(1')에 부딛히게 되거나 상기 상태의 게이트를 돌아가야 하는 등으로 작업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상기 상태의 게이트에 화물이나 사람이 부딪히게 되어 화물이 손상을 입게 되거나 사람이 다치게 되며, 나아가 게이트에도 수명단축요인을 제공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트윈타입의 테일게이트가 풀오픈되도록 하여 화물의 적재 및 하적이 용이하며, 간단한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트윈타입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트윈타입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는, 트윈타입의 게이트인 양 게이트를 각각 고정 설치시키는 유압피스톤과, 상기 피스톤 자체를 회전시키도록 피스톤 후단에 일체로 축설되는 회전기어와, 상기 축설된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기어와 치합되는 연동기어 및 상기 연동기어와 연결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테일게이트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차량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차량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차량 테일게이트부의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4는 피스톤의 작동시 게이트의 이동을 나타내는 차량의 평면도,
도 5는 구동모터의 작동시 게이트의 이동을 나타내는 차량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0,10': 게이트 2,2': 힌지부
20,20': 피스톤 21,21': 로드
22,22': 회전기어 23,23': 연동기어
24,24': 모터축 25,25': 구동모터
11,11': 가이드홈 12,12': 레일
20a,20a': 롤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차량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차량 테일게이트부의 측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4는 피스톤의 작동시 게이트의 이동을 나타내는 차량의 평면도이며, 도 5는 구동모터의 작동시 게이트의 이동을 나타내는 차량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트윈타입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는, 차량의 후부 에서 양 측면으로 연결되는 가이드홈(11)(1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원호상의 레일(12)(12')이 형성된다.
또한 트윈타입의 게이트인 양 게이트(10)(10')를 각각 상하로 고정 설치시키도록 일측벽에 롤러(20a)(20a')가 설치되는 피스톤(20)(20')과, 그 로드(21)(21')와, 상기 피스톤 자체를 회전시키도록 후단에 일체로 고정되는 회전기어(22)(22')와, 상기 고정된 회전기어(22)(22')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기어와 치합되는 연동기어(23)(23')와, 모터축(24)(24')에 상기 연동기어를 연결시키는 구동모터(25)(25')가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의 로드는 신장되어 회전시 이에 설치된 게이트(10)(10')가 차량의 보디 모퉁이에 간섭되지 않는 길이를 지니게 하며, 상기 피스톤 및 구동모터는 차량의 유압펌프 및 차량의 밧데리에 연결되어 운전석 또는 테일게이트부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는 양 게이트 각각에 상,하로 대칭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적재함에 화물을 싣거나 적재함으로 부터 화물을 내리기 위해 양게이트(10)(10')를 열고자 할 경우에는, 조작부에서 먼저 피스톤(20)(20')을 작동시킨다.
피스톤을 작동시키게 되면 유압펌프(미도시)에 연결된 피스톤은 그 로드(21)(21')가 전방으로 신장되어지고, 상기 로드의 신장에 의해 이에 고정 설치된 양 게이트(10)(10')가 차량의 적재함 입구로 부터 이격되는 전진이동이 이루어진다.(도 4참조)
게이트(10)(10')가 소정길이로 전진이동하게 되면 피스톤의 작동은 멈추게 되고, 다음으로 조작부에서 구동모터(25)(25')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은 별도의 조작작업없이 피스톤의 작동이 완료된 후 바로 자동으로 연동되게 할 수도 있다.
구동모터가 작동되면 그 모터축의 회전에 따라 이에 연결된 연동기어(23)(23')가 회전하게 되고, 연동기어는 이에 치합된 회전기어(22)(22')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회전기어는 이에 고정된 피스톤(20)(20')을 회전시키게 된다.
피스톤이 회전하게 되면 이의 로드에 고정 설치되어 적재함 입구로 부터 소정길이로 이격되어 있는 양 게이트(10)(10')가 대향된 양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피스톤(20)(20')은 그 하부에 설치된 롤러(20a)가 차체에 설치된 레일(12)(12')을 따라 원활하게 지지 회전되고, 돌출된 피스톤의 몸체는 가이드홈(11)(11')을 통해 안내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양 게이트(10)(10')는 회전하여 차량 보디의 모퉁이를지나 차량 보디의 양 측면에 접해지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양 게이트(10)(10')의 상기 차량 양 사이드에 접하는 오픈상태에 의해 양 게이트(10)(10')는 차량 보디로 부터 돌출되지 않는 상태를 이루게 되어 화물의 적재나 하적시 상기 양 게이트(10)(10')에 장애를 받는 일이 없게 된다.
한편, 양 게이트의 오픈상태에서 화물의 적재 또는 하적작업이 완료되면 오픈된 양 게이트(10)(10')를 닫게 되는 데, 이 때에는 전기한 오픈동작의 역동작이 이루어진다.
먼저 조작부를 통해 구동모터(25)(25')를 작동시키게 되면, 그 모터축의 반대회전에 따라 이에 연결된 연동기어(23)(23')가 역회전하게 되고, 연동기어는 이에 치합된 회전기어(22)(22')를 역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회전기어의 역회전으로 이에 일체로 설치된 피스톤(20)(20') 역시 역회전하게 된다.
피스톤이 역회전하게 되면 이의 로드에 고정 설치되어 차량의 양 사이드에 접한 양 게이트(10)(10')가 적재함 입구로 역회전되어지고, 다음으로 피스톤의 작동이 개시되어진다.
피스톤(20)(20')을 작동시키게 되면 유압펌프(미도시)에 연결된 피스톤은 그 로드가 후방으로 수축되어지고, 상기 로드의 수축에 의해 이에 고정 설치된 양 게이트(10)(10')가 차량의 적재함 입구로 후퇴이동이 이루어져 마침내 오픈된 상태의 적재함 입구를 다시 닫혀지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트윈타입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는, 트윈타입의 게이트인 양 게이트를 각각 고정 설치시키는 유압피스톤과, 상기 피스톤 자체를 회전시키도록 피스톤 후단에 일체로 축설되는 회전기어와, 상기 축설된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기어와 치합되는 연동기어 및 상기 연동기어와 연결되는 구동모터로 이루진 구성에 의해, 양 테일게이트가 차량 보디에 돌출되지 않는 오픈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화물의 적재 또는 하적이 용이하게 되고, 화물이나 작업자나 테일게이트 자체에 손상을 입히지 않게 되어 안전성확보 및 테일게이트 자체의 수명연장이 이루어지며,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조작하는 불편함이 해소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3)

  1. 차량 후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두 개의 게이트가 마련된 트윈타입 테일게이트에 있어서,
    상기 양 게이트를 개구부와 이격 또는 밀착하도록 차량 전,후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시키는 게이트 이격수단이 개구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테일게이트가 이격된 상태와 차체 후측부 사이를 힌지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격수단을 힌지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이 상기 이격수단과 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타입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이격수단은 게이트와 연결된 로드를 왕복시키는 유압식 실린더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타입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유압식 실린더의 후측에 부착되는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와 치합되는 연동기어 및 연동기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타입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KR2019970034903U 1997-11-29 1997-11-29 트윈타입테일게이트개폐장치 KR200224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903U KR200224117Y1 (ko) 1997-11-29 1997-11-29 트윈타입테일게이트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903U KR200224117Y1 (ko) 1997-11-29 1997-11-29 트윈타입테일게이트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406U KR19990021406U (ko) 1999-06-25
KR200224117Y1 true KR200224117Y1 (ko) 2001-09-29

Family

ID=53897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903U KR200224117Y1 (ko) 1997-11-29 1997-11-29 트윈타입테일게이트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11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406U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1392B1 (en) Power operating apparatus for vehicle door
US6367864B2 (en) Vehicle having power operated liftgate
US6276744B1 (en) Roll-type door opener
US4627658A (en) Power-assisted semi-trailer truck body top cover
US6676190B2 (en) Headliner mounted power liftgate drive mechanism
US6921492B2 (en) Motor vehicle with a cargo space and cargo space door
US6830281B2 (en) Power tonneau cover actuator
EP1196676A1 (en) Vehicle liftgate power operating system
US6916058B2 (en) Lifting apparatus
US20040232722A1 (en) Midgate assembly including fixed window and crossbar
US3157429A (en) Vehicle body compartment closure operating mechanism
JPH1054172A (ja) ヒンジ装置
KR200224117Y1 (ko) 트윈타입테일게이트개폐장치
JP2001253241A (ja) 車両リフトゲートパワー作動システム
US6676196B1 (en) Dual-pivot hinge assembly for vehicles
US6089648A (en) Motor vehicle including a retractable closure panel
KR100494727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자동개폐장치
US6679186B2 (en) Motorized door-locking device of reduced size
KR100387892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와 카고스크린 연동구조
CN218430996U (zh) 一种后翻自卸车用新型自卸箱
GB2101680A (en) Power-driven lids for refuse skips
EP1195494A1 (en) Vehicle liftgate power operating system
KR200398892Y1 (ko) 화물탑 및 윙 바디 차량의 측면 도어 개폐장치
JPH0219314Y2 (ko)
KR100205905B1 (ko) 차량 루프의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