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668Y1 - 엑스-와이 테이블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엑스-와이 테이블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668Y1
KR200223668Y1 KR2020000032641U KR20000032641U KR200223668Y1 KR 200223668 Y1 KR200223668 Y1 KR 200223668Y1 KR 2020000032641 U KR2020000032641 U KR 2020000032641U KR 20000032641 U KR20000032641 U KR 20000032641U KR 200223668 Y1 KR200223668 Y1 KR 2002236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guide
blocking
movement
block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호
Original Assignee
이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호 filed Critical 이석호
Priority to KR2020000032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6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6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668Y1/ko

Links

Abstract

본고안은 X-Y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이스양측에 돌설된 삽입돌조로 양단의 삽입공을 결합시킨뒤 누름판에 의해 눌려지면서 체결스크류에 의해 베이스에 고정되어 베이스와 함께 이동되면서 안내통로를 차단하는 차단밸트를 로울러축을 기체에 결합하고 있는 다수개의 안내로울러에 결합시킴으로서 X-Y테이블을 이루고 있는 베이스의 직선 이동이 용이토록 기체에 형성되는 안내통로를 통해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X-Y 테이블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엑스-와이 테이블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X-Y TABLE}
본고안은 X-Y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이스양측에 돌설된 삽입돌조로 양단의 삽입공을 결합시킨뒤 누름판에 의해 눌려지면서 체결스크류에 의해 베이스에 고정되어 베이스와 함께 이동되면서 안내통로를 차단하는 차단밸트를 로울러축을 기체에 결합하고 있는 다수개의 안내로울러에 결합시킴으로서 X-Y테이블을 이루고 있는 베이스의 직선 이동이 용이토록 기체에 형성되는 안내통로를 통해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X-Y 테이블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X-Y 테이블은 도1에 나타낸 바와같이 서보모우터(1)와, 상기 서보모우터(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나사축(2)과, 상기 나사축(2)에 이동편(4)을 결합하여 나사축(2)이 회전되면 직선운동을 하는 베이스(3)로 구성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X-Y 테이블의 베이스(3)에는 다른 장치가 부착되어 직선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일반적인 X-Y 테이블은 베이스(3)가 직선운동을 하기 위해 형성되는 안내통로(10)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의 안내통로(10)를 통해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등이 침투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상기 안내통로(10)로 침투되는 먼지나 이물질등에 의해 베이스(3)의 정밀한 이동을 막게 되고 아울러 X-Y 테이블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결과를 초래 하였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종래의 기술 수단은 도1에 나타내었다.
즉, 상기 종래의 기술은 안내통로(10)를 덮을 수 있도록 차단판(7)을 구비하고 상기 차단판(7)의 양단부를 기체에 체결스크류(8)로 고정시켰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7)의 중심부는 베이스(3)에 형성되는 이송통로(6)를 통과시킨뒤 커버(5)에 의해 덮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단판(7)이 안내통로(10)에 밀착되면서 막을 수 있도록 안내통로(10)의 양측부에는 마그네트(9)를 안착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따른 작용효과는 먼저, 서보모우터(1)의 회전에 의해 나사축(2)이 회전되면 상기 나사축(2)에 결합되어 있는 이동편(4)과 베이스(3)그리고 커버(5)가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3)와 커버(5)사이의 이송통로(6)도 이송을 하면서 이송통로(6)내의 차단판(7)을 들고 이송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3)가 안내통로(10)를 지나가는 부위의 차단판(7)은 들려지게 되고 그렇지 않은 부위는 안내통로(10)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등이 안내통로(10)를 통해 침투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베이스(3)와 커버(5)사이의 이송통로(6)를 통해 들려지기 때문에 상당히 많은 마찰열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차단판(7)의 마모가 쉽게 되어 잦은 교환을 하여야 하고 소음이 발생되기 때문에 항상 윤활유를 쳐주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고안의 목적은,
X-Y테이블을 이루고 있는 베이스의 직선 이동이 용이토록 기체에 형성되는 안내통로를 통해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마찰을 최소화하여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고 별도의 윤활유를 쳐주지 않아도 원활한 운동을 반영구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안은,
베이스양측에 돌설된 삽입돌조로 양단의 삽입공을 결합시킨뒤 누름판에 의해 눌려지면서 체결스크류에 의해 베이스에 고정되어 베이스와 함께 이동되면서 안내통로를 차단하는 차단밸트를 로울러축을 기체에 결합하고 있는 다수개의 안내로울러에 결합시키면 본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 X-Y 테이블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나타낸 도면
도2은 본고안 X-Y 테이블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고안 도2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가 결합된 X-Y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4는 본고안 도2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가 결합된 X-Y 테이블의 작용을 나타낸 일부절결 평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베이스 102-삽입돌조
103-나사공 104-안내통로
105-삽입홈 106-우레탄시일
111-차단밸트 112-삽입공
113-통공 121-누름판
122-안내공 123-체결스크류
124-안내로울러 125-로울러축
131-조절편 132-체결공
133-조절스크류 141-기체
142-결합공 143-서보모우터
144-나사축 145-이동편
146-커버 147-이동실
본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X-Y테이블을 이루고 있는 베이스(101)의 직선 이동이 용이토록 기체(141)에 형성되는 안내통로(104)를 통해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101)양측에 돌설된 삽입돌조(102)로 양단의 삽입공(112)을 결합시킨뒤 누름판(121)에 의해 눌려지면서 체결스크류(123)에 의해 베이스(101)에 고정되어 베이스(101)와 함께 이동되면서 안내통로(104)를 차단하는 차단밸트(111)와,
상기 차단밸트(111)가 베이스(101)와 함께 이동시 팽팽한 긴장감을 가지면서 원활한 이동을 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단밸트(111)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로울러축(125)을 기체(141)에 결합하고 있는 다수개의 안내로울러(124)와,
상기 안내로울러(124)의 안내에 의해 이동되는 차단밸트(111)의 텐션을 최적으로 조절하여 주기 위해 일측의 안내로울러(124)에 설치되는 텐션조절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텐션조절수단은 안내로울러(124)의 로울러축(125)으로 양측부를 결합하고 있고 몸체를 기체(141)의 이동실(147)내부로 결합하고 있는 조절편(131)과,
상기 조절편(131)을 기체(141)의 이동실(147)내부에서 전,후진시키기 위해 기체(141)의 결합공(142)을 통해 조절편(131)의 체결공(132)으로 체결되는 다수개의 조절스크류(133)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베이스(101)의 이동과 함께 이동되는 차단밸트(111)와 커버(146)의 삽입홈(105)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을 줄여 보다 부드러운 차단밸트(111)의 이동을 얻기 위해 커버(146)의 삽입홈(105)으로 결합되는 우레탄시일(106)을 더 구비하였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고안의 X-Y테이블을 이루고 있는 베이스(101)에는 다른 장치가 부착되어 베이스(101)의 이동에 의해 직선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1)의 이동은 서보모우터(143)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서보모우터(143)의 구동에 의해 나사축(144)이 회전되면 나사축(144)에 결합된 이동편(145)이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편(145)과 일체로 형성된 베이스(101)도 기체(141)에 형성된 안내통로(104)내에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101)표면 양측으로 돌설된 삽입돌조(102)에는 차단밸트(111)양단에 형성된 삽입공(112)을 결합하고 있고 상기 차단밸트(111)의 양단부는 누름판(121)에 의해 압지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판(121)의 안내공(122)과 차단밸트(111)의 통공(113)그리고 베이스(101)의 나사공(103)으로 체결되는 체결스크류(123)에 의해 베이스(101)가 이동되면 차단밸트(111)도 이동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차단밸트(111)의 이동은 기체(141)에 로울러축(125)으로 회전용이토록 결합되어 있는 다수개의 안내로울러(124)들의 지지를 받으면서 이동되기 때문에 도4에 나타낸 바와같이 매우 부드러운 직선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차단밸트(111)의 양측부는 기체(141)상측부로 결합되는 커버(146)의 삽입홈(105)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들이 안내통로(104)를 통해 유입되는 일이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밸트(111)의 양측부가 이동되는 커버(146)의 삽입홈(105)에는 도5에 나타낸 바와같이 우레탄 시일(106)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열이 극소로 줄어들에 되어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마모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101)와 다수개의 안내로울러(124)들에 의해 지지되는 차단밸트(111)는 적정의 텐션을 유지하여야 보다 효과적인 이동 및 이물질의 차단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고안에서는 상기 차단밸트(111)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해 텐션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텐션조절수단은 한개소의 안내로울러(125)에 설치하면 민족스러운 결과를 얻게 된다.
즉, 도2 및 도3에 나타낸 바와같이 기체(141)의 결합공(142)으로 결합된 조절스크류(133)를 회전시키면 상기 조절스크류(133)의 나사부가 이동실(147)에 위치되어 있는 조절편(131)의 체결공(132)(나사공)과의 상호동작에 의해 조절편(131)을 이동실(147)내에서 전,후진 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편(131)의 양측부에 결합된 안내로울러(124)의 로울러축(125)도 전,후진을 시킬 수 있게 되므로 차단밸트(111)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차단밸트(111)가 항상 팽팽한 긴장력을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은, 베이스양측에 돌설된 삽입돌조로 양단의 삽입공을 결합시킨뒤 누름판에 의해 눌려지면서 체결스크류에 의해 베이스에 고정되어 베이스와 함께 이동되면서 안내통로를 차단하는 차단밸트를 로울러축을 기체에 결합하고 있는 다수개의 안내로울러에 결합시킴으로서, X-Y테이블을 이루고 있는 베이스의 직선 이동이 용이토록 기체에 형성되는 안내통로를 통해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마찰을 최소화하여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고 별도의 윤활유를 쳐주지 않아도 원활한 운동을 반영구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X-Y테이블을 이루고 있는 베이스(101)의 직선 이동이 용이토록 기체(141)에 형성되는 안내통로(104)를 통해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101)양측에 돌설된 삽입돌조(102)로 양단의 삽입공(112)을 결합시킨뒤 누름판(121)에 의해 눌려지면서 체결스크류(123)에 의해 베이스(101)에 고정되어 베이스(101)와 함께 이동되면서 안내통로(104)를 차단하는 차단밸트(111)와,
    상기 차단밸트(111)가 베이스(101)와 함께 이동시 팽팽한 긴장감을 가지면서 원활한 이동을 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단밸트(111)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로울러축(125)을 기체(141)에 결합하고 있는 다수개의 안내로울러(124)와,
    상기 안내로울러(124)의 안내에 의해 이동되는 차단밸트(111)의 텐션을 최적으로 조절하여 주기 위해 일측의 안내로울러(124)에 설치되는 텐션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Y 테이블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수단은 안내로울러(124)의 로울러축(125)으로 양측부를 결합하고 있고 몸체를 기체(141)의 이동실(147)내부로 결합하고 있는 조절편(131)과,
    상기 조절편(131)을 기체(141)의 이동실(147)내부에서 전,후진시키기 위해 기체(141)의 결합공(142)을 통해 조절편(131)의 체결공(132)으로 체결되는 다수개의 조절스크류(133)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Y 테이블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1)의 이동과 함께 이동되는 차단밸트(111)와 커버(146)의 삽입홈(105)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을 줄여 보다 부드러운 차단밸트(111)의 이동을 얻기 위해 커버(146)의 삽입홈(105)으로 결합되는 우레탄시일(106)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Y 테이블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KR2020000032641U 2000-11-22 2000-11-22 엑스-와이 테이블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KR2002236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641U KR200223668Y1 (ko) 2000-11-22 2000-11-22 엑스-와이 테이블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641U KR200223668Y1 (ko) 2000-11-22 2000-11-22 엑스-와이 테이블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668Y1 true KR200223668Y1 (ko) 2001-05-15

Family

ID=73060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641U KR200223668Y1 (ko) 2000-11-22 2000-11-22 엑스-와이 테이블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6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324B1 (ko) * 2013-07-19 2014-12-30 이종기 이송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324B1 (ko) * 2013-07-19 2014-12-30 이종기 이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2165A (en) Push latch device
ATE283983T1 (de) Linearbewegungsführung
JPS60140722A (ja) 精密移動装置
KR200223668Y1 (ko) 엑스-와이 테이블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FR2781823B1 (fr) Rail de guidage a encoches d'engagement-degagement pour un ensemble de guidage a galets notamment inclines
EP1262673A3 (de) Linearwälzlagerelement
JPH0911144A (ja) テープ状ねじマガジンの移送装置
AU5208001A (en) Seal assembly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a seal within a seal housing
DE50010656D1 (de) Rotor mit Magnetlagerung
KR20020045459A (ko) 리니어 모션 가이드의 캐리어
CA2255565A1 (en) Drive and support for machine tools
EP1174325A3 (de) Fahrwerk für das Fahrbetriebsmittel einer Seilbahnanlage
EP1346784A3 (de) Führungsrolle für eine Stranggiessanlage
KR960010656Y1 (ko) 원왜이 클러치 베어링(One Way Clutch Bearing)
GB2316795A (en) Dual head azimuth alignment mechanism in an autoreverse in-car tape player
KR930007992Y1 (ko) 프로그래시브 금형의 재료피딩장치
KR920003386Y1 (ko) 테이프레코더의 자동반전장치
JP2000056050A (ja) 直線駆動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位置決めユニット
KR200190592Y1 (ko) 전자 클러치/브레이크 장치
JPH0773549A (ja) 磁気ヘッド装置
MY111557A (en) Tape loading mechanism.
SU173849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линейного перемещени подвижных органов
JPH04203619A (ja) リニアガイド装置
KR100366565B1 (en) Structure for cooling of double-sided linear motor
EP1113568A3 (de) Verriegelungselement für elektomagnetische lineare Antriebsvorrichtun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