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665Y1 - 전자레인지 도어용 래치보드 구조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 도어용 래치보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665Y1
KR200222665Y1 KR2020000032598U KR20000032598U KR200222665Y1 KR 200222665 Y1 KR200222665 Y1 KR 200222665Y1 KR 2020000032598 U KR2020000032598 U KR 2020000032598U KR 20000032598 U KR20000032598 U KR 20000032598U KR 200222665 Y1 KR200222665 Y1 KR 2002226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board
switch
latch
microwav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25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6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665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 도어용 래치보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래치보드(50)에 형성되어 스위치(60,60',62)의 동작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리브(54)의 형상을 보다 내구성있고 확실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 즉 상기 탄성리브(54)의 기저부(54b)에서 선단부(54t)를 향해 점차로 그 두께가 얇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하고, 선단부(54t)에 일체로 스위치(60,60',63)를 밀착 지지하는 지지편(54')을 형성하였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 도어용 래치보드 구조{A latch board structure of door for micro wave oven}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레인지의 도어를 체결하고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스위치가 설치되는 도어용 래치보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도어용 래치보드 및 그 관련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자레인지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캐비티(1)의 내부에는 조리물의 조리가 진행되는 조리실(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캐비티(1)의 전면에는 전면플레이트(4)가 구비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6)의 래치(7,7')가 출입되는 래치슬롯(5,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리실(2)은 도어(6)의 개폐에 의해 전자레인지의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상기 도어(6)의 전면 일측에는 손잡이(6')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6)의 내면에는 상기 래치슬롯(5,5')과 대응되는 위치에 래치(7,7')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6)가 조리실(3)을 폐쇄할 때 밀착되는 전면플레이트(4)의 일측에는 콘트롤러부(8)가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러부(8)에는 전자레인지의 조작을 위한 각종 키이버튼 등이 구비된다. 그리고 전자레인지의 전면 상단에는 전자레인지의 내외부로 공기가 출입되는 벤트그릴(1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전자레인지의 하면은 베이스플레이트(12)가 형성하는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의 중앙에는 전자레인지의 하부에 설치된 가스레인지에서 발생되는 열기등을 흡입하여 후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흡기구(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플레이트(4)의 래치슬롯(5,5')이 형성되어 있는 배면에는 래치보드(20)가 설치된다. 상기 래치보드(20)에는 인터록스위치(30,30')와 모니터스위치(32)가 설치된다. 상기 인터록스위치(30,30')와 모니터스위치(32)는 상기 도어(6)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전자레인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래치보드(20)에는 상기 스위치(30,30',32)들을 설치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는데, 상기 인터록스위치(30')의 설치를 위한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래치보드(20)의 일측에는 상기 인터록스위치(30')의 설치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리브(22,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터록스위치(30')의 하부를 지지하여 그 동작시에 인터록스위치(30')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리브(2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인터록스위치(30')의 동작시에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핀(26)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도어(6)에 설치된 래치(7,7')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인터록스위치(30')와 모니터스위치(32)를 구동하는 래치레버(29)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28)이 상기 래치보드(30)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에서 상기 래치보드(20)와 관련된 구성이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도어(6)가 조리실(3)을 폐쇄하기 위해 닫혀져 전면플레이트(4)에 밀착되면 상기 도어(6)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래치(7,7')가 상기 래치슬롯(5,5')을 통해 상기 래치보드(20)의 내부로 들어가서 상기 인터록스위치(30)와 상기 래치레버(29)를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래치레버(29)의 구동에 의해 상기 모니터스위치(32)와 인터록스위치(30')가 동작된다.
이때, 상기 인터록스위치(30')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탄성리브(24)가 상기 인터록스위치(30')에 탄성을 제공하여 상기 래치레버(29)에 의해 인터록스위치(30')가 눌러지면 상기 회전핀(26)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면서 동작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리브(24)로 인터록스위치(30')에 탄성을 제공함에 의해 상기 인터록스위치(30')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탄성리브(24)는 도어(6)가 개폐될 때 마다 반복하여 탄성변형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와 같이 탄성리브(24)가 반복운동됨에 의해 인터록스위치(30')에 탄성을 줄 수 없는 방향으로 영구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상기 탄성리브(24)의 형상이 그 기저부에서 선단부까지 그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래치보드의 내구성을 높여주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래치보드에 설치되는 스위치의 동작신뢰성을 향상시켜 주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 도어용 래치보드와 그 관련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 도어용 래치보드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래치보드 52,52': 가이드리브
54: 탄성리브 54t: 선단부
54b: 기저부 54': 지지편
56: 회전핀 58: 회전축
59: 래치레버 60,60': 인터록스위치
62: 모니터스위치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스위치가 장착되는 래치보드몸체와, 상기 래치보드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의 동작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리브는 기저부의 두께가 선단부의 두께에 비해 두껍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리브는 상기 기저부에서 선단부까지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선단부에 상기 스위치를 지지하는 지지편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탄성리브의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어 스위치에 제공되는 탄성력이 쉽게 변하지 않으므로 스위치의 동작신뢰성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 도어용 래치보드 구조를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 기술의 것과 동일한 것은 종래 도면의 부호를 원용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 실시예의 래치보드(50)에는 도어(6)가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는 인터록스위치(60,60')와 모니터스위치(6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인터록스위치(60,60')와 모니터스위치(62)는 각각 도어(6)에 따라 온오프되면서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도어(6)가 개방된 상태에서 전자레인지가 구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래치보드(50)에는 상기 인터록스위치(60,60')와 모니터스위치(62)의 설치를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인터록스위치(6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른 스위치(60,62)를 설치하기 위한 구성은 상기 인터록스위치(60')를 설치하기 위한 구성과 거의 동일하다.
먼저, 상기 래치보드(50)에는 인터록스위치(60')의 설치상태를 가이드하고 회전동작을 규제하기 위한 가이드리브(52,5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인터록스위치(60')의 회전동작에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리브(54)가 상기 래치보드(50)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리브(54)는 도 3의 상세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보드(50)와 연결되는 기저부(54b)와 상기 기저부(54b)에서 길게 연장된 선단부(54t) 및 상기 선단부(54t)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편(5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저부(54b)에서 선단부(54t)까지는 점차로 그 두께가 얇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선단부(54t)와 기저부(54b)는 탄성리브(54)에 탄성을 부여하는 부분이고 상기 지지편(54')은 상기 인터록스위치(60')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상기 인터록스위치(60')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핀(56)이 상기 래치보드(5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핀(56)에는 상기 인터록스위치(60')의 일측이 끼워지게 되고 이를 중심으로 인터록스위치(60')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인터록스위치(60')와 모니터스위치(62)를 구동하기 위한 래치레버(59)는 상기 래치보드(50)의 회전축(58)에 설치되어 회전축(58)을 중심으로 도어(6)의 래치(7')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인터록스위치(60')와 모니터스위치(62)를 구동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 도어용 래치보드구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인터록스위치(60,60')와 모니터스위치(62)는 각각 도어(6)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전자레인지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그 기능중의 하나가 도어(6)가 개방된 상태에서 전자레인지가 구동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도어(6)가 닫혀져 상기 전면플레이트(4)에 밀착되면, 상기 래치(7,7')는 상기 래치슬롯(5,5')을 통해 상기 래치보드(5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래치보드(50)의 내측으로 삽입된 래치(7,7')는 상기 인터록스위치(60)와 래치레버(59)를 구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레버(59)는 상기 인터록스위치(60')와 모니터스위치(62)를 구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터록스위치(60')의 동작을 예로 들면, 상기 탄성리브(54)에 의한 탄성으로 상기 가이드리브(52,52')에 밀착되어 있던 인터록스위치(60')는 상기 래치레버(59)의 일측에 의해 눌러진다. 이때 상기 인터록스위치(60')는 상기 탄성리브(54)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회전핀(56)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서 동작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인터록스위치(60')의 동작에 탄성을 제공하는 상기 탄성리브(54)는 그 기저부(54b)에서 선단부(54t)를 향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어 많은 탄성변형동작이 일어나더라도 쉽게 그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원래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인터록스위치(60')의 동작상태가 항상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탄성리브(54)의 구성은 다른 스위치(60,62)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인터록스위치(60')에서와 같이 스위치(60,62) 동작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 도어용 래치보드 구조에서는 스위치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리브를 래치보드에 일체로 형성함에 있어 그 기저부에서 선단부를 향해 점차 얇아지도록 테이퍼를 형성하였으므로 탄성리브의 탄성력이 보다 오래 유지되어 오랜 사용에도 스위치 동작의 정확하게 이루어져 동작신뢰성이 유지되고 래치보드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스위치가 장착되는 래치보드몸체와,
    상기 래치보드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의 동작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리브는 기저부의 두께가 선단부의 두께에 비해 두껍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도어용 래치보드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리브는 상기 기저부에서 선단부까지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선단부에 상기 스위치를 지지하는 지지편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도어용 래치보드 구조.
KR2020000032598U 2000-11-21 2000-11-21 전자레인지 도어용 래치보드 구조 KR2002226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598U KR200222665Y1 (ko) 2000-11-21 2000-11-21 전자레인지 도어용 래치보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598U KR200222665Y1 (ko) 2000-11-21 2000-11-21 전자레인지 도어용 래치보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665Y1 true KR200222665Y1 (ko) 2001-05-15

Family

ID=7306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598U KR200222665Y1 (ko) 2000-11-21 2000-11-21 전자레인지 도어용 래치보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6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143410A (en) Cooking appliance with switching assembly
US4935593A (en) Cabinet for cooking appliances
KR19980014012A (ko) 전자렌지의 도어
KR200222665Y1 (ko) 전자레인지 도어용 래치보드 구조
KR100361785B1 (ko) 스위치 장치
US7176416B2 (en) Switching device for controlling an industrial cooking apparatus
KR20000028812A (ko) 가열조리장치
KR100399139B1 (ko) 전자렌지
EP3557140B1 (en) Cooking appliance
KR20030073479A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인터록 장치
KR100402499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래치장치
US6852961B2 (en)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switch attachment mechansm capable of covering at least one switch from outside
KR960009855Y1 (ko) 전자렌지용 흡기덕트의 플랩개폐장치
KR970003074Y1 (ko) 전자렌지의 마이크로 스위치 구동장치
KR960007557B1 (ko) 전자렌지의 도어록킹장치
JP2001319769A (ja) 高周波加熱装置
KR100254606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레치 구동장치
KR100997127B1 (ko)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
EP4009343A1 (en) Switch element, household appliance unit with switch element, and household appliance
KR100420341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래치구조
KR100377726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벤트그릴장치
KR20030057815A (ko) 전자레인지의 마이크로스위치 장착구조
KR100942569B1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 패널구조
KR100942570B1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 패널구조
JP2007059339A (ja) シーソー式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