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322Y1 - 공사장 표지용 드럼통 - Google Patents

공사장 표지용 드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322Y1
KR200222322Y1 KR2020000016501U KR20000016501U KR200222322Y1 KR 200222322 Y1 KR200222322 Y1 KR 200222322Y1 KR 2020000016501 U KR2020000016501 U KR 2020000016501U KR 20000016501 U KR20000016501 U KR 20000016501U KR 200222322 Y1 KR200222322 Y1 KR 2002223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drum
wall
present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순
Original Assignee
신도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도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도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6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3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3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322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장애물이나 공사장 등의 입구에 설치되는 것으로 조립식으로 되어 무게를 손쉽게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공사장 표지용 드럼통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단면이 원형인 얇은 벽부(1)와, 상기 벽부(1)의 위를 밀폐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천정부(2)와, 상기 벽부(1)의 아래를 밀폐하는 바닥부(3)로 이루어지는 드럼통에 있어서, 상기 벽부(1), 천정부(2) 및 바닥부(3)는 수지로 되고, 상기 벽부(1)의 중간이 상하로 구분되어 형성되어, 이 분리된 각각의 벽부(1)의 상하를 연결하는 연결구(11)가 각각 상하부에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천정부(2)는 직경측으로 요입되는 요입부(22)가 그 중간에 손잡이(21)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공사장 등의 표지판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드럼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작이 손쉽고도 가벼워서 운반이 용이하여 최대의 경제성을 이룩하며, 분해하여 포개어 보관하므로서 많은 수량일지라도 보관면적을 최소화 하며, 내부에 중량물을 삽장하여 바람이나 충격등에 의하여도 직립이 되도록 하면서도 완충작용이 되도록 할 수 있는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Description

공사장 표지용 드럼통{Drum for a beacon}
본 고안은 도로의 장애물이나 공사장 등의 입구에 설치되는 것으로 조립식으로 되어 무게를 손쉽게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공사장 표지용 드럼통에 관한 고안이다.
드럼은 통상적으로는 금속제의 원기둥상 입방체로서 그 내부에 물이나 기름 및 화공약품 등을 담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의 통칭이며, 이러한 것중 보다 진보된 것으로는 특허출원 제94-11804호의 오픈드럼통이 있는데, 이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제 원통체(1')와, 상기 원통체(1')를 막아주는 윗뚜껑(2')과, 상기 원통체(1')와 윗뚜껑(2')을 밀폐되도록 체결하는 밴드(23)로 이루어진 것이 있으며, 이와는 달리 실용신안공고 제80-002018호의 드럼통 고안에서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벽(1)과 저판(3)의 접합단부를 외향 권착하여 권착연부와 접합연부를 형성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주벽(1)과 저판(3)의 접합연부에 단면 반원상의 돌륜(111)을 권착연부와 근접하게 돌설하여 내외돌륜(112, 112)이 서로 감착 접합되게한 드럼통으로 구성한 것이 있다(도면의 부호는 본 고안과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경우 같은 부호를 붙여서 혼동을 피하도록 하였음).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고안들은 금속제(통상 주철을 사용) 드럼통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액체의 저장용기로 사용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와 같이 공사장 등의 표지용으로 사용되기에는 한계가 있는데, 이는 그 자체 중량으로 인하여 운반이 어려우며, 게다가 부피가 커서 보관에도 문제가 있으며, 특히 소재비용이 많이 들뿐만아니라, 이들을 공사장 등에서 표지판으로 사용하는 경우 차량등의 충돌시에 충돌차량에 많은 손상을 입히게 되는 등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자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예시주시하였던바, 이들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여 진정한 의미에서의 공사장 등의 표지판으로 사용될 수 있는 드럼통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을 완성하였는데, 즉 본 고안은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하므로서 제작이 손쉽고도 가벼워서 운반이 용이하여 최대의 경제성을 이룩하며, 조립식으로 되어 분해하여 포개어 보관하므로서 많은 수량일지라도 보관면적을 최소화 하며, 사용시에는 내부에 중량물을 삽장하여 무게를 손쉽게 보완하여 바람이나 충격등에 의하여도 직립이 되도록 하며, 특히 수지제이므로 차량등이 충돌하여도 완충작용이 되도록 하여 차량 등의 손상을 최소화 하고자 본 고안을 안출하였는데, 이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분해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상태 분해도,
도 6은 종래 고안의 구성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1. 벽부 1'. 원통체
11. 연결구
111. 환형캡 112. 걸림돌기 113. 스토퍼
12. 답공
2. 천정부 2'. 윗뚜껑
21. 손잡이 22. 요입부 23. 밴드
3. 바닥부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요부를 잘 알 수 있도록 윗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분해상태도 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인 얇은 벽부(1)와, 상기 벽부(1)의 위를 밀폐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천정부(2)와, 상기 벽부(1)의 아래를 밀폐하는 바닥부(3)로 이루어지는 드럼통에 있어서, 상기 벽부(1), 천정부(2) 및 바닥부(3)는 수지로 되고, 상기 벽부(1)의 중간이 상하로 구분되어 형성되어, 이 분리된 각각의 벽부(1)의 상하를 연결하는 연결구(11)가 각각 상하부에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천정부(2)는 직경측으로 요입되는 요입부(22)가 그 중간에 손잡이(21)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1)가 상하로 분리된 벽부(1)중 일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걸림돌기(112)가 형성된 환형캡(111)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환형캡(111)내에 삽입되는 상단에 걸림돌기(112)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벽부(1)의 상하로 분리된 하부층의 벽부(1)는 상부층의 벽부(1) 보다도 그 높이가 낮게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분리된 벽부(1)의 상부층의 벽부(1)는 상기 천정부(2)측이 좁아지도록 테이퍼를 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의 분해상태도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벽부(1)와 바닥부가 연접되는 모서리에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 요입되는 답공(12)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일 구성에 의하면, 원통형의 벽부(1)와 천정부(2)와 바닥부(3)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드럼통을 기본으로 하고, 상기 벽부(1), 천정부(2) 및 바닥부(3)는 수지로 되어 있는데, 즉 드럼통의 전체는 수지로 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본 고안의 과제인 제작이 손쉽고도 가벼워서 운반이 용이하여 최대의 경제성을 이룩하게 되며, 수지제이므로 차량등이 충돌하여도 완충작용이 되도록 하여 차량 등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벽부(1)의 중간이 상하로 구분되어 형성되어, 이 분리된 각각의 벽부(1)의 상하를 연결하는 연결구(11)가 각각 상하부에 형성되어 구성되므로, 벽부(1)의 중간에서 분리/조립이 가능하여 제작 및 운반에 편의를 기할 수 있으며, 이때 연결구(11)는 수지재로 된 상부측의 드럼통과 하부측의 드럼통간을 손쉽게 연결하는 연결구조라면 어떠한 공지의 구조도 채용가능한데, 예컨데, 상하부중 일측에는 암나선을 형성시키고 타측에는 숫나선을 형성시켜서 나합시키는 구조라던가, 상하부중 일측을 타측보다 직경이 약간 작도록 형성시켜서 강압시켜서 결합하던가, 하부측 위에 상부측 드럼통을 올려놓고 볼트나 키 등을 박아서 결합시키는 구조등 어떠한 구조라도 채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넘어서지 않음은 명백하다.
게다가, 상기 천정부(2)는 직경측으로 요입되는 요입부(22)가 그 중간에 손잡이(21)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므로, 일체로 손잡이를 형성시키므로서 운반의 편의를 기할 수 있으며, 특히 요입부(22)는 적절한 규격이 되도록 제작하므로서, 상기 조립식 드럼통을 2개 이상 연설하고 이 요입부(22)에는 금속제의 파이프를 끼워서 연결하므로서 바리케이트와 같이 사용하거나, 드럼통을 연설한 상태에서 전구나 LED램프가 내장되는 호스를 상기 공간에 걸쳐서 끼워주도록 사용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드럼통은 소요되는 위치에 설치될때에는 먼저, 하부 구조체만을 정위치에 놓고, 이 하부 구조체{이는 하부 벽부(1)와 바닥부(3)로 이루어진 것임}의 내부에 모래주머니 등의 중하중물을 집어넣고, 상부 벽부(1)와 천정부(2)로 이루어지는 상부 구조체를 그 위에 올려서 연결구(11)로 체결되도록 설치하여 완성하는데, 이는 얇은 수지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드럼통이 가볍기 때문에 바람 등에 의하여 전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연결구(11)를 밀폐되도록 하는 별개의 구조, 예컨데 씰링(고무제의 오링을 내장하는 방식 등)을 추가시키면, 긴밀히 밀봉되므로서 액체 등을 내장시킬 수 도 있으나, 본 고안의 드럼통은 벽부가 상하로 구성되는 것으로 액체 등의 보관용기는 아니므로 별개의 씰링은 불필요하다.
본 고안의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기본구성과 더불어, 상기 연결구(11)가 상하로 분리된 각각의 벽부(1)중 일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걸림돌기(112)가 형성된 환형캡(111)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환형캡(111)내에 삽입되는 상단에 걸림돌기(112)가 형성되도록 하였는데, 상하로 분리된 각각의 벽부(1)의 각 단부에 걸림돌기(112)를 형성시킨 것으로 걸림돌기(112)들은 동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이 간격을 통해 타측의 걸림돌기(112)들이 교차되어 진입되고, 이상태에서 상부 또는 하부를 회전시키면, 상하의 걸림돌기(112, 112)들이 맞물려서 손쉽고도 공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때, 상하의 걸림돌기(112, 112)들 각각은 각 단부에서 내측(상부는 위쪽, 하부는 아래쪽)으로 넓어지게 테이퍼를 형성시키고, 걸림돌기(112)의 이격간격을 조금크게하면 결착이 보다 손쉽게 된다. 또한, 상하 걸림돌기(112, 112)중 일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13)를 형성시키면, 비록 이는 양쪽 어느쪽으로 회전시켜도 걸림돌기(112, 112)간의 체결/분리 하던것을 일방향만으로 제한하게는 하나, 걸림돌기(112, 112)간의 체결 시에 너무 많이 회전시키면 다시 분리되는, 즉 체결시 소정 각도 만큼만 회전시켜야 결합이 된다는 단점을 제거할 수 있어서 작업의 안전성 면에서도 일책이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기본구성과 더불어, 상기 벽부(1)의 상하로 분리된 하부층의 벽부(1)는 상부층의 벽부(1) 보다도 그 높이가 낮게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분리된 벽부(1)의 상부층의 벽부(1)는 상기 천정부(2)측이 좁아지도록 테이퍼를 형성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하부드럼통의 높이를 낮출수록 상부드럼통은 높이가 커지나, 상부드럼통은 상협하광(上狹下廣)형으로 되어 포개어질 수 있으므로서, 그 높이가 높아도 포개어서 보관하므로서 보관면적당 차이는 없으며, 다만 하부드럼통은 낮을수록 쌓아 올리는 높이가 줄어드므로 보관면적을 줄일 수 있어서, 이를 위한 배려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기본구성과 더불어, 상기 벽부(1)와 바닥부가 연접되는 모서리에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 요입되는 답공(12)이 형성되도록 하였는데, 이는 드럼통의 상하 분리시에 하부만 남기고 상부를 들어주거나, 상하부결합시 상부를 회전시킬때에 하부가 따라서 들리거나 회전되지 않도록 발을 집어넣어서 하부 드럼통이 멈추어지도록 하고자 마련한 것이며,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답공(12)의 하단인 지면과 연통되는 부분은 연장되는 살을 남기고 답공을 형성시키므로서, 특히 상기한 하부에서 상부를 들어올릴때에 이 살부분이 발바닥에 밟혀서 하부 드럼통이 손쉽게 고정되게 된다.
본 고안은 공사장 등의 표지판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드럼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하므로서 제작이 손쉽고도 가벼워서 운반이 용이하여 최대의 경제성을 이룩하며, 조립식으로 되어 분해하여 포개어 보관하므로서 많은 수량일지라도 보관면적을 최소화 하며, 사용시에는 내부에 중량물을 삽장하여 무게를 손쉽게 보완하여 바람이나 충격등에 의하여도 직립이 되도록 하 며, 특히 수지제이므로 차량등이 충돌하여도 완충작용이 되도록 하여 차량 등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4)

  1. 단면이 원형인 얇은 벽부(1)와, 상기 벽부(1)의 위를 밀폐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천정부(2)와, 상기 벽부(1)의 아래를 밀폐하는 바닥부(3)로 이루어지는 드럼통에 있어서,
    상기 벽부(1), 천정부(2) 및 바닥부(3)는 수지로 되고,
    상기 벽부(1)의 중간이 상하로 구분되어 형성되어, 이 분리된 각각의 벽부(1)의 상하를 연결하는 연결구(11)가 각각 상하부에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천정부(2)는 직경측으로 요입되는 요입부(22)가 그 중간에 손잡이(21)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장 표지용 드럼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1)가 상하로 분리된 벽부(1)중 일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걸림돌기(112)가 형성된 환형캡(111)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환형캡(111)내에 삽입되는 상단에 걸림돌기(112)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장 표지용 드럼통.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1)의 상하로 분리된 하부층의 벽부(1)는 상부층의 벽부(1) 보다도 그 높이가 낮게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분리된 벽부(1)의 상부층의 벽부(1)는 상기 천정부(2)측이 좁아지도록 테이퍼를 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장 표지용 드럼통.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1)와 바닥부가 연접되는 모서리에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 요입되는 답공(12)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장 표지용 드럼통.
KR2020000016501U 2000-06-10 2000-06-10 공사장 표지용 드럼통 KR2002223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501U KR200222322Y1 (ko) 2000-06-10 2000-06-10 공사장 표지용 드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501U KR200222322Y1 (ko) 2000-06-10 2000-06-10 공사장 표지용 드럼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322Y1 true KR200222322Y1 (ko) 2001-05-02

Family

ID=73085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501U KR200222322Y1 (ko) 2000-06-10 2000-06-10 공사장 표지용 드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3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540Y1 (ko) * 2011-03-17 2013-01-08 신도산업 주식회사 안전용 가이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540Y1 (ko) * 2011-03-17 2013-01-08 신도산업 주식회사 안전용 가이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53842B1 (en) Synthetic resin tube container
PT1115626E (pt) Recipientes e tampas em plástico
CN203143293U (zh) 防伪塑料密封容器
WO1999061323A3 (de) Kunststoff-deckelfass
AU2014277846A1 (en) Hinge articulated closure device with first-opening indicator
US4027777A (en) Pail assemblies
US3958719A (en) Relating to containers
US20030052130A1 (en) Dual container
US4126246A (en) Plastic lids and pails
KR200222322Y1 (ko) 공사장 표지용 드럼통
US4034886A (en) Plastic lids and pails
ES2379182T3 (es) Disposición de cierre para botes.
US4298132A (en) Child-proof lid and pail arrangement
US20210403205A1 (en) Container and seal assembly
CN102803084A (zh) 金属片材容器
US20050077264A1 (en) Container with a security closure
CN102774546B (zh) 具有撕除带的容器
KR200295928Y1 (ko) 공사장 안전표시통
CN107406167A (zh) 用于容器的保护盖
JP3159055U (ja) コンテナ用内袋の排出口構造
TWI787871B (zh) 錐形桶
PT80185B (en) Improved polygonal stackable drums
JP2003041537A (ja) 連結式クッションブロック構造体
KR20040014637A (ko) 합성수지 복합재료 맨홀덮개
ES2660586T3 (es) Recipiente con borde de sellado y paque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