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261Y1 - 스프레이 건 - Google Patents

스프레이 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261Y1
KR200222261Y1 KR2020000032940U KR20000032940U KR200222261Y1 KR 200222261 Y1 KR200222261 Y1 KR 200222261Y1 KR 2020000032940 U KR2020000032940 U KR 2020000032940U KR 20000032940 U KR20000032940 U KR 20000032940U KR 200222261 Y1 KR200222261 Y1 KR 2002222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int
paint nozzle
spray gun
air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종헌
Original Assignee
손종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종헌 filed Critical 손종헌
Priority to KR2020000032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2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2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261Y1/ko

Links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항공기나 차량등의 페인트 작업시에 사용하는 스프레이 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프레이 건은 공기캡과 도료노즐 사이의 공간이 거의 없어 저장되는 에어(air)의 양이 적었고 또 공기캡과 도료노즐의 공기구멍 수도 작아 적절항 양의 에어(air)가 지속적으로 분출되지 못하여 페인트 작업시 일정하지 못한 경우가 왕왕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기존의 니들핀은 탭과 나사로서 중간 이음부를 형성한 2개의 핀을 사용하기 때문에 한 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정확한 진직도가 형성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스프레이건 선단부에 있는 도료노즐(4)의 앞 중앙구멍(4') 둘레에 원형으로 요입홈(4')을 형성하여 공기캡(2)과의 공간을 넓게 하고, 공기캡(2)에는 중앙구멍(2') 양측에 각각 2개씩 공기구멍(2'')을 양 돌출부(2')에도 각각 2개씩 공기구멍(2'')을 형성하고, 도료노즐(4)에는 중앙구멍(4') 둘레 요입홈(4')의 표면에 6개의 공기구멍(4'')을 형성하여 에어(air)의 양을 늘여 분무시 에어(air)가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공급되게 하였다. 그리고 니들핀(5)도 하나의 일체형으로하여 진직도 및 원통도를 향상시켰다.

Description

스프레이 건{Spray Gun}
본 고안은 주로 항공기나 차량등의 페인트 작업시에 사용하는 스프레이 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프레이 건의 구조를 살펴보면 에어호스 연결구에 에어호스를 연결하고 페인트통 연결구에 페인트통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분무손잡이를 당기면 에어(air)가 공기로를 통하여 빠른 속도로 유입로로 유입되어 도료노즐의 구멍을 통하여 나가고 이 때 페인트통 연결구 상부의 유입로 압력이 급격히 낮아져서 압력차로 인하여 페인트가 유입로 쪽으로 상승되고 따라서 에어(air)와 페인트가 함께 도료노즐의 중앙구멍을 통하여 분무됨으로서 페인트 작업을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는 공기캡과 도료노즐 사이의 공간이 거의 없어 저장되는 에어(air)의 양이 적었고 또 공기캡과 도료노즐의 공기구멍 수(공기캡은 중앙구멍 양측에 하나씩 2개와 양 돌출부에 하나씩 2개, 도료노즐은 중앙구멍 둘레에 4개)도 작아 적절항 양의 에어(air)가 지속적으로 분출되지 못하여 페인트 작업시 일정하지 못한 경우가 왕왕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기존의 니들핀은 탭과 나사로서 중간 이음부를 형성한 2개의 핀을 사용하기 때문에 한 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정확한 진직도가 형성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요지는 도료노즐의 앞 중앙구멍 둘레에 원형으로 요입홈을 형성하여 공기캡과의 공간을 넓게 하고, 공기캡에는 중앙구멍 양측에 각각 2개씩 공기구멍을 양 돌출부에도 각각 2개씩 공기구멍을 형성하고, 도료노즐에는 중앙구멍 둘레 요입홈의 표면에 6개의 공기구멍을 형성하여 에어(air)의 양을 늘여 분무시 에어(air)가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공급되게 하였다. 그리고 니들핀도 하나의 일체형으로하여 한 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진직도 및 원통도를 향상시켜서 점도가 표면 전체에 고르게 페인트를 분사할 수 있게 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몸체 1'-손잡이 2-공기캡
2'-돌출부 2'-중앙구멍 2''-공기구멍
2''-공기구멍 3-고정캡 4-도료노즐
4'-요입홈 4'-중앙구멍 4''-공기구멍
5-니들핀 5'-걸림턱 6-페인트통 연결구
7-니들변패조임나사 8-분무손잡이 9-분사각도조절장치
10-공기변패 11-스프링 12-공조가이드
13-공실 14-에어조절장치 15-에어호스 연결구
16-유입로 17-공기로 17'-공기로
이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프레이 건 몸체(1)의 선단부에는 도료노즐(4)이 나사끼움되되 도료노즐(4)의 중심에는 중앙구멍(4')이 있고 그 주위는 원형으로 요입홈(4')이 형성되며 요입홈(4')의 표면에는 6개의 공기구멍(4'')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료노즐(4) 앞에는 중앙구멍(2')과 그 양측에 각각 2개의 공기구멍(2'')과 양 돌출부(2')에 역시 각각 2개의 공기구멍(2'')이 형성된 공기캡(2)이 개재되며 공기캡(2)은 고정캡(3)의 나사끼움에 의하여 몸체(1)에 고정된다. 몸체(1) 중심의 유입로(16)에는 니들핀(5)이 끼움되어 니들변패조임나사(7)와 공기변패(10)에 의하여 안치되되 니들핀(5) 뒷부분의 걸림턱(5')에는 스프링(11)이 걸림되고, 스프링(11)은 몸체(1) 후단부에 나사끼움된 공조가이드(12)에 의하여 받침되어 탄성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몸체(1) 중심의 유입로(16) 하부에는 페인트통을 개재할 수 있는 페인트통 연결구(6)가 나사끼움되어 있고, 몸체(1)의 상부에는 공기로(17)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에어(air)의 양을 조절하여 분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분사각도조절장치(9)가 나사끼움되어져 있다. 몸체(1)와 일체로 되어 있는 손잡이(1')의 내부에도 공기로(17')가 형성되어 있고, 에어(air)의 양을 조절하는 에어조절장치(14)와 에어호스를 연결하는 에어호스 연결구(15)가 나사끼움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사용할 시는 에어호스 연결구(15)에 에어호스를 연결하고 페인트통 연결구(6)에 페인트통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분무손잡이(8)를 당기면 에어(air)가 공기로(17')를 통하여 빠른 속도로 유입로(16)로 유입되어 도료노즐(4)의 구멍(4')(4'')을 통하여 나가고 이 때 페인트통 연결구(6) 상부의 유입로(16) 압력이 급격히 낮아져서 압력차로 인하여 페인트가 유입로(16) 쪽으로 상승되고 따라서 에어(air)와 페인트가 함께 도료노즐(4)의 중앙구멍(4')을 통하여 분무됨으로서 페인트 작업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손잡이(1') 부분의 에어조절장치(14)를 조절하여 콤프레셔로부터 에어호스를 통하여 유입되는 에어(air)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몸체(1) 상부의 분사각도조절장치(9)를 조절하여 도료노즐(4)과 공기캡(2)의 공기구멍(2'')(2'')(4'')으로 유출되는 에어(air)의 양을 조절하므로서 페인트가 퍼져 나가는 정도(분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종전의 스프레이 건과 비교할 때 다음과 같은 유용한 효과가 있다.
우선 도료노즐(4)의 앞 중앙구멍(4') 둘레에 원형으로 요입홈(4')을 형성하여 공기캡(2)과의 공간을 넓게 하고 도료노즐(4)의 공기구멍(4'') 갯수를 4개에서 6개로 늘였기 때문에 에어(air)가 6면에서 고르게 공급되고 도료노즐(4)의 요입홈(4')에는 적절한 양의 에어(air)가 항시 채워져 있으므로 에어(air)가 강제로 밀려나가서 와류하는 현상을 방지하였다. 그리고 공기캡(2)에도 공기구멍(2'')(2'') 갯수를 각각 1개에서 2개로 늘였기 때문에 적절한 양의 에어(air)가 나오므로 도료의 날림 방지와 균일한 용착을 도와 도포면적이 일정하고 제품의 도장이 섬세한 장점이 있다.
둘째는 탭과 나사로서 중간 이음부를 형성하여 2개의 핀을 사용하던 기존의 방식을 탈피하고 걸림턱(5')이 있는 하나의 니들핀(5)으로 하였기 때문에 진직도 및 원통도가 정확해 노즐(4) 및 공기캡(2)과의 밀착상태가 섬세하여 에어(air)가 한 쪽으로 편중되는 현상을 방지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존에 손잡이(1') 부분에 있던 공기밸브를 없애고 공조가이드(12)의 나사끼움 상태를 조정함으로서 공실(13)의 크기를 조절하여 에어(air)의 양을 조절하므로 기존의 2단계 제어가 아닌 한번에 제어를 하므로 불필요한 부품의 수를 줄이고 조작이 쉬워 경제적으로나 작업효율에 있어 그 효과가 크다.

Claims (1)

  1. 몸체(1)에는 공기로(17)의 에어(air) 양을 조절하여 분사각도를 조절하는 분사각도조절장치(9)와 페인트통을 개재시키는 페인트통 연결구(6)가 있고 몸체(1)와 일체되어 있는 손잡이(1')에는 에어조절장치(14)와 에어호스 연결구(14)가 있어 분무손잡이(8)를 당김으로서 동작을 하는 통상의 스프레이 건에 있어서,
    몸체(1)의 선단부에는 중심에 중앙구멍(4')이 있고 그 주위에는 원형으로 요입홈(4')이 형성되며 요입홈(4')의 표면에는 6개의 공기구멍(4'')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도료노즐(4)이 나사끼움되고, 도료노즐(4) 앞에는 중앙구멍(2')과 그 양측에 각각 2개의 공기구멍(2'')과 양 돌출부(2')에 역시 각각 2개의 공기구멍(2'')이 형성된 공기캡(2)이 고정캡(3)의 나사끼움에 의하여 몸체(1)에 고정되고, 몸체(1) 중심의 유입로(16)에는 니들핀(5)이 니들변패조임나사(7)와 공기변패(10)에 의하여 끼움되되 니들핀(5) 뒷부분의 걸림턱(5')에 스프링(11)이 걸림되고 스프링(11)은 몸체(1) 후단부에 나사끼움된 공조가이드(12)에 의하여 받침되어 탄성작용을 하게 구성된 스프레이 건
KR2020000032940U 2000-11-24 2000-11-24 스프레이 건 KR2002222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940U KR200222261Y1 (ko) 2000-11-24 2000-11-24 스프레이 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940U KR200222261Y1 (ko) 2000-11-24 2000-11-24 스프레이 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261Y1 true KR200222261Y1 (ko) 2001-05-02

Family

ID=73092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940U KR200222261Y1 (ko) 2000-11-24 2000-11-24 스프레이 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2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397B1 (ko) * 2006-09-14 2008-08-04 랜스버그 인더스트리얼 피니싱 케이.케이. 분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889318B1 (ko) 2007-06-28 2009-03-18 조덕환 탄성코트용 에어 스프레이 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397B1 (ko) * 2006-09-14 2008-08-04 랜스버그 인더스트리얼 피니싱 케이.케이. 분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889318B1 (ko) 2007-06-28 2009-03-18 조덕환 탄성코트용 에어 스프레이 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69962B2 (ja) 塗装に適する空気添加型噴霧装置
US5165605A (en) Low pressure air atomizing spray gun
JP3908285B2 (ja) 低空気圧作動スプレイノズル
EP0327296A2 (en) Spraygun
JPH0418952A (ja) 低圧微粒化エアスプレーガン
US4650119A (en) Air spray gun
JP5787411B2 (ja) スプレーガン
JP5787408B2 (ja) スプレーガン
KR200222261Y1 (ko) 스프레이 건
WO2014069326A1 (ja) スプレーガン
JPH0688005B2 (ja) 塗装用スプレ−ガン
JP2014034020A (ja) スプレーガン
EP0411830B1 (en) Low pressure air atomizing spray gun
JP3143449B2 (ja) 塗布具
CN108906353B (zh) 一种用于喷涂机器人的均匀喷涂出料口
JPH0522292Y2 (ko)
JPH0527465B2 (ko)
JPH02102755A (ja) パターン制御機構を有するエアーハンドスプレーガン
KR200181342Y1 (ko) 분사액 확산 방지용 스프레이 건
JPS6229088Y2 (ko)
JPS637321Y2 (ko)
KR102412969B1 (ko) 구조가 단순한 미세분무노즐 및 이를 구비한 소독장치
CA2349387C (en) Spray gun nozzle assembly air cap
JPS646925Y2 (ko)
KR200276130Y1 (ko) 분무기용 분무노즐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