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983Y1 - 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983Y1
KR200221983Y1 KR2019990001792U KR19990001792U KR200221983Y1 KR 200221983 Y1 KR200221983 Y1 KR 200221983Y1 KR 2019990001792 U KR2019990001792 U KR 2019990001792U KR 19990001792 U KR19990001792 U KR 19990001792U KR 200221983 Y1 KR200221983 Y1 KR 2002219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fastened
support body
handles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724U (ko
Inventor
전위성
Original Assignee
전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위성 filed Critical 전위성
Priority to KR2019990001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983Y1/ko
Publication of KR200000167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7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983Y1/ko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팔을 수평으로 뻗은 상태에서 팔목은 물론 팔 전체를 비트는 식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팔 전체의 관절운동은 물론 근육운동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팔 운동기구(100)는 사각파이프형으로 이루어지면서도 사람의 어깨넓이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지지몸체(10)와, 지지몸체(10)의 양측에 각각 체결보울트(11)로 체결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동가능토록 구비되고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21)을 가지는 한쌍의 손잡이(20)(20a)와, 상기 지지몸체(10)의 중심부에 간격유지링(51)과 함께 체결고정되고 외연에는 공회전되는 회동링(52)이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구(50)와, 상기 각 손잡이(20)(20a)의 일측면 고정대(22)에 나사체결되고 외연에 공회전되는 회동링(41)이 설치되는 체결구(40)와, 상기 각 체결구(40)와 지지구(50)를 통하여 체결되면서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3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팔 운동기구{A sport outfits for arms}
본 고안은 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팔을 수평으로 뻗은 상태에서 팔목은 물론 팔 전체를 비틀어 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팔 전체의 관절운동은 물론 근육운동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구를 이용하여 신체를 단련하도록 하는 운동기구는 그 종류별로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하나의 운동기구로서 신체의 전부분을 골고루 단련시킬 수는 없기 때문에 신체의 각 운동부위에 따라서 그 종류가 다양하게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운동기구중에서도 팔을 주로 단련하도록 하는 팔 운동기구 역시 지금까지도 많은 종류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팔 운동기구는 일명 완력기로서 한쌍의 손잡이 사이에 스프링, 고무줄 등과 같은 탄성부재를 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이거나, 또는 양측 손잡이를 가위식으로 교차되게 힌지축으로 체결하여 이를 지지점으로 회전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이들 사이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팔 운동기구들은 양팔을 벌리거나 오므리는 동작에 의해 운동을 행하는 구성임으로써 탄성부재를 압축하는 일측방향으로만 근육이 편중되게 단련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손목이나 팔, 어깨관절 등은 거의 운동이 되지 않고 근육만 단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다른 형태의 종래 팔 운동기구로서는 고정된 기구에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로서 손잡이를 연결하여 이루어진 운동기구도 있으나, 이는 연결된 손잡이를 당기는 동작을 행함으로써 팔의 근육을 단련토록 하는 것임으로써, 이역시 팔을 굽히고 펼치는 동작을 반복하여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한 저항력으로 근육을 단련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특정부위의 근육만이 단련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팔의 전체적인 근육 뿐만 아니라 각 관절부위도 효과적으로 단련할 수 있도록 하는 팔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팔을 쭉 뻗은 상태에서 팔 전체를 비트는 동작으로 운동토록 함으로써 팔 전체의 근육과 관절의 고른 단련은 물론이고, 환자들의 재활운동용으로도 사용가능토록 하는 팔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그 구성이 단순하여 제조성 및 생산성의 향상과 더불어 휴대가 간편하여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팔 운동기구를 제공함에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팔 운동기구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막대형 지지몸체의 양측에 각각 체결보울트로 체결되는 한쌍의 손잡이를 구비하여 이를 지지점으로 회전작동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는 몸체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지지구와 고무밴드 등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로서 연결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한 저항력으로 팔 전체를 단력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한 팔 운동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팔 운동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 팔 운동기구의 요부만을 보인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 파지부를 상세히 보인 단면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사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또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에서 손잡이의 작동을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본체 10:지지몸체
11:체결보울트 20,20a:손잡이
21:파지부 22:고정대
41,52:회동링 30:탄성부재
40:체결구 50:지지구
51:간격유지링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1 내지 도3에서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도면중 부호 100은 본 고안에 따른 팔 운동기구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본체(100)는 긴 막대형의 지지몸체(10)와, 상기 지지몸체(10)의 양측에 각각 체결되어 회전가능토록 구비되는 한쌍의 손잡이(20)(20a)와, 상기 손잡이(20)(20a)와 지지몸체(10)를 각각 연결하여 저항력을 제공토록 하는 탄성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몸체(10)는 사각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면서 대략 사람의 어깨 넓이 정도의 길이를 갖추어 구성되고, 이의 양측 소정위치에는 체결보울트(11)로써 한쌍의 손잡이(20)(20a)가 각각 체결되어 체결보울트(11)를 지지점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20)(20a)는 첨부된 도면의 도3 및 도4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몸체(10)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나사 체결되는 체결보울트(11)의 전단부에 너트로 나사결합됨으로써 이를 지지점으로 풀리거나 조여짐에 의해 체결보울트(11)의 나사산 1-2개의 피치만큼 좌.우방향으로 180°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20)(20a)는 상호 동일한 구조를 갖추어 구성됨으로써 여기서는 그 하나만을 설명하기로 하며,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21)가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일측면에는 고정대(22)가 측면으로 돌출형성되어 탄성부재(30)를 체결하는 체결구(40)가 체결된다.
상기 체결구(40)는 첨부된 도면의 도4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단에 원형의 걸림테를 가지면서 타측에는 나사부를 가지는 보울트형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그 나사부가 손잡이(20)(20a)의 일측 고정대(22)에 나사체결됨과 동시에 내부에는 체결되는 탄성부재(3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공회전 작동되는 회동링(4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10)의 중심부에는 한쌍의 지지구(50)가 체결고정되는 것으로 이역시 상호 동일한 구조를 갖추어 구성되므로 그 하나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의 지지구(50)는 첨부된 도면의 도3에서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에 나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타측에는 걸림테가 형성되는 전술한 체결구(40)와 동일한 구조를 갖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이는 별도의 간격유지링(51)과 함께 지지몸체(10)에 나사체결되고, 이의 내부에는 역시 탄성부재(30)의 원활한 작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공회전 작동되는 회동링(52)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0)는 고무밴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강한 탄성을 갖추어 그 일측단은 손잡이(20)(20a)의 체결구(40)에 체결됨과 동시에 타측단은 지지몸체(10)의 지지구(50)에 체결됨으로써 양측 손잡이(20)(20a)의 탄성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0)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고무밴드가 아닌 코일스프링 등과 여러가지 탄성을 가지는 부재들로 사용할 수도 있겠으나, 사용자의 안전과 구조적인 특성 등을 감안하여 고무밴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것이고, 더욱이 사용자의 완력에 따라서는 그 갯수를 달리하여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2개를 한조로 사용토록 하는 것이나 1개 또는 3-4개 등의 다수개로 가감하여 사용함으로써 그 장력을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사용자가 본체(100)의 양측 손잡이(20)(20a)를 각각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양 팔을 전방으로 뻗은 후, 손잡이(20)(20a)의 파지법에 따라 양측 팔을 내측이나 또는 외측으로 비틀어서 사용하게 된다.
먼저, 첫번째의 파지법에 따른 사용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 손의 엄지손가락을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손잡이(20)(20a)를 위에서 파지하여 손잡이(20)(20a)를 각각 외측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손잡이(20)(20a)는 탄성부재(30)를 팽창시키게 되면서 체결보울트(11)를 지지점으로 회전작동되어 첨부된 도면의 도6에서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는 반대로 손잡이(20)(20a)의 가해진 힘을 놓게 되면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팔을 트위스트식으로 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또한 이와는 반대로 다른 사용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 손잡이(20)(20a)를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파지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파지한 상태에서 손잡이(20)(20a)를 내측방향을 향해 역시 트위스트식으로 회전작동시키게 되면, 손잡이(20)(20a)는 첨부된 도면의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30)를 아래부분으로 팽창시키면서 역시 반대방향으로 회전작동됨으로써 팔운동을 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팔을 수평으로 뻗은 상태에서 좌.우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팔 전체를 트위스트식으로 운동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손목과 팔꿈치, 그리고 어깨 등의 관절은 물론 팔의 전체적인 근육을 단련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팔 운동기구는 팔을 수평으로 뻗어서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것이나, 사용자의 취향이나 신체적인 조건에 따라서는 팔을 상향으로 올리거나 하향으로 내려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 앉거나 서서 사용하는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팔 운동기구는 팔을 쭉 뻗은 상태에서 팔 전체를 트위스트식으로 비틀면서 운동을 할 수가 있음에 따라 팔목, 팔꿈치, 어깨 등의 관절은 물론 팔 및 어깨의 전체적인 근육을 효과적이고도 고르게 단련할 수가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알루미늄 재질의 소형 기구로 제조되면서도 그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제조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됨은 물론이고, 중량과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가방 등에 간편히 수납하여 휴대할 수가 있는 등 사용성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더욱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그 탄성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가 있음에 따라 전문 보디 빌더는 물론 남녀노소 누구나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들의 재활기구로서도 널리 사용가능한 등의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팔의 근육을 단련토록 하는 팔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팔 운동기구(100)는 사각막대형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몸체(10)와, 지지몸체(10)의 양측에 각각 체결보울트(11)로 체결되어 회동작동되고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21)를 가지는 한쌍의 손잡이(20)(20a)와, 상기 지지몸체(10)의 중심부에 간격유지링(51)과 함께 체결고정되고 외연에는 공회전되는 회동링(52)이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구(50)와, 상기 각 손잡이(20)(20a)의 일측면 고정대(22)에 나사체결되고 외연에 공회전되는 회동링(41)이 설치되는 체결구(40)와, 상기 각 체결구(40)와 지지구(50)를 통하여 체결되면서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팔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20a)는 지지몸체(10)의 양측에 각각 관통되게 나사체결되는 체결보울트(11)에 나사체결되고, 상기 체결보울트(11)의 일부 나사부를 따라 풀리고 조여짐에 의해 정.역회전 가능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팔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는 고무밴드로 구성되고, 탄성부재(30)의 수량을 가감함에 따라 장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팔 운동기구.
KR2019990001792U 1999-02-06 1999-02-06 팔 운동기구 KR2002219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792U KR200221983Y1 (ko) 1999-02-06 1999-02-06 팔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792U KR200221983Y1 (ko) 1999-02-06 1999-02-06 팔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724U KR20000016724U (ko) 2000-09-25
KR200221983Y1 true KR200221983Y1 (ko) 2001-05-02

Family

ID=54759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792U KR200221983Y1 (ko) 1999-02-06 1999-02-06 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98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398B1 (ko) * 2002-03-20 2004-11-10 조위현 팔운동기구
KR102082158B1 (ko) 2018-11-13 2020-04-21 (주)뉴텍웰니스 어깨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724U (ko) 200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2874A (en) Portable isokinetic exercising device
US4093211A (en) Combination jump rope and flexible exerciser
US583358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rcising
US5352174A (en) Shoulder exercise system
US8128541B2 (en) Exercise grip device
US8328743B2 (en) Dynamic hand splint
KR100909190B1 (ko) 어깨 운동용 기구
US5472400A (en) Push-up exercise apparatus
US3129940A (en) Isometric contraction exerciser having handles at each end with handgrips shaped to the fingers
US3068003A (en) Exerciser
US5569136A (en) Portable forearm exercising device
US11583727B2 (en) Shoulder motion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e
US5674166A (en) Isotonic or isometric exercise and therapy system
US20120208683A1 (en) Exercise Grip Device
US5599256A (en) Hand exerciser
US6193638B1 (en) Portable general purpose exercise device
US5833588A (en) Hand-held resilient exerciser
US11364414B2 (en) Overhead bar mount exercise training device
US6007460A (en) Hand exercising device
KR200221983Y1 (ko) 팔 운동기구
JP3036979U (ja) ゴムチューブを使用したトレーニング器具
US11364415B2 (en) Overhead bar mount exercise training device
US4423866A (en) Gymnastics/exercising equipment
JP2009285430A (ja) 上半身パワートレーナー
KR102263354B1 (ko) 어깨의 재활과 근력을 단련시키는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