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466Y1 - 연습용 축구공 투구장치 - Google Patents

연습용 축구공 투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466Y1
KR200221466Y1 KR2020000031043U KR20000031043U KR200221466Y1 KR 200221466 Y1 KR200221466 Y1 KR 200221466Y1 KR 2020000031043 U KR2020000031043 U KR 2020000031043U KR 20000031043 U KR20000031043 U KR 20000031043U KR 200221466 Y1 KR200221466 Y1 KR 2002214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cer ball
fixing plate
attached
spring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태
이윤해
Original Assignee
박영태
이윤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태, 이윤해 filed Critical 박영태
Priority to KR2020000031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4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4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466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에 투입구(54)가 있는 포문(52)이 구비되고, 상기 포문의 후방으로 축구공이 안착되게 일정하게 배치된 소정의 홀더(56)와, 상기 홀더의 후방으로 케이싱(48)이 부착되며 상기 케이싱(48)의 내부에는 전방에 스프링 고정판(44)이 있고, 후방에는 요입홈(42)이 형성된 관체(40)가 끼워지며, 상기 관체의 내부에는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있는 타격구(30)가 조립되고, 상기 케이싱(48)의 후방으로 고정판(16)이 부착되며 상기 고정판(16)과 관체(40)의 스프링 고정판(44)사이에 스프링(46)이 끼워져 탄지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의 전방과 후방에는 양측으로 실린더(10)와 안내봉(88)이 장착되며 상기 안내봉(88)을 따라 이동하는 브라켓(14)은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의 중앙에는 양측에 그립퍼(24)가 조립된 이동판(20)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봉(88)의 후방 단부에는 중앙에 요홈(84)을 가진 보조판(82)이 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축구공 투구장치이다.

Description

연습용 축구공 투구장치{FOOTBALL THROW DEVICE}
본 고안은 연습용 축구공 투구장치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축구공을 일정한 위치에 계속적으로 투구하여 주면서 공이 떨어지는 위치에서 운동자가 공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키기 위한 연습용 축구공 투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축구 혹은 배구 등의 각종 운동 선수들에게 개인기술의 능력을 배양시키기 위해서 축구공 혹은 배구공(이하 축구공이라 칭함)을 각 선수들의 위치에 배분하여 감독 또는 코치 등 보조자가 발로 차 주던지 손으로 던져 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 따라서 운동을 할 때는 상대방 즉, 보조자가 항상 보조역활을 해야 하며, 상기 보조자는 선수에게 필요한 위치에 정확하게 공을 분배시키기 위한 숙달된 기술을 가진자이어야만 한다. 따라서 인력의 소모가 많고, 상기 보조자는 많은 선수들을 상대하게 되면서 힘이 들고 일정한 방향과 각도로 공을 투구하여 줄 수 없게 되면서 능률적인 연습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인력의 소모가 없이 일정한 위치에 축구공을 투구시키게 됨에 따라 운동 선수가 상기 축구공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는 연습용 축구공 발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투구되는 축구공의 각도와 방향 그리고 속도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연습용 축구공 발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습용 축구공 투구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습용 축구공 투구장치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일부 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5는 본 고안에 따른 연습용 축구공 투구장치의 중앙 단면도로서 작동되는 상태의 참고도.
도 6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도 6의 C-C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연습용 축구공 투구장치가 캐리어에 장착되어 포문이 여러 각도로 회전되는 상태를 예시한 중앙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 2:축구공
10:실린더 12:로드
20:이동판 24:그립퍼
25:스프링 26:가이드
28:단턱 30:타격구
32:원판 36:스프링
40:관체 42:요입홈
46:스프링 47:스톱퍼
48:케이싱 56:홀더
62:회전판 66,72:고정축봉
80:고정대 82:보조판
84:요홈 90:캐리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내지 도 3은 본 고안 연습용 축구공 투구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이 작동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 연습용 축구공 투구장치의 본체(1)는, 축구공을 고정시키는 홀더(56)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의 전방으로 축구공이 발사될 때 축구공이 일정한 방향으로 투구될 수 있도록 안내를 하게 되는 포문(52)이 있으며, 상기 축구공에 타격을 가해 축구공을 발사시키는 타격구(30)가 스프링에 탄지 된 관체(40) 등의 발사수단과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발사수단은 공기압 혹은 유압용 실린더(10)에 의해서 작동된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방으로 축구공(2)을 수장시키며 상기 축구공을 지지해주기 위해 3-5개 정도의 홀더(56)가 축구공의 외경을 따라 전/후의 프레임(70,60)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56)의 전방에는 원통형의 포문(52)이 구비된다. 상기 포문(52)의 상면에는 호퍼 형태의 투입구(54)가 형성되면서 상기 투입구(54)에 축구공(2)을 넣으면 아래로 이동되어 상기 홀더(56)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포문(52)의 뒤로는 양측의 고정프레임(50)이 부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후방으로 원통형의 케이싱(48)이 장착된다. 상기 케이싱(48)의 내부에는 타격구(30)와 조립된 관체(40)가 끼워지는데 상기 타격구(30)는 전방의 단면이 'T'형상으로 원판(32)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환테(3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타격구(30)의 외측으로는 전방에 스프링 고정판(44)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외측 둘레면에 요입홈(42)이 형성된 관체(40)가 조립된다. 상기 관체(40)는 내부에서 전방이 개방된 것으로 상기 관체(40)와 타격구(30)의 사이에 스프링(36)이 삽입되어 탄지되어 있다. 즉 상기 스프링(36)의 전방부는 관체(40)의 내측에 고정되고 그 후방부는 상기 타격구(30)의 후방 환테(34)에 고정된다.
이후, 상기 케이싱(48)의 후방면에는 고정판(16)이 끼워지는데 상기 고정판의 중앙으로 상기 관체(40)가 끼워져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관체는 고정판의 중앙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한편 상기 고정판(16)과 관체(40)의 스프링 고정판(44) 사이에는 양측에 스프링(46)이 끼워져 관체(40)와 고정판(16)을 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6)의 후면에는 중앙을 따라 공간부(18)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8)로 끼워지는 스톱퍼(47)가 관체(40)의 후방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6)의 전방으로 양측에는 공기압 혹은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10)가 장착되며 상기 실린더(10)의 로드(12)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16)의 후방에는 역시 양측으로 고정되는 안내봉(88)을 장착하고 있으며 상기 안내봉을 따라 이동되는 브라켓(14)이 상기 로드(12)의 단부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양측 브라켓(14) 사이에는 내측에 양측으로 구멍(22)이 형성된 이동판(20)이 부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양측의 구멍(22)에는 핀(29)에 의해 조립된 그립퍼(24)가 상기 핀(29)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그립퍼(24)는 전방이 직각으로 밴딩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턱(28)이 형성되며 이는 상기 관체(40)의 후방 요입홈(42)으로 끼워진다. 또한 상기 그립퍼(24)의 후방은 내측으로 15-30˚정도의 각도를 가지는 가이드(26)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양측의 안내봉(88)의 후방 단부에는 고정대(80)가 부착되며 상기 고정대(80)의 전방에는 중앙에 요홈(84)이 형성된 보조판(82)이 부착된다. 이때 상기 요홈(84)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경사면(86)을 두고 있으며,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그립퍼(24)의 가이드(26)가 접촉되면서 끼워진다.
도 6과 도 7에서는 축구공의 크기에 따라 홀더가 형성하는 내경의 크기를 변화시키기 위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축구공은 내부의 공기 압력에 따라 그 크기가 미세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상기 축구공을 지지하는 홀더는 축구공의 직경에 따라 변화될 필요성이 있다.
도면에 따르면, 전방 프레임(70)으로 고정축봉(72)을 연결시키고 상기 고정축봉(72)의 내측 단부에 홀더(56)의 전방을 핀으로 조립시켜 고정시킨다. 그리고 케이싱(48)에 부착된 고정판(74)과 조립된 후방 프레임(60)에는 역시 홀더(56)의 후방 부분에 연결되는 고정축봉(66)이 있으며, 상기 고정축봉(66)의 중간에는 프레임(67)이 끼워져 일측에 브라켓(69)이 부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67)의 상부에는 고정축봉(66)으로 스프링(68)이 끼워져 상기 고정축봉(66)이 탄성력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69)의 외측 단에는 링크(63)가 체결되고 상기 링크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프레임(60)의 전방으로 끼워져 회전하는 회전판(62)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62)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65)를 가진다. 상기 구동부(65)는 상기 회전판과 나사조립방식에 의해 조립된 것으로 수동 또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판(62)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62)이 회전될 때 링크(63) 및 프레임(67)이 당겨짐에 따라 고정축봉(66)을 이동시키게 되고 이와 체결된 각 홀더(56)의 후방부가 이동됨에 따라 각 홀더에 의한 외경은 미세하게 커진다.
그리고 도 8은 본 고안 연습용 축구공 투구장치의 본체(1)가 바퀴(94)와 실린더의 동력원이 되는 컴프레서(92)를 구비한 캐리어(90)에 장착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이는 본체(1)의 중간지점을 회전축에 조립시키게 됨에 따라 본체가 회동되고 따라서 축구공을 투구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연습용 축구공 투구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투입구(54)로 축구공(2)을 투입시키면 상기 축구공(2)은 각 홀더(56)의 내측으로 안착된다. 이어서 실린더(10)가 동작되면서 로드(12)를 후방으로 밀게 되면 로드(12)에 장착된 이동판(20)이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이동판(20)의 그리퍼(24)는 전방의 단턱(28)이 관체(40)의 후방을 물고 있으며 상기 관체(40) 및 관체와 조립된 타격구(30)를 후방으로 이송시킨다. 한편 고정판(16)과 관체(40)의 스프링 고정판(44)으로 끼워진 스프링(46)은 관체(40)가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압축되면서 탄성력이 커진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20)이 보조판(82)에 근접되었을 때, 후방으로 돌출된 그립퍼(24)의 가이드(26)가 보조판(82)의 요홈(84)으로 삽입된다. 이때 양측의 가이드(26)는 요홈(84)의 경사면(86)을 따라 이동되면서 도 4에서와 같이 내측으로 오무러들게 되고 반면, 전방의 단턱(28)은 벌어지면서 물고 있던 관체(40)를 놓게 되면서 관체(40)는 스프링(46)의 탄력성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된다. 이때 상기 관체(40)와 결합된 타격구(30)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관체(40)와 함께 전방으로 발사되면서 홀더(56)에 안치되어 있는 축구공(2)에 타격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축구공은 포문(52)을 거쳐 원하는 위치로 투구된다. 한편 상기 타격구(30)와 함께 발사된 관체(40)는 후방의 스톱퍼(47)가 고정판(16)의 공간부(18)로 끼워지게 되고 상기 공간부는 압축되면서 에어쿠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관체(40)는 원위치에서 서서히 정지되며, 타격을 마친 타격구(30)는 내측에서 관체와 연결된 스프링(36)의 복원력에 의해 역시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후 다시 실린더(10)의 동작에 의해 로드(12)가 전방으로 이동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판(20)이 원위치로 복귀할 때 그립퍼(24)는 전방의 관체(40)를 다시 물게 된다. 이때 상기 그립퍼의 전방부가 내측으로 오무러져 단턱(28)이 요입홈으로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그립퍼와 이동판(20)의 일측에 고정되는 스프링(25)의 핀(29)으로 끼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축구공에 타격을 가하는 동작과 복귀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연속적으로 투구가 이루어진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습용 축구공 투구장치는 비교적 소형, 경량으로서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고 어디든지 쉽게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한 힘에 의해 발사되는 축구공은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그리고 연속적으로 투구하게 됨에 따라 운동선수의 기량을 배양시키기에 상승되는 효과가 있으며,

Claims (4)

  1. 상부에 투입구(54)가 있는 포문(52)이 구비되고, 상기 포문의 후방으로 축구공이 안착되게 일정하게 배치된 소정의 홀더(56)와, 상기 홀더의 후방으로 케이싱(48)이 부착되며 상기 케이싱(48)의 내부에는 전방에 스프링 고정판(44)이 있고, 후방에는 요입홈(42)이 형성된 관체(40)가 끼워지며, 상기 관체의 내부에는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있는 타격구(30)가 조립되고, 상기 케이싱(48)의 후방으로 고정판(16)이 부착되며 상기 고정판(16)과 관체(40)의 스프링 고정판(44)사이에 스프링(46)이 끼워져 탄지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의 전방과 후방에는 양측으로 실린더(10)와 안내봉(88)이 장착되며 상기 안내봉(88)을 따라 이동하는 브라켓(14)은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의 중앙에는 양측에 그립퍼(24)가 조립된 이동판(20)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봉(88)의 후방 단부에는 중앙에 요홈(84)을 가진 보조판(82)이 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축구공 투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24)는 전방이 수직으로 밴딩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턱(28)이 있고, 후방에는 내측으로 굽혀지면서 가이드(2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축구공 투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판(82)에는 중앙에 요홈(84)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의 양측면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축구공 투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6)의 중앙에는 공간부(18)가 형성되고 상기 관체(40)의 후방으로 스톱퍼(47)가 부착되면서 상기 관체가 발사될 때, 상기 공간부가 에어쿠션 역할을 하여 관체를 정지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축구공 투구장치.
KR2020000031043U 2000-11-07 2000-11-07 연습용 축구공 투구장치 KR2002214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043U KR200221466Y1 (ko) 2000-11-07 2000-11-07 연습용 축구공 투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043U KR200221466Y1 (ko) 2000-11-07 2000-11-07 연습용 축구공 투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466Y1 true KR200221466Y1 (ko) 2001-04-16

Family

ID=73060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043U KR200221466Y1 (ko) 2000-11-07 2000-11-07 연습용 축구공 투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46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7139B1 (en) 2003-01-13 2004-11-16 William E. Powell Bug killing system
KR101794630B1 (ko) * 2015-08-13 2017-11-07 이유호 런앤캐치볼 운동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7139B1 (en) 2003-01-13 2004-11-16 William E. Powell Bug killing system
KR101794630B1 (ko) * 2015-08-13 2017-11-07 이유호 런앤캐치볼 운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0514B1 (en) Golf club head having internal impact assembly
US5613678A (en) Apparatus for projecting an object such as a ball
US20030109337A1 (en) Automatic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f an object
US5230506A (en) Batting practice device
US5494278A (en) Hitting practice machine for ball games
JP6877728B2 (ja) ボール発射装置
CN111249710A (zh) 一种气排球扣球训练的传球装置
US4270511A (en) Apparatus for shooting a curve ball
KR20150146137A (ko) 공 자동 발사 장치
KR200221466Y1 (ko) 연습용 축구공 투구장치
CN208049341U (zh) 一种羽毛球训练用多角度羽毛球发射机
CN216456805U (zh) 训练用的回球装置
GB2587630A (en) Improved ball launcher
CN216169799U (zh) 一种体育排球教学用扣球辅助设备
CN211357667U (zh) 一种新型发球机
CN207412667U (zh) 一种羽毛球发射装置及羽毛球陪练机
KR101901786B1 (ko) 정구공 발사장치
KR200336188Y1 (ko) 테니스 볼 투구기
KR20160143192A (ko) 야구공의 투척각도 조절이 가능한 피칭머신
US6910977B2 (en) Waist and knee powered projectile propelling device
CN217612831U (zh) 一种网球发射器
CN219914840U (zh) 一种冰球球杆测试设备
KR101585181B1 (ko) 단발셔틀콕 발사장치
CN111054046A (zh) 一种羽毛球全自动发球装置
CN210874036U (zh) 一种自动冰球击发球训练装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